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天干)이란?

간지(干支)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가리키는 말이고.
그리고 천간(天干)이란 나무줄기(幹)의 뜻으로 양이며 하늘(天)을 나타냅니다.
날(日)을 가리키기 위하여 10개로 이루어져 있고,
지지(地支)와 결합하여 육십갑자(六十甲子)를 만들게 됩니다.

 

 지지(地支)란?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아랫단위를 이루는 요소이며,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열두 가지로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하며, 

각기 다른 동물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해설

 

10간 (十干)과 12지(十二支)는 음양오행의 이치를 설명하는 부호인데 이것을 암기해 둬야 한다.

아래의 10간(干)과 12지(支)의 음양의 이치를 살피면

홀수는 양, 짝수는 음 인 것을 알 수 있으니

양은 1, 3, 5, 7, 9 요.

음은 2, 4, 6, 8, 10이다.

 

10간(十干)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현상은 하늘에서 변화하는 이치가 담겨 있고

12지(十二支)에서 일어나는 각가지 모양은 땅에서 변화하는 삼라만상의 무궁무진한 조화인데

천간은 하늘을 상징하는 동시에 양에 속하고, 지지는 땅을 나타내는 뜻으로 음에 속한다.

  

10간(十干)은 하늘을 상징한다. 12지(十二支)는 땅을 상징한다.
천간(天干)은 양(陽)에 속하면서
음(陰)과 양(陽)을 가지고 있다.
지지(地支)는 음(陰)에 속하면서
음(陰)과 양(陽)을 가지고 있다.
 
         
         
 
 
           
           
호랑이 토끼 원숭이 돼지
 
 
이것을 인사에 비유한다면 양은 남성이며 음은 여성인데
남녀가 짝을 이루어 조화를 이루는 것 같이
  양의 갑(甲)과 음의 자(子)가 합해진 것을 甲子라고 한다.

간(干)은 나무줄기(幹)의 뜻으로 양(陽)이라고 하고

지(支)는 나뭇가지(枝)의 뜻으로 음(陰)을 나타낸다. 

10간은 날(日)을 가리키기 위해서고

12지는 달(月)을 가리키기 위해서다.

 

 

 六十甲子(육십갑자)
60干支
60간지
 甲子,갑자 甲戌,갑술 甲申,갑신 甲午,갑오 甲辰,갑진 甲寅,갑인
 乙丑,을축 乙亥,을해 乙酉,을유 乙未,을미  乙巳,을사 乙卯,을묘
丙寅,병인 丙子,병자 丙戌,병술 丙申,병신 丙午,병오 丙辰,병진
丁卯,정묘 丁丑,정축 丁亥,정해 丁酉,정유 丁未,정미 丁巳,정사
戊辰,무진 戊寅,무인 戊子,무자 戊戌,무술 戊申,무신 戊午,무오
己巳,기사 己卯,기묘  己丑,기축 己亥,기해 己酉,기유 己未,기미
庚午,경오 庚辰,경진 庚寅,경인 庚子,경자 庚戌,경술 庚申,경신
辛未,신미 辛巳,신사 辛卯,신묘 辛丑,신축 辛亥,신해 辛酉,신유
壬申,임신 壬午,임오 壬辰,임진 壬寅,임인 壬子,임자 壬戌,임술
癸酉,계유 癸未,계미 癸巳,계사 癸卯,계묘 癸丑,계축 癸亥,계해

 

             간지활용법(干支活用法)

간지활용법(干支活用法)
사주학(四柱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간지활용법(干支活用法)은
오행활용법(五行活用法)과 같은 것이니 꾸준히 탐구하여야 한다.
오행
(五行)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음양
(陰陽)
양陽 음陰 양陽 음陰 양陽 음陰 양陽 음陰 양陽 음陰
천간
(天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
(地支)
인寅 묘卯 사巳 오午 辰戌 丑未 신申 유酉 해亥 자子
생수
(生數)
3   7   5   9   1  
성수
(成數)
  8   2   10   4   6
동물명(獸名) 호랑이 토끼 용.개 소.양 원숭이 돼지
오방
(五方)
동東 남南 중앙中央 서西 북北
계절
(季節)
춘春 하夏 사계四季 추秋 동冬
오색
(五色)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오기
(五氣)
풍風 열熱 습濕 조燦 한寒
오미
(五味)
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鹹
오상
(五常)
인仁 예禮 신信 의義 지智
상생
(相生)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坐木
상극
(相剋)
목극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인체
질병
간장질환 심장질환 비장질환 폐장질환 신장질환
쓸개질환 소장질환 위장질환 호흡질환 방광질환
신경계통 눈병질환 복부질환 대장질환 혈액이상
두통질환 편두질환 피부질환 근골질환 자궁질환
얼굴질환 고혈압증 당뇨질환 사지질환 생식질환
오관
(五官)
목目 설舌 순脣 비鼻 이耳
오의
(五意)
인정仁情 명랑明朗 후중厚重 냉정冷情 비밀秘密
오격
(五格)
곡직曲直 염상炎上 가색稼穡 종혁從革 윤하潤下
오진
(五塵)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오성
(五聲)
각음角音 치음徵音 궁음宮音 상음商音 우음羽音
오귀
(五鬼)
목귀木鬼 화귀火鬼 토귀土鬼 금귀金鬼 수귀水鬼
오축
(五畜)
양羊 마馬 우牛 계견鷄犬 돈豚
오사
(五事)
교육敎育 사업事業 영농종교 군인혁명 법관法官
오곡(五穀) 맥麥 서黍 속粟 도稻 두豆
행음
(行音)
가카
ㄱㅋ
나다라타
ㄴㄷㄹㅌ
아하
ㅇㅎ
사자차
ㅅㅈㅊ
마바파
ㅁㅂㅍ
오제
(五帝)
태호太昊 염제炎帝 황제皇帝 소호少昊 전욱顚頊
오음
(五音)
아牙 설舌 후喉 치齒 순脣
오징
(五徵)
한旱 열熟 풍風 우雨 한寒
오심
(五心)
회열喜悅 다변多辯 건체蹇滯 급속急速 음흉陰凶
오체
(五體)
견肩 흉胸 족足 두頭 복腹

 

            간지(干支)의 특성요약

간지(干支)의 특성해설
甲寅 乙 卯 오행은 나무(木), 수리3, 8. 동쪽, 봄, 청색, 바람이요, 맛은 신맛,
성질은 어질고, 오장은 간장이며, 청제신(靑帝神), 청룡신(靑龍神)이 주재한다.
丙巳 丁午 오행은 불(火), 수리2, 7, 남쪽7 여름, 적색, 더운 계절이요, 맛은 쓴맛,
성질은 예의바르고, 오장은 심장이고, 적제신(赤帝神), 주작신(朱雀神)이 주재한다.
戊辰戌 己丑未 오행은 흙(土), 수리5, 10, 중앙, 사계절, 노랑색 습한계절이요, 맛은 단맛,
성질은 믿음직스럽고, 오장은 비장이요,
황제신(黃帝神), 구진신 (句陳神),등사신(騰蛇神)이 주재한다.
庚申 辛酉 오행은 쇠 (金), 수리4, 9, 서쪽, 가을, 백색, 서늘 한 계절이요, 맛은 매운맛,
성질은 의리바르고, 오장은 폐장이요, 백제신(白帝神), 백호신(白虎神)이 주재한다.
壬亥 癸子 오행은 물(水), 수리1, 6, 북쪽, 겨울, 흑색, 추운 계절이요, 맛은 싼맛,
성질은 지혜가 총명하고 오장은 신장이요, 흑제신(黑帝神), 현무신(玄武神)이 주재한다.

 

            

천간의 특성해설

천간
天干
천간(天干)의 뜻과 자(字)의 해설
천간 (天干)에 대하여 간단하게 기재하였으므로 계속 탐구하여야 한다.
갑(甲) 대림목
大林木
큰나무이고 인(寅)과 같은 뜻이다.
고목,목재,원목,송목
을(乙) 화초목
花草木
작은나무이고 묘(卯)와 같은 뜻이다.
화초,덩굴,잎사귀,채소,꽃
병(丙) 태양화
太陽火
큰불덩이며 사(巳)와 같은 뜻이다.
태양,밝은불,큰불,허황,
광양,허풍
정(丁) 등촉화
燈燭火
작은불이며 오(午)와 같은 뜻이다.
달,촛불,불씨,햇불,등불,
산소불
무(戊) 성원토
城垣土
큰흙덩이로 진술(辰成)과 같은 뜻이다.
제방,큰산,높은산,
운동장,건물,벽,산야,
기(己) 전원토
田園土
작은흙이며 축미 (丑未)와 같은 뜻이다.
田園土,초원,화분흙,도자기,토기
경(庚) 검극금
劍戟金
쇠로 만든 큰 물체로 신(申)과 같은 뜻이다.
자동차,연장,칼,총,무기,쇠덩어리
신(辛) 주옥금
珠玉金
보석금이며 유(酉)와 같은 뜻이다.
보석,바늘,침,면도칼,작두,쇠,자물쇠
임(壬) 강호수
江湖水
큰물이며 해(家)와 같은 뜻이다.
강,호수,대해수,바다물,
폭포수,우물
계(癸) 우로수
雨露水
작은물이고 자(子)와 같은 뜻이다.
이슬비,눈물,진액,옹달샘,약수터물,시냇물

 

 

 

 

지지의 특성해설

地支    질 병 인체 물체(物體) 모양象 인물
자子 비뇨기


泌尿器
신장,귀,요통,생식기,음부,
정자,월경,갑상선,고환,뇨도,
자궁,족소음신경
음료수,종자,물고기류,간장,
액체,생선,잉크,땀,소금물,
채소,필묵
泉水 승려,철학자,저술가,임부,
아기의국소,매춘부,어부,
야경인,맹인,익사인,도적
축丑 위 장
胃 腸
비장,복부,손과발,횡경막,
맹장,취장,입,접촉물,
족태음비경
무기,음식,증권,금고,차고,
인쇄기,전기제품,이불,
커튼,안주,얼음판,
비품,의복,농토
凍土 군인,은행원,세무관리,
경리사원,소년,중개인,유아,
갇힌사람,기사,여관업자
인寅 심 장

心 臟
머리,담낭,눈,근육,동맥,
무릎,팔,족소양담경
발전기,피아노,목재,동상,
전주,가로수,고층건물,나루터,의복,서적,신문,목기,책상,탑
木根 학자,법인,발명가,언론인,
문화인,교육가,판사,
무서운사람,건망증환자,
힘쎈장사,
묘卯 간 장

肝臟
간장,이마,눈,모세혈관,
근육,말초신경,수족,
손가락,발가락,정갱이,
족궐음간경
섬유질,운동구,화초,비누,
묘목,옷장,가구,책상,
낚시대,종이,그릇,의복,
목기,나무저
草根 유아,지휘자,골퍼,신경환자,
노동자,건축업자,목수,
마부,야바위꾼
진辰 망각증
 
    忘却症
위장,피부,등과허리,
가슴,코,맹장,겨드랑이,
족양명위경
외래품,토석,비밀장소,
위조,특허품,골재,약재,
도자기,병풍,부채,장판,
포장물,비행기
濕土 비행사,광고업자,법관,
불청객,범법자,미용사,
목공,
우편배달부,목재상,중개인
사巳     치 통
   
    齒痛
소장,얼굴,치아,복부,인후,편도선,
삼초,심포,헛바닥,
수태양소장경
정유장,전화,담배,편지,종점,
대형차량,화약,폭발물,휘발유,
미용재료,전등,사진
地熱 장녀,부녀자,용접공,보일러,
불을취급하는사람,미용사,
전자기술직,전자제품취급
오午 정신병


