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地山謙(지산겸) (0) | 2015.05.20 |
---|---|
14.火天大有(화천대유) (0) | 2015.05.20 |
13.天火同人(천화동인) (0) | 2015.05.17 |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15.地山謙(지산겸) (0) | 2015.05.20 |
---|---|
14.火天大有(화천대유) (0) | 2015.05.20 |
13.天火同人(천화동인) (0) | 2015.05.17 |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15.地山謙(지산겸)
謙亨(겸형) : 겸손하면 형통하리니
君子有終(군자유종)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두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謙亨(겸형) : ‘겸형’은
天道下濟而光明(천도하제이광명) : 하늘의 도리는 작용이 아래로 내려 와 빛나고
地道卑而上行(지도비이상행) : 땅의 도리는 낮은 위치를 지킴으로서 그 작용이 위로 올라 가 시행된다
天道虧盈而益謙(천도휴영이익겸) : 하늘의 도는 이지러지고 차고 하여 차지 않은 것을 보탠다
地道變盈而流謙(지도변영이류겸) : 땅의 도는 가득 찬 것을 변경하여 차지 않은 곳에 흘러든다
鬼神害盈而福謙人(귀신해영이복겸인) : 귀신은 가득 차 있는 것에는 해를 주고 겸손한 자에게는 복을 준다
道惡盈而好謙(도악영이호겸) : 사람의 도리는 교만한 것을 미워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謙尊而光(겸존이광) : 높은 지위를 겸손히 하면 빛나고
卑而不可踰(비이불가유) : 낮은 자리에 있는 자는 남이 업신여기지 못한다
君子之終也(군자지종야)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둔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地中有山謙(지중유산겸) : 낮은 땅에 높은 산이 있는 것이 겸괘의 상이다
君子以裒多益寡(군자이부다익과) : 군자는 이 괘상을 보고 많은 것에서 들어 적은 것에 보태어
稱物平施(칭물평시) : 사물의 균형을 살피고 공평하게 베푼다
初六(초육) : 초육은
謙謙君子(겸겸군자) : 겸손한 군자는
用涉大川吉(용섭대천길) : 큰 내를 건너는 일을 해도 길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謙謙君子(겸겸군자) : ‘겸손한 군자’란
卑以自牧也(비이자목야) : 낮추어서 스스로를 기르는 자이다
六二(육이) : 육이는
鳴謙貞吉(명겸정길) : 명성이 나도 겸손하고 곧으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鳴謙貞吉(명겸정길) : ‘명성이 나도 겸손하고 곧다’는 것은
中心得也(중심득야) : 중심을 얻었다는 것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勞謙君子(로겸군자) : 수고해도 겸손한 군자는
有終吉(유종길) : 끝에 길함이 있을 것이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勞謙君子(로겸군자) : ‘수고해도 겸손한 군자’에게는
萬民服也(만민복야) : 만민이 심복한다
六四(육사) : 육사는
無不利撝謙(무불리휘겸)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無不利撝謙(무불리휘겸)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에 이롭지 않음’은
不違則也(불위칙야) : 규칙을 어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六五(육오) : 육오는
不富以其鄰(불부이기린) : 부귀하면서도 그 이웃을 해하지 않으니
利用侵伐(이용침벌) : 이용 침벌해도
無不利(무불리) :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利用侵伐(이용침벌) : ‘이용 침벌이라함’은
征不服也(정불복야) : 복종하지 않는 자를 정벌함이다
上六(상육) : 상육은
鳴謙(명겸) :
利用行師(이용행사) :
征邑國(정읍국) :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鳴謙(명겸) : ‘명성을 얻었으나 겸손하다함’은
志未得也(지미득야) : 뜻을 아직 얻지 못함이라
可用行師(가용행사) : 군사를 동원하면
征邑國也(정읍국야) : 작은 읍국을 정벌할 수 있다
【傳】謙, 序卦, 有大者, 不可以盈, 故受之以謙, 其有, 旣大, 不可至於盈滿, 必在謙損, 故大有之後, 受之以謙也,
爲卦, 坤上艮下, 地中有山也, 地體, 卑下, 山, 高大之物而居地之下, 謙之象也, 以崇高之德而處卑之下, 謙之義也.
謙, 亨하니 君子 有終이니라.
