한국 4대 명절의 하나인 음력 8월 15일.

 

중추절(中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라고도 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유래는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했으며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儒理王) 때
6부(六部)의 여자들을 둘로 편을 나누어
두 왕녀가 여자들을 거느리고
7월 기망부터 매일 뜰에 모여 밤늦도록 베를 짜게 했다.
8월 보름이 되면 그동안의 성적을 가려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했다.
이때 〈회소곡 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라고 불렀다.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쇠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으로 선대 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이 있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 한다.
조상 상에 바치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하여 먼저 조상에게 선보이며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한다.
성주·터주·조상단지 같은 집안신들도 햇곡식으로 천신(薦新)하며 추석치성을 올린다.
추석에는 정월 대보름보다는 작지만 풍성한 민속놀이도 행해졌다.
씨름·소놀이·거북놀이·줄다리기 등을 즐긴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제주도 풍속에는 조리희(照里戱)라 부르는 줄다리기, 그네,
닭잡는 놀이인 포계지희(捕鷄之戱) 같은 놀이가 있다.
수확철이라 다양한 음식이 선보이며 추절시식(秋節時食)이라 하여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며 무나 호박을 넣은 시루떡도 만든다.
찹쌀가루를 쪄서 찧어 떡을 만들고 콩가루나 깨를 묻힌 인병(引餠),
찹쌀가루를 쪄서 꿀을 섞어 계란처럼 만든 율단자(栗團子)도 만들어 먹었다.

또 반보기의 풍습도 있었는데, 반보기란 시집간 여자가 친정에 가기 어려워,
친정부모가 추석 전후로 사람을 보내
만날 장소·시간을 약속하여 시집과 친정 중간쯤에서 만나는 것이다.
지금은 이 풍습이 없어졌지만 추석 뒤에 음식을 장만하여 친정에 가서 놀다 오게 한다.
추석은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의 고유한 명절로 자리잡고 있어,
추석이 되면 많은 사람이 고향을 찾아간다.
북한에서는 추석을 쇠지 않았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공휴일로 정했다.

 

 

□ 추석의 유래는 ?

 

일반적으로 추석은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해 신라시대의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신라시대에 나라 안의 부녀자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한달 동안 길쌈을 하여
마지막 날인 8월 15일에 승부를 가려 진 편에서 음식을 대접하고
'회소곡'을 부르며 밤새도록 노래와 춤을 즐겼는데,
이 길쌈놀이를 가배(嘉俳)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가배' 오늘날 한가위의 '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뜻은 가운데(中) 또는 반(半)이라는 의미라 한다.
따라서 한가위는 가을의 반, 중추(中秋)의 한국식 표기이다.

그리고 이맘때쯤이면 봄여름동안 땀흘려 기른 농작물이 여물어 수확을 한다.

예로부터 가을 수확을 하면 감사의 뜻으로
조상님께 먼저 햇곡식을 올리는 천신(薦新)을 했는데,
상례적으로 추석날 천신을 했었다.
그래서 차례상에 올리는 제수는 햅쌀로 만든 메, 떡, 술 등과 오색 햇과일로 마련하는 것이다.

 

그런데 9천년 역사를 가진 우리 민족은
이미 아주 오랜 옛날부터 추석뿐 아니라 제사풍습이
우리문화의 근간으로 깊이 자리잡아 왔다.

그리고 이 제사의 대상은 일차적으로는 조상님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우주의 주재자이신 삼신(三神) 상제(上帝)님께 제사를 지냈다.

 

이것을 신교(神敎) 신앙이라 하는데,
서기전 2333년에 조선을 개국한 제 1세 단군임금도 상제님께 제사[天祭]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환단고기]에 의하면 "삼한시대에 10월 상순에는 모두가 나라의 큰 축제에 참여하였다.
이때 둥근 단(圓丘)을 쌓아 하늘에 제사 지냈는데,
땅에 제사 지낼 때는 네모지게 쌓았으며(方丘),
조상에 제사지낼 때는 각목(角木)을 썼다.

 

제천(祭天)할 때는 임금(韓)께서 반드시 몸소 제사지냈으니,
그 예가 매우 성대하였음을 가히 알 수 있으리라........
이에 온 나라에서 제사를 받들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 동예의 무천도 제천(祭天)행사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추석이나, 조상제사는 바로 이러한 신교문화의 맥을 이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 민족은 이 우주 만유에는 모두 신(神)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오늘날 민간신앙의 형태로 남아 있는 당산제, 성황제, 산신제, 용왕제, 풍어제 등도
모두 신교신앙의 자취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은 예전에 비해 제사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고 형식에 그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우리 민족은 여전히 이 지구상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조상님 제사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 기제사(忌祭祀)와 차례[茶禮]의 차이점은?