精神病
시력,눈,혀,심장,신경통,
정신,심포,열,수소음심경
박테리아,악세사리,못,화장품,
유원지,이혼장,간판,학용품,국기,
안경,사진,
유흥장소,전등
火山 화가,서예인,교육자,문화인,
도시인,마부,염직공,호색가,
발명자,방화자
미未 허로병


 虛勞病
입,입술,잇몸,위장,배,척추,
복부,수족,족태음비경
어음수표,조미료,식품일체,
물감,골재,시멘트,혼수품,포목,
모자,의상,드레스,음료수
燥土 석공,요리사,재봉사,부관,
토목기사,농부,도예품상인,
잡역부,탕아,빈곤자
신申 대장염


 大臟炎
대장,폐,근골,경락,음성,
피부병,정맥,골수염,
신경통,수양명대장경
은행,극장,차량,지폐,무기,
금은,비행기,절단기,칼날,
수도관,전선줄,농기구
鑛石 군인,운전기사,항공인,
부사장,부관 통신사,기능인,
철도인,행인,노모,노파,
유酉 폐결핵


 肺結核
폐장,코,음성,혈관,피부,
모발,입,월경,뼈골,신경,
타박,수태음폐경
그릇,마이크,악기,보석,침,
은행,고추,금은,현금,
귀금속,양념일체,마취약,
노래소리,된장
金石 군인,은행원,마취사,소녀,
가수,접대부,호스티스,요리,
집,식모,비처녀,침술사
술戌 공포증


恐怖症
위장,명문,갈비,위,신경,
두뇌,대퇴부,가슴,대변,항문,
양명위경
보안등,창고,공장,골키퍼,
화로,
도자기,각종시계,전자계산기,
골동품,서적,표구,컴퓨터
死土 변호사,예술인,경찰관,교도관,비밀자,사기꾼,기사,공예인,
수위,두목,자본가
해亥 방광염


肪胱炎
고환,생식기,월경,혈맥,
대소변,자궁,머리,흑점,
장딴지,족태양방광경
바다,,생선음료수,소금물,
배,
군함,술,포목,섬유류,커튼,
의류,가방,필묵,세탁기,비누
海水 부친,부인과의사,공예인,
투기업자,술주정꾼,
노점장사꾼,임부,어부,선장
 

 

 

 

一. 天干(십천간)  

천간
오행 
오   행   속   성
갑+(陽)
목 (靑)
 거목. 동량목. 조목
을-(陰)
 화초목. 습목
병+(陽)
화 (赤)
 명화. 태양. 대광명
정-(陰)
 등촉. 타는불. 생화
무+(陽)
토 (黃)
 태산. 거산. 산성토. 조토
기-(陰)
 전원토. 습토
경+(陽)
금 (白)
 완철. 광산금. 주철
신-(陰)
 소금. 보석. 연금. 성기
임+(陽)
수 (黑)
 강수. 호수. 대해수
계-(陰)
 우로수. 생천수

 

 
二. 地支(십이지지)
지지
오행
 속성
동물
 비고
11
 凍水 生水 精子 泉水
 陰極 陽始生 孕胎
12
 凍土 濕土 用沓土
 屈從 屈伏
1
 大木 死木 棟樑木 燥木
 陽氣 始動
2
 少木 生木 草木 濕木
토끼
 萬物出生
3
 潤土 濕土 진흙토 깨긋한토
 발전기상
4
 太陽 死火 光明
 양기충만
5
 燈燭 活火 生火
 陽極 陰始生(하지)
6
 砂土 熱土 燥旺土
 陽衰殘
7
 大金 頑金 장철
원숭이
 結實完成
8
 砂金 軟金 寶貨
 完了結實
9
 山城土 燥旺土
 一代滅盡
10
 江水 大海水
돼지
 種子收藏
 
 
천간은 오행의 표시이자 오행의 싹으로 지상에 살아있는  생물체와 꼭 같은 것이다.
지지는 십간의 뿌리이며 또한 아내와 같다.
천간은 십이지지의 뿌리에서 발생한 남편과 같다.
싹과 뿌리는 아내와 남편이 일심동체이듯 간지는 하나요 둘이 아니다
 
甲갑丙병戊무庚경壬임 은 陽양이요  乙을丁정己기辛신癸계는 陰음이고  
子자寅인辰진午오申신戌술 은 陽양이요   丑축卯묘酉유亥해巳사未미는 陰음이다
 
뿌리가 있는 싹은 강하고 건전하며 뿌리가 없는 싹은 약하고 불안하다
즉 아내가 있는자는 행복하고 즐거우며 아내가 없는 남자는 불행하고 괴롭고
남편이 있는 여자는 인생의 참맛을 알고 남편이 없는 여자는 인생의 참맛을 모르는 것과 같다.
 
"육갑과 천간 지지"


六十甲子 (육십갑자) 천간(天干) 10 자 지지(地支) 12 자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천간(天干)은 천성(天性)이라
위에 지지(地支)는 지성(地性)이라
아래에 배치(配置)되는 것이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배열(配列)의 준칙(準則)이며
천간(天干) 한자와 지지(地支) 한자를
양천간(陽天干)은 양(陽) 지지(地支)와 음천간(陰天干)은 음(陰) 지지(地支)와 짝을 맞춰 나가면
반드시 60 개의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배합(配合)되어 60쌍이 되는데 일반적(一般的)으로 부르는 호칭(呼稱)이 60 갑자(甲子) 또는 육갑(六甲)이라고도 한다


60 갑자(甲子)는 반드시 양(陽) 대 양(陽) 간지(干支)와 음(陰) 대 음(陰)의 간지(干支)가 한쌍을 이루고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와 같이
짝을 맞춰 한쌍을 맺어 나가면 계해(癸亥)로 60 갑자(甲子)가 끝 나는데
이와 같이 천간(天干)은 천간(天干))대로 지지(地支)는 지지(地支)대로 순수(旬首)에 따라서
各各(각각) 여섯 번씩 윤회(輪回)하며 천간(天干) 한 글자와 지지(地支)의 한 글자가 서로 만나
한쌍의 결속(結束)을 이루고 균등(均等)하며 공평(公平)하게
영구(永久) 불멸(不滅)한 상태(常態)를 유지(維持)하며
연속(連續)으로 회전(回轉)하면서 육십(六十) 갑자(甲子)를 이룬다.
 

                             六十甲子 圖表 (육십갑자.도표)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戌亥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申酉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午未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辰巳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寅卯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子丑






  天干.地支 (천간.지지)

천간(天干) 지지(地支)라 칭(稱)하는 용어(用語)는
고서(古書)에 나무줄기간(幹) 가지지(枝)의 문자(文字)에서 따온 말이라 수록(手錄)되 있으며
천간(天干)은 천성(天性)으로 강하(江河)며 양(陽)의 성정(性情)을 지녀서 빠르고 명랑(明朗)하며
외항적(外項的)으로 매사(每事)에 적극적(積極的)이며 확장(擴張)의 기질(氣質)이 있다.
 

지지(地支)는 지성(地性)으로 유순(柔順)하며 음(陰)의 성정(性情)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디고 늦으며
내성적(內省的)이고 소극적(消極的)이며 보수적(保守的)인 기질(氣質)이 있으며
천간(天干)은 열자이고 지지(地支)는 열 두자인데 이를 합하여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라고 한다.
천간(天干) 열자는 항상(恒常) 쉬지 않고 활동(活動)하나
지지(地支) 열 두자는 항상(恒常) 고정(固定)되어 자리 변동(變動)이 없으며
 
천간(天干) 열자는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열자이다.
 

지지(地支) 열 두자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열 두자이다.
 



天干解說 (천간해설)

병화.양(丙火.陽)은 
지지(地支)의 사화(巳火)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고 태양(太陽)이며
중천(中天)에 높이 떠서 천하(天下)를 고루 비추며 맹동지절(孟冬之節)에 빙설(氷雪)을 용해(鎔解)하며 
발전소(發電所)에 비유(比喩)하며 태양광선(太陽光線)과 햇빛이 여기에 속(屬)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중에는 소장(小腸)에 속(屬)하고 어깨에 해당(該當)한다.

정화.음(丁火.陰)은 
지지(地支)의 오화(午火)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생화(生火) 즉 타는
불과 같고 등화(燈火) 등촉(燈燭)에 비유(比喩)하며 중천(中天)에 떠있는 월(月)이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중에는 심장(心臟)에 속(屬)한다.

무토.양(戊土.陽)은 
지지(地支) 진술토(辰戌土)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고산(高山)과 산성(山城) 제방(堤防)에 비유(比喩)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중 위(胃)에 속(屬)하고 갈비에 해당(該當)한다.

기토.음(己土.陰)은
지지(地支)의 축미토(丑未土)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전답(田畓)과 그리고 전원(田園)의 기름진 땅 옥토(沃土)에 비유(比喩)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중 비장(腓腸)에 속(屬)하고 복부(腹部)에에 해당(該當)한다.

경금.양(庚金.陽)은 
지지(地支)의 신금(申金)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제련(製鍊)되지 않은 철광석(鐵鑛石) 무쇠 강금(剛金) 완금(頑金)에 비유(比喩)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 중(中)에는 대장(大腸)에 속(屬)하고
부위별(部位別)로는 배꼽에 해당(該當)한다.

신금.음(辛金.陰)은 
지지(地支)의 유금(酉金)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가공(加工)된 보석(寶石)이나 주옥(珠玉)에 비유(比喩)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 중(中)에는 폐(肺)에 속(屬)하고 
부위별(部位別)로는 다리에 該當한다.

임수.양(壬水.陽)은 
지지(地支)의 해수(亥水)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운(雲) 설(雪) 바다와 호수(湖水) 홍수(洪水)에 비유(比喩)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 중(中)에는 방광(膀胱)에 속(屬)하고
부위별(部位別)로는 경락(經絡)과 삼초(三焦)에 해당(該當)한다.

계수.음(癸水.陰)은 
지지(地支)의 자수(子水)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석간수(石間水)
흐르는 물 작은수로 음용수(飮用水) 소계천(小溪川) 운무(雲霧) 이슬 우물등에 비유(比喩)한다.
인체(人體)의 부위(部位) 오장육부(五臟六腑) 중(中)에는 신장(腎臟)에 속(屬)하고
부위별(部位別)는 족(足)에 해당(該當)한다.




十天干.分解 (십천간.분해)
양음
구분
天干
方位 中央 西
季 節 四季
靑色 赤色 黃色 白色 黑色
五臟 .수족 心臟.시력 胃腸.피부 .관절 腎臟.생식기


 

地支解說 (지지해설)


 
 
자수.음(子水.陰), 쥐


음(陰)의 水氣이며 음력(陰曆) 자월(11.子月)에 해당(該當)되고
자수(子水)는 천간(天干)에 있는 계수(癸水)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자(子)는 어둠 속에서도 부지런하게 활동하는 쥐를 나타내고
쥐는 두려움이 많고 예민(銳敏)하며
인류(人類)에게 피해(被害)를 주는 존재(存在)이고
친숙(親熟)할 수 없는 동물(動物)로서 쥐는 번식력(繁殖力)이 매우 강(强)하며
자식(子息)을 지극(至極)히사랑하는 동물(動物)인데
이를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여 성적(性的)인 정력(丁力)이 강(强)하다고 해석(解析)하기도 하며
쥐는 침착(沈着)하며 때로는 냉철(冷徹)하고 예민(銳敏)하며 청결(淸潔)하고
기후(氣候)와 환경(環境)에 민감(敏感)하며 예지력(豫知力)이 특출(特出)하


대설(大雪)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자월(11.子月.동짓달)로 접어드는 시기(時期)이며
방향(方向)은 정북(正北)을 나타내고
자월(子月)은 음(陰)의 기운(氣運)이 가장 왕성(旺盛)한 시기(時期)이며
한겨울 한밤중 그리고 어둠을 뜻하는 동시(同時)에
새로운 시작(始作)을 의미(意味)하기도 한다. 