【傳】謙有亨之道也, 有其德而不居, 謂之謙, 人, 以謙巽自處, 何往而不亨乎, 君子有終, 君子, 志存乎謙巽, 達理, 故樂天而不兢, 內充, 故退讓而不矜, 安履乎謙, 終身不易, 自卑而人益尊之, 自晦而德益光顯, 此所謂君子有終也, 在小人則有欲必競, 有德必伐, 雖使勉慕於謙, 亦不能安行而固守, 不能有終也.
【本義】謙者, 有而不居之義, 此乎內而順乎外, 謙之意也, 山, 至高而地, 至卑, 乃屈而止於其下, 謙之象也, 占者, 如是則亨通而有終矣, 有終, 謂先屈而後伸也.
彖曰 謙亨은 天道下濟而光明하고 地道卑而上行이라.
【傳】濟, 當爲際, 此, 明謙而能亨之義, 天之道, 以其氣, 下際, 故能化育萬物, 其道, 光明, 下際, 謂下交也,
地之道, 以其處卑, 所以其氣, 上行, 交於天, 皆以卑降而亨也.
【本義】言謙之必亨.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傳】以天行而言, 盈者則虧, 謙者則益, 日月陰陽, 是也.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傳】以地勢而言, 盈滿者, 傾變而反陷, 卑下者, 流注而益增也.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傳】鬼神, 謂造化之跡, 盈滿者, 禍害之, 謙損者, 福祐之, 凡過而損, 不足而益者, 皆是也.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傳】人情, 疾惡於盈滿而好與於謙巽也, 謙者, 人之至德, 故聖人, 詳言所以, 戒盈而勸謙也.
謙,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傳】謙爲卑巽也而其道, 尊大而光顯, 自處, 雖卑屈而其德, 實高, 不可加尙, 是不可踰也, 君子, 至誠於謙, 恒而不變, 有終也, 故尊光.
【本義】變, 謂傾壞, 流, 謂聚而歸之, 人能謙則其居尊者, 其德, 愈光, 其居卑者, 人亦莫能過, 此, 君子所以有終也.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 以하야 裒多益寡하야 稱物平施하나니라.
【傳】地體, 卑下, 山之高大而在地中, 外卑下而內蘊高大之象, 故爲謙也, 不云山在地中而曰地中有山, 言卑下之中, 蘊其崇高也, 若言崇高, 蘊於卑下之中則文理, 不順, 諸象, 皆然, 觀文可見, 君子以裒多益寡稱物平施, 君子觀謙之象, 山而在地下, 是高者, 下之, 卑者, 上之, 見抑高擧下損過益不及之義, 以施於事則裒取多者, 增益寡者, 稱物之多寡, 以均其施與, 使得其平也.
【本義】以卑蘊高, 謙之象也, 裒多益寡, 所以稱物之宜而平其施, 損高增卑, 以趣於平, 亦謙之意也.
初六,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라도 吉하니라.
【傳】初六, 以柔順, 處謙, 又居一卦之下, 爲自處卑下之至, 謙而又謙也, 故曰謙謙, 能如是者, 君子也, 自處至謙, 衆所共與也, 雖用涉險難, 亦无患害, 況居平易乎, 何所不吉也, 初處謙而以柔居下, 得無過於謙乎, 曰柔居下, 乃其常也, 但見其謙之至, 故爲謙謙, 未見其失也.
【本義】以柔處下, 謙之至也, 君子之行也, 以此涉難, 何往不濟, 故占者, 如是則利以涉川也.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傳】謙謙, 謙之至也, 謂君子, 以謙卑之道, 自牧也, 自牧, 自處也, 詩云自牧歸荑.
六二, 鳴謙이니 貞코 吉하니라.
【傳】二以柔順, 居中, 是爲謙德, 積於中, 謙德, 充積於中, 故發於外, 見於聲音顔色, 故曰鳴謙, 居中得正, 有中正之德也, 故云貞吉, 凡貞吉, 有爲貞且吉者,
有爲得貞則吉者, 六二之貞吉, 所自有也.
【本義】柔順中正, 以謙有聞, 正而且吉者也, 故其占, 如此.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傳】二之謙德, 由至誠, 積於中, 所以發於聲音, 中心所自得也, 非勉爲之也.