 

먼저 기일에 모시는 것은 기제사라 하고,
명절날 모시는 것은 차례라고 하는데 어떻게 다른 것일까?

 

차례[茶禮]는 매월 음력 초하루, 보름, 명절,
그리고 조상님 생일날 등에 낮에 지내는 간략한 제사를 말한다.
차례는 다른 말로 다례(茶禮)라고도 하는데,
지금은 차례상에 술을 올리지만
예전에는 차(茶)를 올렸다하여 다례(茶禮), 혹은 차례[茶禮]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는 설, 추석, 한식에만 차례를 지내고 있는데
설과 추석에는 대부분의 집안에서 다 모시고,
한식은 일부 가정에서 묘제(墓祭)형식으로 지내고 있다.

 

기제사(忌祭祀)와 차례[茶禮]의 차이점을 보면,
기제사는 그 날 돌아가신 조상님과 그 배우자만 지내는 반면
차례는 자기가 제사를 받드는 모든 조상을 다 지낸다.
또 기제사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낸다.

기제사와 차례 이외에 시제(時祭)가 있는데
이는 조상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라 묘사(墓祀)라고도 한다.
조상신은 4대까지만 기제사를 지내고 그 이상의 조상은 함께 묘제를 지낸다.

 

 

□ 정말로 조상님이 직접 오셔서 음식을 드실까?

 

그러면 제사나 명절날 그렇게 정성껏 제수를 마련하여 올리는데
정말로 조상님이 오셔서 그 음식을 드시는 걸까?

아니, 과연 하늘에 조상님이 참으로 계시는 것일까?

이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생일(生日)이 있다.
우리의 생일이라는 것은 천상에서의 삶을 마감하고
육신을 가지고 지상에 다시 태어난 날을 말한다.

반면 제삿날은 지상의 삶을 정리하고 천상에 다시 태어난 날, 즉 천상의 생일인 것이다.

조상님들은 육신은 없지만 천상에서 계속 살아가고 계시는 것이다.
제사를 모시는 것은 돌아가신 날을 기리는 것이지만
또한 천상의 생일을 축복해 주는 의미도 있다.

그래서 천상의 조상님들은
제삿날이 되면 즐거운 마음으로 후손들이 차려주는 제삿상을 받으러 오신다.
그리고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제삿상에 올린 음식에 깃든 기운을 섭취하신다.
제사음식이 다른 음식보다 약간 푸석푸석한 느낌이 드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첨언하여, 이러한 조상 제사문화는 같은 동양문화권내에서도
한국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동양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는 것이다.

 

유교의 종주국이었던 중국은 일단 국가적 차원에서
종교활동이나 제례문화가 인정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제삿날이 되면 시골이나 일부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조용히 모실 뿐
문화혁명 이후로는 거의 사라졌으며,
설날 때 중국인들이 고향을 찾아 대대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단지 신년이라는 의미에서 가족들과 새해를 맞이하기 위한 의미가 더 크다.

 

일본은 제삿날이나 명절이 되면
공동묘지에 가서 납골묘에 안치된 유골을 닦아드리거나
비석을 닦아드리고 꽃을 올리는 풍습은 있지만 제사의식은 없다.
단지 일본은 대부분이 불교신앙이라 집안에 불단을 모시는 경우가 많고,
일부는 '신주'라 하여 국조인 천조대신과 지방신을 모시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이 지구상에서 가장 조상님을 잘 모시는 민족인 것이다.
그리고 후손이 조상님을 잘 모시는 만큼
조상님들도 천상에서 늘 자손들을 보살피고 자손들을 위해 기도를 하고 계신다.

 

 


□ 음식준비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명절이나 제사 때 올리는 음식은 조상님 대접이라 제일 좋은 걸로 구입하고,
음식을 준비할 때도 지극한 정성을 드려야 한다.

왜냐하면 조상선영 신들은 마치 옆방에서 같이 살아가고 있는 것처럼
자손들이 하는 모든 행위를 하늘에서 텔레비젼을 보듯이 다 알고 계신다.
더욱이 신명은 행동뿐 아니라 인간의 마음속까지 훤히 꿰뚫어 본다.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 바로 내 옆에서 하나하나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람이나 속이지 신명을 속일 수 있겠는가.

몸가짐을 깨끗하게 하고, 누가 보든 안 보든 지극한 정성을 다해야
조상님들도 더욱 좋아하며 흠향을 하시는 것이다.

 

 

□ 성묘(省墓)는 왜 할까?