초목(草木)의 씨앗 즉 종자(種子)를 의미(意味)하기도 하며
인간(人間)의 정자와 난자(卵子)를 의미(意味)하고
인간(人間)의 모든 음욕(淫慾)을 포함(包含)한 성욕(性慾) 그 자체(自體)를 뜻하기도 하며 
모태(母胎)인 여성(女性)의 자궁(子宮)을 뜻하기도 한다. 


지상(地上)의 생명체(生命體)들이 음용(飮用)하고
용수(用水)로 사용(使用)할 수 있는 모든 물은
 음수(陰水)인 자수(子水)에 해당(該當)되며
산골짝 돌산에서 흐르는 석간수(石間水) 옹달샘 운무(雲霧)
즉 이슬 계곡물 냇물 수돗물 등은 모두 자수(子水)에 해당(該當)된다.






축토.음(丑土.陰), 소
 
음(陰)의 토기(土氣)이며 음력(陰曆) 축월(12.丑月)에 해당(該當)되며
축토(丑土)는 천간(天干)에 있는 기토(己土)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축(丑)은 근면(勤勉) 성실(誠實)하고 우직(愚直)하며 고집(古集)이 강(强)한 동물(動物)로
불평불만(不平不滿)없이 오로지 자기(自己) 본분(本分)에 최선(最先)을 다하는 소를 의미(意味)한다


소한(小寒)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축월(丑月.섣달)에 접어드는 시기(時期)이며
방향(方向)은 북동간(北東間)을 나타내고
축월(丑月)은 늦 겨울에서 초봄으로 넘어가는 환절기(環節器)이며
닥아오는 봄철에 싹을 틔우기 위하여 종자(種子)를 숙성(熟成)시키는 과정(過程)이며 
여성(女性)의 태반(胎盤) 양수를 의미(意味)하기도 한다


습(濕)하고 동결(凍結)된 12 월(月)의 동토(凍土)에서
생명체(生命體)인 초목(草木)이 성장(成長)하기에는 부적절(不的絶)하지만
축토(丑土)는 식물(植物)을 배양(培養)하고 성장(成長)시키는 토양(土壤)이 아니라
종자(種子)를 보호(保護)하는 토양(土壤)이다. 


축토(丑土)는 속내를 밖으로 잘 드러내지 않고 보수적(保守的)이며
서두르지 않고 침착하며 고집(古集)이 세고 근면(勤勉) 성실(誠實)하며
대체적으로 외향적(外向的)이기 보다는 내향적(內向的) 성향(性向)이 강(强)한 편이며
가정적(家庭的)으로 생각이 많고 영감(靈感)과 직감(直感)이 뛰어나며
포용력(包容力)이 많고 감정(鑑定)을 쉽게 드러내지 않아 그 속내를 가히 짐작하기 어려운데
이는 음중(陰中)에 음(陰)의 성정(性情)이 강(强)하기 때문이다.
 
 
인목.양(寅木.陽) 호랑이


양(陽)의 목질(木質)로서 음력(陰曆) 정월(1.正月)이며
인(寅)은 천간(天干)에 갑(甲木)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다.
인(寅)은 12 동물중(動物中) 호랑이를 나타내며
호랑이의 특징(特徵)인 지휘자(指揮者) 인솔자(引率者) 용맹(勇猛) 위엄(威嚴)등을 지니고 있으며
선두주자(先頭走者)로서의 자질(資質)과 폭발적(爆發的)인 추진력(推進力)을 갖추고 있다. 


양력(揚力)은 신정(新正) 1 월(月) 1 일(日)을 기점(基点)으로 새해가 바뀐 것으로 보지만
명리(命理)를 위시(爲始)하여 인간(人間)의 운세(運勢)와 관계(關係)되는 부분(部分)
해상(海上)을 상대(相對)하는 모든 분야(分野)에서는 음력(陰曆)을 위시(爲始)하며
음력(陰曆) 구정(舊正)으로 새해가 바뀌는 시점(時點)은
입춘절기(立春節氣)가 들어오는 시각(時刻)부터 새해가 되고
실질적(實質的)으로 인월(寅月)이 시작(始作)되는 날이며
음력(陰曆) 1 월(月) 즉 정월(正月)이 시작(始作)이 되는 것이며
비로소 겨울을 지나 초봄이 시작(始作)된다. 


일상(日常)의 시작(始作)은 인시(寅時) 부터이고 일년(一年)의 시작(始作)은 인월(寅月) 부터이며
계절(季節)의 시작(始作)도 인월(寅月)은 바로 새싹이 돋기 시작(始作)하는 초봄이 되고
방향(方向)은 동방(東方)을 대표(代表)한다.
 
인목(寅木)은
낙락장송(落落長松) 거목(巨木)과 같이 지엽(枝葉)이 무성(茂盛)하며
많치 아니하며 높은 하늘을 우러러보고 올곧게 직립(直立)으로 성장(成長)하는데
환경(環境)이 불량(不良)하면 성목(成木)으로 성장(成長)이 불가능(不可能)하며
세파(世波)에 부딪혀 이기지 못하고 부러지면 다시 소생(蘇生)하지 못하는 특성(特性)이 있다. 


호랑이 송백목(松柏木)
새벽 초춘(初春)등의 의미(意味)를 모두 함유(含有)하고 있으며
포부(抱負)가 크고 듬직하며 매사(每事)에 당당(堂堂)하고
강(强)한 추진력(推進力)과 강력(强力)한 리더십으로 지도자(指導者)의 기질(氣質)을 갖추고 있으며
타인(他人)에게 지기 싫어하는 성격(性格)과 환경(環境)이 불량(不良)하면
시기(猜忌)와 질투(嫉妬) 또는 변덕(變德)이 매우 심(甚)하다.
 

 
묘목.음(卯木.陰) 토끼


음(陰)의 목질(木質)이며 음력(陰曆) 묘월(2.卯月)에 해당(該當)되고
묘(卯)는 천간(天干)에 을목(乙木)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한 의미(意味)를 갖고 있다 


묘(卯)는 12 동물(動物)로 표현(表現)하면 토끼에 해당(該當)하며
토끼는 양순(良順)하고 총명(聰明)하며 욕심(慾心)이 많고 다산종(多産種)이며
술수(術數)가 많은 동물(動物)로서 생기(生氣)와 활기(活氣)가 넘치고
정력(精力)이 왕성(旺盛)하며 평소에는 양순(良順)하지만
환경(環境)이 불량(不良)하면 자식(子息)도 살상(殺傷)하는 기질(氣質)이 있다.
 
경칩(驚蟄) 절기(節氣)가 들어오는 일시(日時)부터 비로소 묘월(卯月)이며
계절적(季節的)은 완연한 봄철에 접어들고 새싹이 돋아나서 왕성(旺盛)한 성장(成長)을 하는 시기(時期)이며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탄생(誕生)해서 유아기(幼兒期))를 거쳐
한창 성장(成長)을 하는 소년기(少年期)를 의미(意味)하고 방향(方向)은 정동(正東)이다


잔디 잡초 화초 넝쿨 곡식류 등 천간(天干)의 을목(乙木)과 같이
생활환경(生活環境) 적응력(適應力)이 뛰어나고
끈질긴 생명력(生命力)을 가진 생목(生木) 습목(濕木)등에 비유(比喩)하며
유순(柔順)하고 마음이 여리고 온화(溫和)한 성품(性品)으로
사교적(社交的)이며 생활력(生活力)이 강(强)하다.


주변(周邊)에 환경(環境)이 불량(不良)하면 비현실적(非現實的)이고
변덕(變德)이 심(甚)하며 자기(自己) 주장(主張)이 약(弱)하여 주위(周圍)에 휩쓸리는 수도 다.
 

 
진토.양(辰土.陽) 용

양(陽)의 토양(土壤)이며 음력(陰曆) 진월(3.辰月)에 해당(該當)하고
진(辰)은 천간(天干)에 무토(戊土)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진(辰)이 나타내는 용(龍)은 상상(想像)의 동물(動物)로서 
실제(實題)로 존재(存在)하는 동물(動物)이 아니나
용(龍)은 생활상(生活相) 세시풍속(歲時風俗)에서 
상서(祥瑞)롭고 영묘(英妙)한 동물(動物)이라고 숭앙(崇仰)하며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승천(昇天)하는 용(龍)은 높은 이상(理想)을 의미(意味)한다.
무궁무진(無窮無盡)한 조화(造化)를 부리는 용(龍)의 이미지는
변덕(變德)을 내포(內包)하고 있기 때문에 종잡을 수 없이 날뛰는
인간(人間)들의 사춘기(思春期) 시절(時節)에 비유(比喩) 하여 생각(生角)해 볼 수도 있다


청명(淸明) 절기(節氣)가 들어는 시각(時刻)부터 진월(辰月)이 시작(始作)되는 날이며
늦봄에서 초 여름으로 넘어가는 환절기(環節器)이고
방향(方向)으로는 동쪽과 남쪽의 중간(中間)인 동남간(東南間)이며
싹이 돋아 성장(成長)하여 꽃 피울 준비(準備)를 하는 시기(時期)이며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유소년기(幼少年期)를 거쳐
청년기(靑年期)를 맞이하는 사춘기(思春期)라 할 수 있고
겉으로는 음(陰)의 기운(氣運)인 물(水) 보다는 양(陽)의 기운(氣運)인 열기(火)가 많은
메마른 토양(土壤)으로 보이지만 습기(濕氣)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습토(濕土)인 것이다


초목(생명체)이 성장(成長) 하기에 가장 알맞은 양질(良質)의 토양(土壤)으로
문전옥답(門前沃畓) 옥토(沃土)이며 초목(草木)이 성장(成長)하기에 적합(適合)한 토양(土壤)으로
꿈과 이상(理想)이 높고 진취적(進取的)인 편이지만 현실(現實)에는 무감각(無感覺)한 편이며
무뚝뚝하고 변덕(變德)도 심(心)하나 침착(沈着)하고 정숙(精熟)한 면도 있하지만
주변환경(周邊環境)에 따라서는 광폭(狂暴)하기도 하며 근기(根氣)가 부족(不足)하고
비현실적(非現實的)이기 때문에 지구력(持久力)이 부족(不足)하며
여기저기 호기심(好奇心)이 많아 산만(散漫)하나
호운(好運)을 만나면 일취월장(日就月將)으 승승장구(乘勝長驅)한다.
 

 
사화.양(巳火.陽) 뱀


양(陽)의 화기(火氣)이며 음력(陰曆) 사월(4.巳月)에 해당(該當)되고
사(巳)는 천간(天干)에 병화(丙火)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사(巳)의 표상(表象)인 뱀은 독기(毒氣)를 품고 있지만 청결(淸潔)하고
기회(期會)를 기다리는 예민(銳敏)한 동물(動物)로
한번 주어진 기회(期會)를 놓치려 하지않고 능력(能力)도 뛰어난 편이며
타인(他人)이 건드리지 않는 한 선재(先在) 공격(攻擊)하지 않으며
자기(自己) 위치(位置)를 확고(確固)히 지키려 하는 성향(性向)이 강(强)하다


타(他)에는 무심(無心)하여 이것저것에 관심(觀心)을 두지 않고
오직 한 길과 한 방향(方向)으로 만 가려는 습성(習性)으로
초지일관(初志一貫)하는 성격(性格)이며
입하(立夏) 절기(節氣)가 들어오는 시각(時刻)이 사월(巳月)의 시작(始作)이며
초여름 즉 여름이 시작(始作)되고 화기(火氣)가 왕성(旺盛)하게
활동(活動)하는 시기(時期)가 되며 방향(方向)은 남방(南方)이다. 


지엽(枝葉)에 맺혀있든 꽃망울이 꽃을 피우기 시작(始作)하는 개화기(開花期)로서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사춘기(思春期)를 거쳐
인생(人生)의 최(最) 절정기(切情期)에 접어드는 문턱인
 청년기(靑年期)에 해당(該當)되며
사(巳)는 병화(丙火)와 같은 양화(陽火)로서
천간(天干)에서는 태양(太陽)을 뜻하지만
지지(地支)에서는 태양(太陽)처럼 맹렬(猛烈)한 열기(熱氣)를 가진
용광로(鎔鑛爐)의 열기(熱氣)와 화산(火山)이 폭발(暴發)하여
용암(鎔巖)이 분출(分出)될 때의 극강(極强)한 화기(火氣)를 의미(意味)한다


화기(火氣)는 어떤 화기(火氣)이든 이글 이글 타오르는 불꽃 처럼
위로 발산(發散)하려는 성질(性質)이 강(强)하므로
기적(氣的)의 의미(意味)가 오행중(五行中)에 가장 강(强)하며
화기(火氣)는 암흑(暗黑)을 밝하게 밝히는 음덕(陰德)이 있으며
사리(事理)에 있어서 옳고 그름에 대한 분별(分別)이 있고
외모(外侮)가 뛰어나고 두뇌(頭腦)가 명석(名釋)하며 예의(禮意)가 바르다. 


세속(世俗)에서 화끈하다고 할만큼 정열적(情熱的)이며
자존심(自尊心)이 강(强)하고 작사(作事)와
재물(財物)을 추구(追咎)하는 성향(性向)이 매우 강(强)하며
사주(四柱) 전체(全體)의 구성(構成)에서
화기(火氣)가 태강(太强)하거나 태약(太弱)하면
그 성정(性情)이 의심(疑心)이 많아지고 화(禍)를 잘내며
타인(他人)과 화합(化合)하지 못하고 때로는 폭력적(暴力的)인 경향(傾向)도 나타낸다.
 

 
오화.음(午火.陰) 말


음(陰)의 화기(火氣)이며 음력(陰曆) 오월(5.午月)에 해당(該當)되며
오(午)는 천간(天干)에 정화(丁火)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고
망종(芒種)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오월(午月)이 시작(始作)되는 날이며
맹렬(猛烈)한 열기(熱氣)가 작렬(炸裂) 하는 오뉴월
염천지절(炎天之節)이고 방향(方向)은 정(正) 남향(南向)이다


인월(1.寅月)에 싹이 돋아 묘월(2.卯月)에 왕성(旺盛)하게 성장(成長)하여
진월(3.辰月)에 꽃망울을 맺고 사월(4.巳月)에 개화(開花)가 시작(始作)되어
오월(5.午月)이 되면 꽃이 만발(滿發)하는 시기(時期)이며
인간(人間)에 비교(比較)하면 인생(人生) 일생(一生)에 최고(最高) 활동기(活動期)로
최(最) 절정기(切情期)를 의미(意味)하고
인간(人間)들의 생활(生活)에 직접(直接) 관련(關聯)이 있는
난롯불 전깃불 등불 등과 같이 밝고 온화(溫和)하여
모든 사람이 따르고 좋아하는 불이며
세상(世上)에 모든 인간(人間)들로 부터 인정(認定)을 받는다.

오화(午火)를 지니고 태어난 사람은 그 성정(性情)이 따뜻하고 포근하며
화려(華麗)한 사람으로 화술(話術)이 뛰어나고 사교적(社交的)이며
예의(禮義)가 바르고 희생(犧牲)과 봉사정신(奉仕精神)이 뛰어나며
모성애(母性愛)와 같은 심리(心理)가 강(强)하고
항상(恒常) 활발(活潑)하고 활동적(活動的)이며 긍정적(肯定的)이지만
환경(環境)이 불량(不良)하면 이중적(二重的) 변태적(變態的)이고
오히려 예의(禮義)가 없고 무례(無禮)하며 변덕(變德)이 심(甚)하고
방탕(放蕩)하며 주색(主色)을 밝히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



 
미토.음(未土.陰) 양


음(陰)의 토양(土壤)이며 음력(陰曆) 6 월(月)에 미토(未土)는
천간(天干)에 있는 기토(己土)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미(未)는 순(順)하고 얌전하며 12 동물중(動物中)에 양(羊)을 의미(意味)하고
양(羊)은 인내심(忍耐心)과 고집(古集)이 매우 강(强)한 편이며 한번 화(禍)가 나면
걷잡을 수 없고 진정(鎭靜)하기 어렵다


소서(小暑)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미월(未月)로 접어드는 날이며
방향(方向)은 남서(南西) 쪽을 나타내고
미월(未月)은 한여름이 지난 늦 여름의 환절기(環節器)로
한여름의 뜨거운 열기(熱氣)가 복사열(輻射熱)로 남아 있어
강(强)한 열기(熱氣)를 발산(發散)하는 시기(時期)로 삼복(三伏) 더위를 안고 있는 계절(季節)이다


꽃이 지고 나서 과일에 맛이 들고 결실(結實)이 시작(始作)되는 시기(時期)이며
인간(人間)의 인생(人生)에 비유(比喩)하면
청년기(靑年期)를 지나 중년기(中年期)에 접어드는 시기(時期)를 의미(意味)하고 
미토(未土)를 음토(陰土)로 분류(分流)하지만
열기(熱氣)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메마르고 척박(薄)한 토양(土壤)으로
수분(水分)을 머금은 문전옥답(門前沃畓) 기토(己土)와는 정(正) 반대(反對)이다


미(未)는 음(陰)으로 그 성정(性情)이 차분하고 침착해 보이지만
속내에 열기(熱氣)를 포함(包含)하고 있으므로
성격(性格)이 조급(早急)하고 폭발력(爆發力)이 있으며
타인(他人)을 배려(配慮)하는 마음과 희생정신(犧牲精神)이 투철(透徹)하고
화술(話術)이 논리적(論理的)이며 뛰어나
사람들을 사로잡고 매료 시키므로 말을 많이 하는
직업(職業)으로 진출(進出)하여 성공(成功)도 하지만
말로 인하여 구설(口舌)도 많으며
고집(古集)과 자존심(自尊心)이 강(强)하여 자멸(自滅)하기도 하며
타인(他人)의 간섭(干涉)을 싫어 하므로 융화(融和)가 쉽지 않고
비관론(悲觀論) 자(者)가 되기도 한다.



 
신금.양(申金.陽) 원숭이

양(陽)의 金氣이며 陰曆 신월(7.申月)에 해당(該當)되고
신금(申金)은 천간(天干)에 있는 경금(庚金)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신(申)은 인간(人間)의 모습(模襲)을 닮은 동물(動物) 원숭이를 나타내며
재주(才柱)가 많고 영리하며 임기응변(臨機應變)에 능(能)하고
매우 예민(銳敏)한 반면 때로는 신경질적(神經質的)이고
변화무쌍(變化無雙)하며 칭찬(稱讚)해 주면 자가동착(自家動着)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다


입추(立秋)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신월(申月)이 시작(始作)되는 날이며
방향(方向)은 서(西) 쪽을 나타내고 계절적(季節的)으로는 늦 더위가 기승(氣勝)을 부리는 시기(時期)이지만
조석(朝夕)으로는 서늘한 기운(氣運)이 감돌기 시작(始作)하는 초가을 기후(氣候)이며
오곡(五穀) 백과(白瓜)의 결실(結實)이 충실(充實)해지는 시기(時期)로서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청년기(靑年期)를 지나 인생(人生) 완숙(完熟) 단계(段階)
중년기(中年期)에서 장년기(長年期)로 순환(循環)되는 시기(時期)를 의미(意味)한다.


신금(申金)은 인간(人間)의 손길이 미치지 않고 가공(加工)되거나 제련(製鍊)되지 않은
모든 쇠붙이와 철광석(鐵鑛石) 등을 의미(意味)하며
거대(巨大)하고 견고(堅固)하며 생명체(生命體)의 결실(結實)을 마무리하는
숙살지기(肅殺之氣)로서 매우 고집(古集)이 세고 의리(義理)가 돈독(敦篤)하다


순수(純粹)하고 천진난만(天眞爛漫)하며
결실(結實)과 수확기(收穫期)를 준비(準備)하는 과정(過程)이므로
결과(結果)를 중시(重視)하고 현실적(現實的)이며 실리적(實利的)인데
물질(物質)이 풍부(豊富)한 시기(時期)이므로 물질(物質)을 경시(輕視)하는 경향(傾向)이 있고
자기(自己)의 주장(主張)이 강하며 때로는 가정(家庭)에 소홀(疏忽)하고
재주(才柱)가 많으며 순발력이 있어 보이지만 아집(我執)으로 실패(失敗)가 반복(反復)되고
타인(他人)을 억압(抑壓) 하려는 습성(習性)이 강(强)하며 때로는 신경질적(神經質的)이다.
 



유금.음(酉金.陰) 닭
 
음(陰)의 금기(金氣)이며 음력(陰曆) 유월(8.酉月)에 해당(該當)되고
유금(酉金)은 천간(天干)에 있는 신금(辛金)과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유(酉)는 12 동물중(動物中)에 닭이며 여명(黎明)을 알리는 부지런한 가축이다


백로(白露) 절입(節入) 일시(日時) 부터 유월(酉月)이 시작(始作)되는 시기(時期)이며
방향(方向)은 정서(正西)쪽을 나타내고
유(酉)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의 기운(氣運)이 대지(大地)를 감싸고
황야(荒野)의 모든 곡식(穀食)은 완전(完全)한 결실(結實)을 이루는 시기(時期)로
완연(完然)한 가을을 의미(意味)한다.
 
신월(申月)에 결실(結實)이 시작(始作)되어 유월(酉月)에 마무리가 되는 것이며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인생(人生)의 최(最) 전성기(全盛期)에서 왕성(旺盛)한 활동(活動)으로 얻은
안 정(安定)과 평화(平和)를 중시(重視)하는 중년기(中年期)를 지나온 장년기(葬年期)를 意味하며
음기(陰氣)인 유금(酉金)은 모래 자갈 조약돌 금은(金銀) 보석(寶石) 칼 도끼 톱 등
각종(各種) 금속기구(金屬器具) 등 인간(人間)들이 편리(便利)하게 만들어 사용(使用)하는
모든 금속(金屬)의 물질(物質)을 대표(代表)한다.


양(陽)의 금기(金氣)인 신금(申金)을 가공(加工) 제련(製鍊)한 금속(金屬)과 자연적(自然的)
인공적(人工的) 또는 인위적(人爲的)으로 변화(變化) 시킨 모든 금속(金屬)을 의미(意味)하며
이미 단련(鍛鍊) 과정(過程)을 거친 음기(陰氣)의 유금(酉金)은 내유외강(內柔外剛)하고
감정(鑑定) 표출(表出)이 명확(明確)하며 총명(聰明)하고 결백(潔白)하며
어느 자리에서나 보석(寶石) 처럼 빛이 나고 두각(頭角)을 나타내는 존재(存在)이다


환경(環境)에 민감(敏感)하게 반응(反應)하고
자신(自身)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과시욕이 강(强)한 성격(性格)으로
간혹(間或) 이기적(利己的)이고 자기(自己) 중심적(中心的) 사고(思考)가 강(强)하며
직선적(直線的)인 성격(性格)으로 인하여 타인(他人)과의 불화(不和)가 심(甚)하고
구설수(口舌數)가 따르며 집착(執着)이 강(强)하고 변덕(變德)이 심(心)하기도 하며
가히 두려움을 모르는 성정(性情)으로 사고(事故)가 많고
자기(自己) 과시욕과 색정(色情)이 강(强)하여 남녀간(男女間)에 구설(口舌)도 많다.
 