 

명절이면 집에서 차례를 모시고 나서 가족들이 함께 성묘를 간다.
집에서 조상님께 차례를 모시는데 산소에까지 가서 다시 성묘를 모시는 이유는 무엇일까?

성묘(省墓)란 말 그대로 묘를 살핀다는 의미이다.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신라말
. 당시 승려이자 풍수지리학자였던 도선(道詵)대사는
왕융(王隆,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에게 어느 곳에 집을 지으면
장차 왕이 될 큰 인물이 나올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에 왕융이 그 곳에 집을 지었는데 그 뒤 왕건이 태어났고,
도선대사의 예언대로 이후 고려왕조를 일으켰다.
그 이래로 풍수지리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게 높아지면서
도선의 풍수지리를 신주 모시듯이 모셨고
집집마다 명당자리에 조상묘를 쓰려고 애를 썼다.
그래서 좋은 자리가 있으면 이미 묘가 들어서 있는데도
근처에 다른 사람들이 묘를 쓰고 또 쓰는 등 투장(偸葬)이 성행하였다.
이 때문에 후손들은 자손된 도리로서
마땅히 자기 조상님의 묘가 무사한지 수시로 가서 살펴보며
묘를 수호했는데 여기서 성묘가 유래하였다.
오늘날에는 설날, 추석, 한식 때 성묘를 가는데 그 날 이외에도 언제든지 할 수 있다.

 

 

□ 물밥은 왜 올릴까?

 

집집마다 틀리지만 제사나 차례를 모실 때 물밥을 따로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

물밥이란 판수가 굿을 하거나 물릴 때
다른 신명에게 준다고 물에 말아서 던지는 밥을 말한다.
그런데 제사나 차례를 모실 때도
제삿상 옆에 물에 말아서 마루 같은데 따로 놓아두는데 이것을 물밥이라고 한다.
그러면 이 물밥은 왜 올리는 것일까?

 

지상에서의 고아는 부모가 없는 사람이지만,
천상의 고아는 자손이 없는 조상신명이다.
자손이 있는 신을 황천신이라 하고,
자손이 없는 신을 중천신이라 하는데,
자손이 있는 황천신은 후손들이 명절이나 제사 때
상을 차려드리므로 오셔서 흠향하실 수가 있다.
하지만 대가 끊어진 중천신들은 얻어먹을 데가 없다.
그래서 황천신을 따라온 중천신들은 얻어먹을 데가 없다.
그래서 황천신을 따라온 중천신을 위해 물밥을 두는 것이다.

신도세계에 대해 깊은 혜안이 있었던 우리 선조들은
갈 곳 없는 신명들까지 챙기는 세심한 배려가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제사상에 비해 얼마나 조촐한가.
중천신들은 남의 집에 그런 물밥이나 얻어먹으며
외롭게 떠돌아다니니 그 한이 오죽이나 크겠는가.

명절이나 제사 때 한 많은 중천신들을 위해
마루에 작은 상이라도 마련해두면 더욱 좋을 것 같다.

 

 

□ 조상제사를 지내는 것은 천지의 덕에 합하는 것!

 

현재 내가 존재하는 것은 조상님의 지극한 공덕과 은혜로 인함이다.
내 생명의 근원이 바로 조상님임을 깨달아야 한다.

황천신은 삼신이 되어 자손을 타내는데,
보통 쓸 자손 하나를 타내는데 60년간을 공(功)을 드린다 한다.
60년이면 2대이다.
2대동안 천상 조상님들이 무한한 공부를 들인 끝에 태어난 것이
바로 우리들이니 그 얼마나 귀하게 그리고 어렵게 태어난 몸인가.
우리 몸뚱아리는 바로 조상님들의 정성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또한 조상님이 남긴 유체(遺體)가 바로 우리들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손된 도리로서 나의 천지인 부모님, 조상님을
지극한 정성으로 모심은 바로 천지의 도리이며 천지의 근본 예인 것이다.

 

요즈음은 관광지나 콘도에서 차례를 모시는 사람도 있고,
제사상을 통째로 파는 곳도 있다고 한다.
하늘에 계신 조상님들이 보면 가슴치며 통탄할 일이 아닌가.
조상님들은 자손들의 일거수일투족은 물론 마음을 어떻게 쓰는지 까지 다 보고 계신다.
정성을 들이는 그 마음에 조상님도 고마워하고,
또 그만큼 자손을 위해 공을 들여주신다.

내 생명의 뿌리이신 부모님, 조상님께 깊이 감사드리는 마음으로
이번 추석 때는 더욱 정성껏 차례를 올려보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