 
술토.양(戌土.陽) 개


양(陽)의 土氣이며 음력(陰曆) 술월(9.戌月)에 해당(該當)되고
술토(戌土)는 천간(天干)에 있는 무토(戊土)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술(戌)은 인간(人間)과 가장 친숙(親熟)한 동물(動物) 개를 나타내며
충성심(忠誠心)과 복종심(僕從心) 강(强)하고 정직(正直)하며
예민(銳敏)하면서 일관성(一貫性)을 지니고 있으며
희생정신(犧牲精神)이 많은 영민(英敏)하고 민첩(敏捷)하며
다산(多産)으로 자식(子息)에 대한 애정(愛情)이 많고
정력(精力)이 매우 강(强)한 동물(動物)이다


한로(寒露)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술월(戌月)에 접어드는 시기(時期)이며
방향(方向)은 서북간(西北間)이고
만추(晩秋)에서 엄동(嚴冬)의 계절(季節) 겨울로 넘어가는 늦 가을 환절기(環節器)이며
오곡(五穀) 백과(白瓜)를 수확(收穫)하여
다음을 대비(對備)하여 파종(播種)할 종자(種子)를 저장(貯藏)하고 보관(保管)하는 시기(時期)이며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모든 인생(人生) 문제(問題)를 정리(整理)하고
휴식기(休息期)에 들기 직전(直前)인 노인(老人)의 단계(段階)라고 할 수 있다.


술토(戌土)는 음양(陰陽 )의 분류(分流)에서는 화(火)의 기운(氣運)이 많은 양토(陽土)에 속(屬)하지만
술토(戌土)는 추수(秋收)가 끝난 황량(荒凉)한 들판 찬바람이 휘몰아치는
을씨년스런 초겨울의 들판으로 식물(植物)이 싹을 트고 성장(成長)하는 토양(土壤)이 아니라
만물(萬物)을 감추거나 보관(保管) 저장(貯藏)하는 토양(土壤)을 의미(意味)한다. 


술토(戌土)는 산(産)이나 제방(堤防) 거대(巨大)한 산성(山城)등을 의미(意味)하며
큰산은 말이 없듯이 술토(戌土)는 표정(表情)이 없고 듬직한 편으로
어떤 일이건 내색을 잘하지 않으며 성실(誠實)하고 침착(沈着)하며
서두르지 않고 일관성(一貫性)이 있으며 꾸준하다. 
타인(他人)을 배려(配慮)하는 희생정신(犧牲精神)이 뛰어나고
이해심(理解心)과 포용력(包容力)도 많으나 때로는 너무 냉철(冷徹)하며
자기(自己) 주장(主張)을 강(强)하게 나타내고 강(强)한 고집(古集)과 인색(吝嗇)함으로
타인(他人)에게 배척(排斥)을 당하기 쉽고
속마음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때로는 응큼할 수 있으며
주변(周邊)을 의식(衣食)하지 않는 무례(無禮)한 행동(行動)을 많이 하여 구설(口舌)이 따르기도 한다.
 

 
해수.양(亥水.陽) 돼지


양(陽)의 수기(水氣)이며 음력(陰曆) 해월(10.亥月)에 해당(該當)되고
해수(亥水)는 천간(天干)에 있는 임수(壬水 )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동일(同一)하며
12 동물중(動物中)에 유순(柔順)하고 영리하며 인간(人間)에게 복(福)과 행운(幸運)을 가져다주는
매우 친숙(親熟)한 동물(動物) 돼지의 표상(表象)이다.
입동(立冬) 절기(節氣)가 도래(到來)하는 시각(時刻)부터 해월(亥月)로 접어드는 날이며
방향(方向)은 북(北)쪽을 의미(意味)하고
해(亥)는 살바람이 불기 시작(始作)하는 초겨울이며
모든 생명체(生命體)가 휴식기(休息期)에 접어드는 시기(時期)이다.

해(亥)는 휴식(休息) 단절(斷絶) 동면(冬眠) 사망(死亡)의 시작(始作)을 의미(意味)하며
생명체(生命體)로서의 모든 것을 마무리하고
술월(戌月)에 수확(收穫)한 물질(物質)과 핵(核) 즉 종자(種子)를 넘겨 받아
해월(亥月)에 완전히 갈무리 하고 저장(貯藏)하며
인간(人間)에 비유(比喩)하면
인생(人生)의 노년기(老年期)에 접어드는 시기(時期)로
태어나서 부터 열심히 살아온 일생(一生)의 삶을 마무리하는 시기(時期)이다.

해수(亥水)는 해(海) 강(江) 호수(戶數) 홍수(洪水) 등의 거대(巨大)한 물을 뜻하며
깨끗한 음수(陰水) 인 자수(子水)이 외의 이물질이나 불순물 노폐물등이 뒤섞인 모든 물을 의미(意味)하고
물은 항상(恒常) 하향(下向)하는 습성(習性)을 갖지고 있으며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는 특성(特性)이 있고
지혜(智慧)가 총명(聰明)하며 유연성(柔軟性)과 순발력이 뛰어나고 인정(人情)이 많으며
포용력(包容力) 응용력(應用力)이 매우 좋다


사색적(思索的)으로 어떤 문제(問題)와 사물(事物)에 대한 집착(執着)이 강(强)하고
항상(恒常) 새로움을 추구(追咎)하여 시작(始作)을 잘하며
생명(生命) 관련(關聯) 분야(分野)에 관심(觀心)이 많고
식복(食福)을 타고 났으며 까다롭지 않고 선량(善良)하며
속내를 짐작하기 어렵고 변화무쌍(變化無雙)한 사람이며
환경(環境)에 따라서는 작은 물은 소리없이 흡수(吸水)하여 버리고
때로는 질풍노도(疾風怒濤) 처럼 휘몰아치는 폭발적(爆發的)인 성정(性情)을 지니고 있으며
혹간(或間) 흑심(黑心)을 품고 음흉(陰凶)하며 변덕(變德)이 심(甚)한 인간(人間)도 있다.
 

 
十二地支.分解 (십이지지.분해)
음양
구분
地支
動物 토끼 원숭이 돼지
方位 正北 中央 北東 正東 中央 東南 正南 中央 南西 正西 中央 西北
季 節  春  夏  秋
五臟 腎臟 피부 담.수족 피부 심장 시력 피부 관절 대장 피부 腎臟


  ※ 子(자) 亥(해) 巳(사) 午(오)의 오행을 사주팔자에 개입시켜 실재로 사용할 때는
상기 도표의 음양과는 정 반대로 子陰(자음) 亥陽(해양) 巳陽(사양) 午陰(오음)으로 사용이 되는데 
그 연유는 일년은 寅月(인월)부터 시작되고 토기(土氣)는 원래 태극도에서 근본의 위치가 중앙이므로  
진술축미(辰戌丑未)가 중앙(中央)으로 빠져나가므로서 배열순이 바꾸는 이치에 따름이다. 


 辰.陽   巳.陽  午.陰
 
未.陰   申.陽 
卯.陰    辰.  戌.  丑 . 未 3.   9.   12.   6  酉.陰
寅.陽  丑.陰   子.陰
 
亥.陽   戌.陽 
 

춘하추동의 길흉은 사주풀이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생년월일에서 월(月)과 일(日)을 기준으로 月이 어느 계절에 속하고 日이 금목수화토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느냐를 따져서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병인월, 갑오일 같은 경우는 병인에서 
두 번째 글자(천간과 지지중 지지에 해당)가 인(寅)이므로 봄에 해당하고 
갑오에서 첫 번째 글자(천간에 해당)가 갑(甲)이므로 목(木)에 해당하므로 
춘월(春月)의 목(木)의 길흉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월일(月日)에서 나온 춘하추동의 길흉을 바탕으로 사주와의 연관성을 찾는 것이 사주풀이의 기본인 것이다! 

춘하추동(春夏秋冬)의 목(木)의 길흉 춘하추동(春夏秋冬)의 화(火)의 길흉 
춘하추동(春夏秋冬)의 토(土)의 길흉 춘하추동(春夏秋冬)의 금(金)의 길흉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수(水)의 길흉  


⊙ 춘하추동(春夏秋冬)의 목(木)의 길흉

◇ 춘월(春月)의 木(월의 지지가 寅卯辰月-1,2,3월에 해당되는 것으로 日의 천간이 甲乙인 사람-목에 해당)

① 봄은 아직 추위가 남아 있으므로 목(木)을 따뜻하게 해주는 화(火) 운이 제일 좋다.  
병정사오(丙丁巳午)가 이에 해당한다. 
② 나무가 뻗어나가기 위해서는 물도 필요하다. 사주에 수(水)가 조금 있는 것이 좋다. 
단 이른 봄에 인월(寅月) 생인 사람의 경우는 수(水)가 과다하면 뿌리가 썩기 때문에 좋지 않다. 
③ 만춘(晩春: 辰月) 생인 사람의 경우는 뿌리가 마르기 쉬우므로 수화(水火) 양쪽이 모두 많은 편이 대길하다. 
④ 토(土)가 과다하면 싹이 트기 힘들다. 그래서 토가 얇으면 재물이 풍부하다. 
⑤ 사주에 금(金)이 많고, 또 금(金) 운을 만나게 되면 목(木)이 상극이 되어 재앙이 있다. 
도끼로 나무를 찍는 격이다. 앞에 보기에서 경신(庚辛)과 신유(申酉)가 즉 금운이다. 
즉 사주에 목이 너무 많으면 금운은 만나는 것이 좋다. 

◇ 하월(夏月)의 木(巳午未月-4,5,6월에 해당, 日의 천간 甲乙)

① 뿌리가 마르기 쉬우므로 수(水)가 대길하고 화(火)는 아주 나쁘다. 
② 토(土)는 얇은 편이 좋고, 많으면 나쁘다. 
③ 금(金)이 많은 것은 금물인데 금이 전연 없는 것도 좋지 않다. 
(산에 있는 아름 높은 나무일지라도 金으로 베지 않으면 유용한 제목이 될 수 없다.) 
④ 수(水)가 가장 좋고, 금과 토는 그다음, 목은 보통, 화(火)는 최악이다. 
◇ 추월(秋月)의 木(申酉戌月-7,8,9월에 해당, 日의 천간 甲乙)

① 조락(凋落)의 계절에 들어있는 목인데 
초추(初秋: 申月) 생 甲乙일 생의 사람인 경우는 
아직 늦여름의 화기(火氣)가 강하므로 수와 토가 많은 것이 대길. 
② 중추(中秋: 酉月)는 이미 나무가 충실해 있으므로 금(金)이 나무를 베어야 하므로 금이 많은 것이 좋다. 
③ 상강(戌月 하순) 이후의 태생인 사람은 수가 많은 것은 좋지 않다. 목이 썩기 쉽다. 
④ 한로(戌月 중순) 이후의 태생인 사람은 火가 많은 것은 좋지 않다. 목이 충실하다. 
⑤ 어느 것이든 토가 너무 두터운 것은 좋지 않다. 재물이 적다.

◇ 동월(冬月)의 木(亥子丑月-10,11,12월에 해당, 日의 천간 甲乙)

① 목의 정기가 뿌리로 모이는 계절이므로 토가 많아서 뿌리를 배양하는 것이 대길. 
② 수가 과다하면 뿌리가 썩으므로 좋지 않다. 
③ 금이 과다해도 해는 없다.(겨울의 금은 힘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④ 화가 많은 것은 뿌리를 따뜻하게 해 주고, 목의 정기를 충실하게 해 주므로 대길. 
⑤ 십이운성 조견표에서 사절(死絶)을 만나는 것은 아주 나쁘고, 장생제왕(長生帝旺)을 만나는 것은 대길. 
 

⊙ 춘하추동(春夏秋冬)의 화(火)의 길흉

◇ 춘월(春月)의 화(월의 지지가 寅卯辰月-1,2,3월에 해당되는 것으로 日의 천간이 丙丁인 사람-화에 해당)

① 봄은 목이 왕성하고, 화(火)와 융화를 이루어 좋다. 
춘월생으로서 화성(火性)인 병정(丙丁) 일생인 경우는 상생(相生)인 목이 있으면 좋은데 목이 과다한 것은 좋지 않다. 
목이 과다하면 화가 태워버린다. 
② 수(水)가 있어서 화를 조절해 주는 것이 좋다. 수가 과다한 것은 화가 소멸되므로 좋지 못하다. 
③ 토(土)가 과다하면 화의 빛이 싸이므로 좋지 못하다. 
④ 화가 지나치게 많으면 태워버리므로 좋지 않다. 
⑤ 금(金)은 재물이다. 화에 의해 단련되어 재(財)가 활동한다. 금은 많아도 상관없다. 재운이 많게 된다. 

◇ 하월(夏月)의 화(巳午未月-4,5,6월에 해당, 日의 천간 丙丁)

① 화가 극성을 부리므로 수(水)가 있으면 그걸 꺼버린다. 
② 목(木)은 화의 기운을 돕기 때문에 아주 나쁘다. 
③ 금(金)은 재물이며 , 화에 의해 단련되어 재운이 좋게 된다. 
④ 토는 있으면 좋다. 
⑤ 이상과 같이 금과 토가 길한데 수가 없으면 금과 토도 지나치게 건조하여 좋지 않다. 
사주에 수(水)가 없고 목운(木運)과 만나면 목이 화의 타오름을 돕게 되어 반드시 재액이 있다. 

◇ 추월(秋月)의 화(申酉戌月-7,8,9월에 해당, 日의 천간 丙丁)

① 가을은 화기(火氣)가 약하므로 목이 있어서 화를 돕는 것이 대길하다.. 
② 상극(相剋)인 수(水)와 만나게 되면 약해져 있는 불이 꺼지게 되므로 아주 나쁘다. 
③ 토(土)가 과다하면, 약한 불의 빛이 싸이기 때문에 아주 나쁘다. 
④ 금(金)이 과다하면 수세(水勢)를 도우므로 나쁘다. 
금은 물에서 나기 때문이다. 
⑤ 목(木)은 약해져 있는 화를 도우므로 목은 많을수록 좋다. 

◇ 동월(冬月)의 火(亥子丑月-10,11,12월에 해당, 日의 천간 丙丁) 

① 겨울의 화는 가장 약한 화이므로 목(木)의 도움이 있는 것이 대길. 
② 수(水)는 당연히 아주 나쁘다. 
③ 토(土)는 수(水)를 제압하므로 길하다. 
④ 화(火)가 더 있는 것은 화의 세(勢)를 도우므로 길하다. 
⑤ 금(金)은 재물인데 화(火)의 단련이 약하므로 이렇다 할 재운이 없다. 
금은 수를 생(生)하므로 금은 오히려 재액이 된다. 

⊙ 춘하추동(春夏秋冬)의 토(土)의 길흉 

◇ 춘월(春月)의 토(월의 지지가 寅卯辰月-1,2,3월에 해당되는 것으로 日의 천간이 戊己인 사람-토에 해당)

① 봄의 토(土)는 약하므로 토를 돕는 화(火)가 대길. 
② 토와 상극인 목(木)이 많은 것은 아주 나쁘다. 
③ 여기서는 수(水)가 재물인데 과다한 것은 좋지 않다. 
④ 토(土)가 더 있는 것은 길하다. 토가 약하기 때문이다. 
⑤ 금(金)은 목(木)을 억제하므로 길하지만, 금이 과다하면 나쁘다. 
금이 토(흙)에서 나지만 어느 한쪽이 많으면 다른 쪽이 힘을 잃는 법이다. 

◇ 하월(夏月)의 토(巳午未月-4,5,6월에 해당, 日의 천간 戊己)

① 여름의 토는 건조하기 쉬우므로 수로서 습윤케 하는 것이 대길. 
수는 여기서 재물이므로 재운이 있게 된다. 상쇄당하는 쪽이 재물이 된다. 
② 화는 토의 건조를 도우므로 아주 나쁘다. 
③ 목은 화를 초래하므로 나쁘다.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관계만으로 구애받아서는 안된다. 
④ 금은 水(물)에서도 나므로 길하다. 재운이 있다. 
⑤ 토가 더 있으면 매사가 순조롭게 되지 않으며 트러블이 많다. 토가 과다할 경우는 목운(木運)이 좋다. 

◇ 추월(秋月)의 토(申酉戌月-7,8,9월에 해당, 日의 천간 戊己)

① 가을은 토의 子인 금이 왕성한 계절로(보기를 보면 알 수 있다) 
母인 토가 약하므로 금이 과다하면 토가 심하게 힘을 잃어 아주 나쁘다. 
② 목이 많은 경우는 목을 억제하는 금이 오히려 길하게 된다. 
③ 화는 과다하더라도 약해져 있는 토를 도우므로 길하다. 
④ 수가 과다한 것은 토를 냉각시키므로 나쁘고, 
여기서 수(水)는 상극이므로 재물이지만 재운이 좋지 않다. 토는 더 있으면 좋다. 
⑤ 상강(戌月 하순) 이후의 태생이라면 계절적으로 
화기(火氣)가 쇠한 까닭에 토가 건조하지 않으므로 토가 더 있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 동월(冬月)의 토(亥子丑月-10,11,12월에 해당, 日의 천간 戊己)

① 겨울의 토는 표면이 냉각되어 있고 내부가 따뜻하다. 
동월 태생의 토를 가진 사람은 표면은 매정하지만 속마음은 따뜻한 사람이다. 
② 여기선 수가 왕성한 계절이므로 수가 많은 사람은 재운(財運)이 좋다. 
③ 금이 많은 사람은 재물인 수를 낳으므로 길하다. 
④ 화가 왕성하면 토를 따뜻하게 해 줌으로써 잘 된다. 
⑤ 목(木)은 화(火)를 낳으므로 목은 많더라도 아무 상관없다. 
⑥ 토가 하나 더 있어서 생일 천간이 강화되는 것도 대길하다. 장수하게 된다. 

⊙ 춘하추동(春夏秋冬)의 금(金)의 길흉

◇ 춘월(春月)의 금(월의 지지가 寅卯辰月-1,2,3월에 해당되는 것으로 日의 천간이 庚辛인 사람-금에 해당)

① 춘월의 금은 겨울의 남은 추위 때문에 금이 식어 있으므로 화(火)가 대길. 
② 봄의 금은 약하므로 토의 보강이 있는 것이 길하다. 
③ 수와 만나게 되면 수의 냉기 때문에 아주 나쁘다. 
④ 금이 약하므로 금이 더 있는 것이 대길. 단 그 경우에는 화가 없으면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 하월(夏月)의 금(巳午未月-4,5,6월에 해당, 日의 천간 庚辛)

① 금이 극히 약해지는 巳午未月이므로 십이운성 조견표에서 사절 혹은 사절의 대운, 
세운과 만나는 것은 아주 나쁘다. 
② 火가 많은 것은 나쁘다. 쇠(금)를 녹이기 때문이다. 
③ 수는 화를 억제하므로 길하다. 
④ 목은 화를 낳으므로 재액이 있다. 단 금과 상극을 받는 관계이므로 재운(財運)은 있다. 
⑤ 금이 하나 더 있는 것은 약한 금을 보강하므로 길하다. 
⑥ 토는 얇은 것이 길하다. 토가 두터우면 금이 힘을 잃는다. 

◇ 추월(秋月)의 금(申酉戌月-7,8,9월에 해당, 日의 천간 庚辛)

① 금이 최강의 시기이므로 화(火)에 의해 단련되면 종이나 솥의 재료가 된다. 그러므로 화가 가장 좋다. 
② 토가 많으면 금이 더욱 강해지므로 나쁘다. 
③ 수는 강한 금을 가져오므로 발전운이 된다. 
④ 금이 더해지면 금이 슬슬 강하게 되어 재액이 있다. 지나치게 많으면 오히려 좋지 않다. 

◇ 동월(冬月)의 금(亥子丑月-10,11,12월에 해당, 日의 천간 庚辛)

① 금과 물이 모두 차가운 시기다. 금이 약한 시기이므로 목이 많으면 금과 상극이 되어 나쁘다. 
② 토는 수(겨울에 강하다)를 억제하고 금을 보호하는 까닭에 길하다. 
화가 토를 낳고(불은 흙과 친하다) 토는 금을 낳으므로 母인 토와 子인 금도 다 같이 발달한다. 
③ 금이 하나 더 있는 것이 길하다. 화와 토가 협력하는 것도 길하다.  

⊙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수(水)의 길흉 

◇ 춘월(春月)의 수(월의 지지가 寅卯辰月-1,2,3월에 해당되는 것으로 日의 천간이 壬癸인 사람-수에 해당)

① 봄의 수는 범람하기 쉽다. 거기에 또다시 수가 가해지면 제방이 훼손되므로 아주 나쁘다. 
이 경우에는 토가 왕성하면 훼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길하다. 
② 수와 상생(相生)인 금은 조화롭기 때문에 환영할 만하지만 금이 지나치게 많으면 홍수가 되는 까닭에 나쁘다. 
③ 화(火)는 재물이다. 상극을 받는 것이 재물이 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수화(水火)의 밸런스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火)가 있으면 재운이 있지만 화가 지나치게 강한 것도 좋지 않다. 
④ 목(木)은 화의 재물을 낳으므로 길하다. (木生火) 
⑤ 모든 경우에 토가 바람직하다. 토가 없으면 물이 급하게 흐른다. 물을 흙으로 막아야 한다는 뜻이다. 

◇ 하월(夏月)의 수(巳午未月-4,5,6월에 해당, 日의 천간 壬癸)

① 여름의 수는 한 곳에 머물고 흐르는 물은 마르기 쉽다. 수가 더 있는 것도 길하다. 
② 금도 수를 도우므로 길하다. (金生水) 
③ 화는 수의 고갈을 재촉하므로 나쁘다. 
④ 목은 수의 힘을 잃게 하므로 나쁘다. 
(日의 천간에 목이 있으면 水가 木을 돕지만 日의 천간에 수가 있으면 목이 수를 누기(漏氣) 시키는데 주의한다) 
⑤ 토가 왕성하면 물흐름을 방해하므로 나쁘다.

◇ 추월(秋月)의 수(申酉戌月-7,8,9월에 해당, 日의 천간 壬癸)

① 가을은 금이 왕성(위 보기에서)하므로 금의 도움이 있으면 상생(相生)인 수가 청순하게 되므로 길. 
② 토가 왕성하면 수가 흐려지므로 나쁘다. 
③ 화는 재물이므로 화가 많으면 가을의 금에게도 좋고(화가 쇠를 녹여 쓰임새가 좋다) 
어쨌든 재운(財運)이 성대하게 되어 대길하다. 
④ 목이 많은 것은 화(火)의 재물을 도와 발전운이다. 
⑤ 수(水)가 많은 것은 홍수가 나므로 아주 나쁘다. 이 경우에는 토가 많으면 일이 없다. 

◇ 동월(冬月)의 수(亥子丑月-10,11,12월에 해당, 日의 천간 壬癸)

① 겨울은 수가 왕성한 계절이므로 수의 세력이 강하므로 화와 만나는 것이 대길하다. 
② 토는 수를 덮기 때문에 침체운이 된다. 
③ 금은 수의 세를 한층 도우므로 나쁘다. 
④ 목은 강한 수의 힘을 잃게 하므로 길하다. 
⑤ 강한 수에 수가 더해지는 것은 홍수가 되므로 나쁘다. 
이경우는 토가 있는 것이 좋은데 토가 과다하면 물이 흐르지 못하게 되므로 나쁘다

 

 

 

온 인류가 코로나로 힘든가운데 우리의 전통 민속 명절 설을 맞이하여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코로나로 힘든가운데

새 봄이 왔으니 크게 길하시고

경사스러운 좋은일만 있기를 바랍니다.

 

2021年 辛丑年 土亭秘訣

위 토정비결를 [click]클릭하세요
 
궁합, 운세, 결혼택일, 별자리, 쉼터 등도
꽁자로 볼수 있습니다.

 Faust

맑고 밝게 아름답고 향기롭게

1위

아시타비(我是他非) 

我:나 아. 是:바를 시. 他:다를 타. 非:아닐비.
아시타비의 뜻은 '나는 옳고, 타인은 그르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로남불과 같은 의미로서 같은 상황을 두고 
자신에 해당되는 경우는 관용하고, 타인이 하는 것은 비판 혹은 비난하는 태도를 말하는데요. 
아시타비와 또다른 비슷한 사자성어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 
그것은 반구저신(反求諸身)인데요. 
중용을 자신에게 먼저 물으라고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동일한 잣대를 가지고 타인과 자신의 상황을 내비춰보라는 의미가 될거고 
먼 과거 먼 나라에 살았던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라는 느낌까지 주는 군요.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는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뜻의 ‘아시타비’(我是他非)였다.
교수신문은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교수 906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아시타비가 588표(32.4%·2개씩 선정)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아시타비는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을 한문으로 옮긴 신조어로, 
올 한해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발생한 이중 잣대가 이번 설문 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시타비를 추천한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는 
“모든 잘못을 남 탓으로 돌리고 서로를 상스럽게 비난하고 헐뜯는 
소모적 싸움만 무성할 뿐 협업해서 건설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도 
“여야, 진보와 보수,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 사이는 물론 
코로나19 바이러스 발생을 두고서도 사회 도처에서 ‘내로남불 사태’가 불거졌다”고 했다.
아시타비에 이어 ‘후안무치’(厚顔無恥)가 396표(21.8%)로 2위에 올랐다. 
‘낯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으로, 아시타비와도 뜻이 통한다.

2위

후안무치(厚顏無恥)

厚:두터울 후. 顏:얼굴 안 . 無:없을 무. 恥:부끄러울 치
얼굴이 두꺼워서 부끄러움이 없다라는 뜻의 한자성어.
중국 하나라 계(啓)왕의 아들 태강은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가 
이웃나라 유궁국의 왕 후예에게 귀로를 끊기고 결국 쫒겨나 비참하게 죽었다. 
이에 그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 번갈아가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 중 막내가 불렀다고 하는 노래에는 이러한 대목이 보인다.
"만백성들은 우리를 원수라 하니 우린 장차 누굴 의지할꼬. 답답하고 서글프다. 
이 마음,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구나."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얼굴에 철판 깔았다'. 
철면피보다 더욱 심한 경우에 사용하며, 
흑심을 품었다가 뻔뻔하게 나온다는 점에서는 인면수심과 약간 상통한다. 
다만 인면수심은 대체로 '인간의 탈을 쓴 악마' 
혹은 '악마같은 성격을 지닌 사람'를 뜻하므로 차이가 꽤 크다.

3위

격화소양(隔靴搔癢) 

隔:떨어질 격. 靴:가죽신 화. 搔:긁다 소. 痒:가렵다 양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일이 성에 차지 않는 안타까움을 이르는 말. 
중국 고문서 속 전등록에 나온다. 
우리 속담의 ‘수박 겉핥기’와 같다. 
무슨 일이나 작업따위가 애써 하기는 하나 효과나 성과를 얻지 못하거나 지지부진하는 말을 말한다.
隔鞋搔癢(격혜소양), 隔靴爬癢(격화파양)이라고도 합니다.
신을 신은채로 가려운 발바닥을 긁어 보아도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뜻에서 , 
무슨일을 애써 하기는 하나 요긴한 곳에 미치지 못하는 감질나는 마음을 비유한 말입니다.
<속전등록(續傳燈錄)>의  (上堂更或拈帚敲牀 大似隔靴搔痒) 상당경혹념추고상 대사격화소양.
"당에 올라 비를 잡고 침상을 두드리니 ,신을 신고 가려운 곳을 긁는것과 같다"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입니다.
이와 같이 요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헛수고만 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입니다.

4위

첩첩산중(疊疊山中) 

疊:거듭 첩. 疊:거듭 첩. 山:메 산. 中:가운데 중
'여러 산이 겹치고 겹친 산속.'이라는 뜻의 고사성어

5위

천학지어(泉涸之魚) 

泉:샘 천. 涸:물마를 학. 之:갈 지. 魚:물고기 어
말라가는 샘에서 물고기들이 서로를 돕는다.
천학지어(泉涸之魚)란 장자 대종사에 나오는 말로 
샘물이 마르자 물고기들이 서로 모여 침으로 서로를 적셔주는 모습을 나타내며, 
같이 곤경에 처하여 미력한 힘이나마 서로를 돕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6위

중구삭금(衆口鑠金) 

衆:무리 중 . 口:입 구 . 鑠:녹일 삭 . 金:쇠 금
여러 사람이 합해 말하면 굳은 쇠도 녹인다는 뜻 
나혼자 할 수 없는 일을 여럿이 함께 하면 크게 이룰 수 있다. 
서로 조금만 밀어주고 배려하고 도와주면서 감사하고 사랑하며 믿으며 한발씩 나아간다면 못할 게 없다. 
이기적인 마음이 이타적인 마음으로 방향을 틀고 한 마음으로 함께 한다면 '같이의 가치'를 실현할 것이다. 
오늘도 함께 하면 큰 힘이 된다는 것을 믿으며 한발 나아간다.

오늘은 항상 년말이되면 울려 퍼지는 올드 랭 사인 이야기를 해 본다.

작별을 뜻하는 스코틀랜드의 민요다. 
작별(作別, Auld Lang Syne, 올드 랭 사인)은  
스코틀랜드의 가곡이자 작자가 확실한 신 민요이다.  
스코틀랜드의 시인인 로버트 번스가 1788년에 어떤 노인이 부르던 노래를 기록하여  
그것을 가지고 지은 시를 가사로 하여 윌리엄 쉴드가 작곡한 곡이며  
영미권에서는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면서 부르는 축가로 쓰인다.  
올드 랭 사인은 스코트어로 '오랜 옛날부터(영어: old long since)'라는 뜻이다. 
영화 '애수(원제:Waterloo Bridge→워털루 부리지(다리))'의 주제곡으로 쓰였다.  
석별의 정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외세의 침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해 있던 1907년 즈음,  
조국애와 충성심 그리고 자주의식을 북돋우기 위해  
대한민국 애국가의 노랫말이 완성되었고  
그 직후 올드 랭 사인의 곡조를 붙여 민중들에게 널리 불렸다.  
1919년 3월 1일, 3·1 운동때의 한반도의 민중들도  
올드 랭 사인의 멜로디를 라디오로 들으며 애국가를 부른 것이다. 
안익태가 후에 애국가에 외국의 이별노래 곡조에 부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35년 현재의 애국가 곡을 작곡하였고, 
1948년 대통령령에 따라 안익태가 작곡한 한국환상곡이  
애국가의 멜로디로 정해지기 전까지는 '올드 랭 사인'이 애국가의 멜로디로 사용되었다. 
1953년에, 영화 '애수'가 상영되면서 이 노래가 다시 소개되었고,  
시인 강소천이 한국어 번역가사를 붙였다.  
이후 졸업식에서 환송곡으로 많이 불리곤 했다. 
2000년대에 들어선 가수 김장훈이 올드 랭 사인 곡조에  
애국가 가사를 붙인 속칭 '독립군 애국가' 를  
2012년 하계 올림픽 응원가로 리메이크하여 발표하였다. 
개신교 측에서는 '천부여 의지 없어서' 라는 찬송가로 쓰는 중이다. 

 

Mariah Carey - Auld Lang Syne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Ey, oh yeah, ey, ey, eh

Happy New Year baby, eh, oh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auld lang syne
Does anybody really know the words
Might as well sing along
Happy New Year baby oh~oh
Happy New Year baby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Happy New Year To you and your friends
And have a drink on me
Happy New Year To you the to 
And have a drink on me

Ten, night, eight, seven, six, five, four, three, two, one
Happy new year

 


Celtic Woman - Auld Lang Syne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nd surely you'll buy your pint-cup
And surely I'll buy mine
And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nd here's a hand, my trusty friend
And give me a hand of thine
And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h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1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옛 친구들을 어찌 잊고
and never brought to mind?
다시 생각하지 않을까?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정든 친구들 어찌 잊으며
and days of auld lang syne?
그리운 시절 어찌 잊을까?

 

후렴
For auld lang syne, my dear,
지나간 그리운 시절위해
for auld lang syne,
이보게, 그리운 시절위해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우리 우정의 잔을 함께 드세,
for auld lang syne.
그리운 그 시절을 위하여.

 

2
And surely ye 'll be your pint' stowp
자네의 술은 자네가 사게나
And surely I 'll be mine,
당연히 내 술은 내가 사겠네,
And we 'll take a cup o' kindness yet
자 이제 우리 우정의 잔을 함께 드세
For auld lang syne!
그리운 그 시절을 위하여

3

We twa hae run about the braes,
우리 둘은 언덕에서 뛰놀며
And pou'd the gowans fine,
예쁜 데이지 꽃을 따 모았지,
But we've wander'd monie a weary fit,
하지만 우리는 오랫동안 지친 발로 여기저기
Sin auld lang syne.
헤매 다녔어 그 시절 이후 내내.

4

We twa hae paidl'd in the burn
우리 둘은 시냇물에서 노를 저었지
Frae morning sun till dine,
아침 해가 떠서부터 저녁 식사때까지
But seas between us braid hae roar'd
하지만 우리를 갈라놓은 넓은 바다는 큰소리로 우르렁거렸네
Sin' auld lang syne.
그리운 그 옛시절부터

5절
And there’s a hand, my trusty fiere !

내 사랑하는 친구야, 그 손이 저기 있으니 
and gie's a hand o’ thine !

손을 뻗어 내 손을 잡게 
And we’ll tak a right gude-willy waught,

유쾌한 한잔을 같이 마시니 
for auld lang syne.

오래된 옛날을 위해



Auld Lang Syne 원곡

Auld Lang Syne. 워털루 부릿지

애국가

CelticWoman - Auld Lang Syne

Mariah Carey - Auld Lang Syne

Boney M-Auld lang syne

 

남성에게 특별히 좋은 식품 5가지


남녀 모두에게 좋지만 특히 남성에게 더 좋은 음식이 있다.
우리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으로
남성의 스태미나 증진에 좋은 것들이다.
‘스타일크레이즈닷컴’ 등의 자료를 토대로
남성 건강에 좋은 식품 5가지를 알아본다.


1. 자두
사람을 기운차게 한다.
혈관 벽에 플라크가 쌓이는 것을 막아주고
동맥을 깨끗하게 한다.
혈액순환이 잘 되기 때문에 발기력이 향상된다.


2. 토마토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제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몸의 세포를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고추, 마늘, 시금치, 브로콜리, 사탕무, 베리류 등에도
항산화제가 많이 들어있다.


3. 올리브오일
지중해에서 주로 생산되며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돼 있다.
성 욕구를 고조시키는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만들어 낸다.
매일 두 스푼 정도만 섭취하면 충분하다.


4. 아몬드
비타민 E를 공급하는 최상의 식품으로
강력한 산화방지제 역할을 한다.
노화를 예방하고 몸 안에 있는 힘을 발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호두와 연어에도 이런 효능이 있다.


5. 다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을 자주 먹는 사람은
안 먹는 사람에 비해 성욕구와 기능이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초콜릿 속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혈액 순환을 좋게 해
성생활을 향상시킨다.



1. IQ (지능지수) Intelligence Quotient

IQ는 어떤 문제가 주어졌을 때 이해하고 분석하고 추리해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을 말한다.
IQ가 높으면 사물에 대한 이해력 및 추리력 등 사고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인내심,
자기 동기화 등 모든 조건이 똑같은 상황에서 다른 그룹보다 월등하게 성공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IQ의 80%는 이미 유전적인 원인으로 결정되고 나머지 20%도 4~6세 전에 결정되기 때문에
이 시기를 놓치면 나머지 20%도 개발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2. EQ (감성지수) Emotional Quotient

감정과 느낌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IQ가 똑똑한 아이를 상징하는 것과 달리 EQ는 긍정적인 자아개념,
남들과 교감할 수 있는 능력,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이끄는 능력을 의미한다.
대개 EQ가 높은 사람은 정감이 있고 믿을 수 있으며 많은 사람과 쉽게 잘 사귀는 편이다.

EQ는 0~5세 정도에 거의 형성된다.
따라서 어릴적 주변환경이 어떠냐에 따라 아이의 EQ가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다.
부모가 항상 사랑으로 따뜻하게 보살핀 아이는 커서도 자긍심이 높고 희망적인 아이가 되지만
사랑없이 불안정하게 자란 아이는 자라서도 정서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따라서 아이에게 꾸준한 관심과 다양한 자극을 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이가 울음이나 미소로 의사표시를 할 때 부모가 항상 긍정적인 자세로 대함으로써
아이는 세상에 대한 신뢰감과 애착을 가지며 EQ가 높은 사람으로 성장하게 된다.

 

3. MQ (도덕지수) Moral Quotient

도덕지수는 얼마나 착하고 양심적인가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도덕지수의 향상은 어린아기때 시작되어 초등학교 시절에 거의 완성된다.
MQ의 개발은 실생활에서 사람들과 부딪히며 훈련을 통해서 쌓아야 한다.
학교에서 배우는 규칙의 암기나 학교수업을 통한 추상적인 토론,
집 안에서의 순응교육은 MQ훈련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회생활에서 부모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델로 스스로 판단하면서,
올바른 것이 무엇인가를 깨닫는 과정에서 훈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가 말로는 도덕을 강조하지만 아이 앞에서 질서를 어기거나
도덕적으로 어긋난 행동을 한다면 아이의 도덕의식은 상처를 입게 되고,
두 개의 가치관을 가지게 된다.


4. SQ (사회성 지수) Social Quotient

사회생활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잘 어울릴 수 있는지 사회적응력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SQ는 알고 느끼는 것을 사회속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이용하느냐 하는 능력을 말한다.
SQ는 선천적인 것보다는 후천적인 요소가 많고 또래 친구와 어울리는 3~4세부터 바탕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성이 높은 아이는 적응력이 높으며 SQ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재능을 알맞게 실생활에 투자하고 개발할 수 있다.
한마디로 사회가 요구하는 대인관계와 상황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적응력, 실천력 등을 갖춘 사회적인 인간으로 활동한다.

 

 

5. CQ (창조성 지수) Creative Quotient

한마디로 말하자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이것은 IQ와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며, 사물을 이해하고 분석해서 종합하는 능력면에서는 IQ와 같지만
종합할 때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다른 면을 보고 새로운 방향으로 종합 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CQ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분위기와 함께 실수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모험을 즐길 수 있는 생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한다.
창의력이 억압받지 않도록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6. AQ (유추 지수) Analogy Quotient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여러 가지 사실들에서 어떤 유사성을 찾아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 유추이다.
유추의 능력이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는 시기는 2~5세이다.
이시기의 아이는 자기 주장을 강하게 표현하고 모든 것을 실험해 보고 싶어한다.
이때 가만히 아이 행동을 지켜보고 혼자서 해결하도록 유도하며 칭찬을 자주해 준다.
또 아이에게 무언가를 설명 해줄 때는 아이와 친숙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아이 능력에 따라 가르치고 경험하게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게 하고
아이에게 자기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AQ를 키우면 논리력, 사회성, 창의력등이 발달된다

 

 

7. PQ (열정 지수) Personality Quotient 

 

열정지수. 강렬한 의지의 근간이 되는 것이 PQ지수다.
또는 `Personality Quotient'의 약자로, 풀이하자면 `인간성 지수'라고도 한다..

 


8. GQ (글로벌 지수)

 

세계인으로서의 양식과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는 것.
지구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자녀들은 한국인인 동시에 세계인이라는 분명한 자의식이 있어야 한다.

 

 

9. DQ (디지털 지수)

 

디지털에 대한 이해력 지수.
단순히 컴퓨터 기술만을 잘하는 게 아니라 정보기술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이 필요하다.

 

 

 

 


=========아래부터는 비공식적인 지수입니다.============

 

 

 

10. NQ

공존지수, 관계지수, 네트워크지수 (Network Quotient)

함께 사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얼마나 잘 운영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을 재는 지수다.
공존지수가 높을수록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쉽고,
소통으로 얻은 것을 자원으로 삼아 더 성공하기 쉽다는 개념이다.
물론 내가 속한 집단은 잘 되고 다른 집단은 소외시킨다는 ‘패거리’ 개념이 아니라
서로 잘 살도록 도와야 한다는 이타적 개념에 가깝다.

사회성 지수인 SQ와도 유사한 개념이다.

 

11. HQ

 

유머지수 (Humor  quotient)

유머능력을 재는 지수이다.

웃음은 능력이 아니라 습관이라는 말이 있다.
유머를 존중하고 사랑하며 익히는 습관은 유머 리더로 성공하는 지름길이다.
여기에는 웃는 습관, 인생을 즐기는 습관이 포함된다.
또한 모든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습관, 즐겁게 일을 받아들이는 습관,
동료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습관, 일을 재미있게 하려는 습관 등이 유머 리더로 가는 길이다.

 

12. HQ

 

건강지수 (Health Quotient)

자신의 건강을 통제하는 지수 .
단순히 육체적 건강 수치이기 보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자기 통제능력,
신체 이상징후 판단 능력 등이 포함된다.


13. FQ

경제지수(Financial Quotient)

경제 감각이 어느정도인지 판단하는 지수. MQ(Money Quotient) 라고도 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부를 축척하는 중요한 지수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14. AQ

반부패 지수 (Anti-corruption Quotient), 
유추지수와 약자가 동일하다(Analogy Quotient) 유추지수가 더 널리쓰임.

도덕성지수(MQ)와도 유사한 개념이다.
어떠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얼마나 잘못을 인정할 줄아는지,
얼마나 잘못을 덮지 않고 인정하는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변명하지 않는지 판단하는 지표이다.

 

 

三池淵 管絃樂團 首尔 國立劇場 公演 2018.2.11.

 

 

三池淵 管絃樂團 江陵 公演 2018.2.8.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에게 특별히 좋은 식품 5가지  (0) 2019.05.26
IQ.EQ.MQ.SQ 이야기  (0) 2018.03.29
비비각시 이야기  (0) 2018.01.28
대학 교수들이 뽑은 새해 2018 사자성어  (0) 2017.12.20
Happy New Year 2018  (0) 2017.12.14
비비각시

 

사전적 의미는 비비각시 [명사] 유랑녀의 하나.


승화된 사랑의 이야기
하늘이 보살핀 사랑 이야기
그 전설의 비비각시섬 이야기
애절한 사랑을 담은 전남 신안군 압해도 비비각시 전설이 있다고 합니다.
비비각시 전설은 옛날 하나의 나라인 압해도에서 왕자와 공주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다.


옛날 압해도는 아름다운 하나의 나라였다.
이 조그마한 나라에 왕이 계셨는데 이 왕에게는 슬하에 아들이 하나 있었다.
나라 일도 잘 되어 가고 왕의 가족들도 행복하고 평화로운 나날을 보냈다.
이 평화로운 가정에 갑자기 암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그것은 항상 자기의 생명보다 더 소중히 왕자를 돌봐주던 왕비가 병석에 눕게 된 일이다.
왕자도 왕도 정성을 다하여 왕비를 간호하였으나 병은 점점 악화되어 갔다.
어느 날 자기의 생명이 다해가는 순간을 안 왕비는 왕자를 불러
"너는 내가 정해준 이웃나라 공주와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아라"는
유언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슬픔에 싸인 이 가정의 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인생의 무상함과 덧없음을 다시 한번 한탄했다.
왕도 왕자도 왕비의 유언에 따라 이웃나라 공주와 결혼할 것을 결심하였으며
공주도 서로 사랑하고 의지하며 어떤 일이 있더라도 결혼을 이루기로 약속했다.
세월이 흘러 죽은 왕비를 잊게 된 왕은 자식이 넷 있는 어여쁜 여인과 결혼하였다.
새 왕비는 왕이 있을 때는 왕자를 사랑하는 척 하였으나, 왕이 없을 때에는 매우 미워하였다.
자기 친자식에 비해 영리하고 잘생긴 왕자를 시기하다 미움으로 변하여
결국 죽여 버리고 싶은 마음으로 변해버렸다.
이러한 새 왕비가 왕자의 결혼을 순순히 응해 줄 리가 없었다.
더욱이 공주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일은 도저히 불가능하였다.
결국 왕비는 최후 수단으로 요술할멈을 불러 왕자를 구렁이로 만들어 버렸다.
이것을 안 공주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가슴이 에이고 하늘이 무너지는 듯 하였다.
그러나 공주는 결코 실망하지 않았다.
"좋다 비열한 것 같으니 구렁이면 어떤가? "라고 생각한 공주는
구렁이로 변신한 왕자와 결혼할 것을 결심했다.
새 왕비는 가만히 있지 않았다.
구렁이가 된 왕자를 왕 몰래 바다로 쫓아냈다.
분하고 억울한 일이었으나 어머니의 명령에 거역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효성 높은 왕자는 바다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용왕님은 의로운 사람을 죽음의 구렁에서 건져주셨다.
공주도 바다에 몸을 던졌다.
이 순간 구렁이로 변신한 왕자는 공주를 구하여 조그마한 모래섬에 함께 있게 되었다.
공주는 밤낮으로 남편을 본래 모습의 왕자로 만들어 달라고 눈물을 흘리면서 빌었다.
그러던 어느날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이들을 태우고 하늘로 올라갔다 한다.
그 후로 사람들은 이 모래섬을 비비각시라고 불렀다.
비비각시란 이곳에서 공주가 밤낮으로 빌었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라 한다.
이 모래섬은 복룡리 중촌과 송림 뒤 바다에 쓸쓸하게 솟아있다.

 

 

비비각시-서정아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Q.EQ.MQ.SQ 이야기  (0) 2018.03.29
삼지연 관현악단 서울 강릉 공연  (0) 2018.03.02
대학 교수들이 뽑은 새해 2018 사자성어  (0) 2017.12.20
Happy New Year 2018  (0) 2017.12.14
아름다운 가을산 풍경 사진  (0) 2017.10.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