九三,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傳】四居上體, 切近君位, 六五之君, 又以謙柔自處, 九三, 又有大功德, 爲上所任衆所宗而己居其上, 當恭畏以奉謙德之君, 卑巽以讓勞謙之臣, 動作施爲,
无所不利於撝謙也, 撝, 施布之象, 如人手之撝也, 動息進退, 必施其謙, 蓋居多懼之地, 又在賢臣之上故也
【本義】柔而得正, 上而能下, 其占, 无不利矣, 然, 居九三之上, 故戒以更當發揮其謙, 以示不敢自安之意也.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의 服也라.
【傳】三, 以陽剛之德而居下體, 爲衆陰所宗履, 得其位, 爲下之上, 是上爲君所任, 下爲衆所從, 有功勞而持謙德者也, 故曰勞謙, 古之人, 有當之者, 周公, 是也,
身當天下之大任, 上奉幼弱之主, 謙恭自牧, 夔夔如畏然, 可謂有勞而能謙矣, 旣能勞謙, 又須君子, 行之, 有終則吉, 夫樂高喜勝, 人之常情, 平時能謙, 固己鮮矣,
況有功勞可尊乎, 雖使知謙之善, 勉而爲之, 若矜負之心, 不忘則不能常久, 欲其有終, 不可得也, 唯君子, 安履謙順, 乃其常行, 故久而不變, 乃所謂有終,
有終則吉也, 九三, 以剛居正, 能終者也, 此爻之德, 最盛, 故象辭特重.
【本義】卦唯一陽, 居下之上, 剛而得正, 上下所歸, 有功勞而能謙, 尤人所難, 故有終而吉, 占者, 如是則如其應矣.
六四, 无不利撝謙이니라.
【傳】四居上體, 切近君位, 六五之君, 又以謙柔自處, 九三, 又有大功德, 爲上所任衆所宗而己居其上, 當恭畏以奉謙德之君, 卑巽以讓勞謙之臣, 動作施爲,
无所不利於撝謙也, 撝, 施布之象, 如人手之撝也, 動息進退, 必施其謙, 蓋居多懼之地, 又在賢臣之上故也
【本義】柔而得正, 上而能下, 其占, 无不利矣, 然, 居九三之上, 故戒以更當發揮其謙, 以示不敢自安之意也.
象曰 无不利撝謙은 不違則也라.
【傳】凡人之謙, 有所宜施, 不可過其宜也, 如六五, 或用侵伐, 是也, 唯四, 以處近君之地, 據勞臣之上, 故凡所動作,
靡不利於撝謙, 如是然後, 中於法則, 故曰不違則也, 謂得其宜也.
【本義】言不爲過.
六五, 不富以其隣이니 利用侵伐이니 无不利하리라.
【傳】富者, 衆之所歸, 唯財, 爲能聚人, 五以君位之尊而執謙順, 以接於下, 衆所歸也, 故不富而能有其隣也, 隣, 近也, 不富而得人之親也, 爲人君而持謙順,
天下所歸心也, 然君道, 不可專尙謙柔, 必須威武相濟然後, 能懷服天下, 故利用行侵伐也, 威德, 竝著然後, 盡君道之宜而无所不利也,
蓋五之謙柔, 當防於過, 故發此義.
【本義】以柔居尊, 在上而能謙者也, 故爲不富而能以其隣之象, 蓋從之者衆矣, 猶有未服者則利以征之而於他事, 亦无不利, 人有是德則如其占也.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傳】征其文德謙巽, 所不能服者也, 文德所不能服而不用威武, 何以平天下, 非人君之中道, 謙之過也.
上六, 鳴謙이니 利用行師하야 征邑國이니라.
【傳】六, 以柔處柔, 順之極, 又處謙之極, 極乎謙者也, 以極謙而反居高, 未得遂其謙之志, 故至發於聲音, 又柔處謙之極, 亦必見於聲色, 故曰鳴謙, 雖居无位之地, 非任天下之事, 然, 人之行己, 必須剛柔相濟, 上, 謙之極也, 至於太甚則反爲過矣, 故利在以剛武自治, 邑國, 己之私有, 行師, 謂用剛武, 征邑國, 謂自治其私.
【本義】謙極有聞, 人之所與, 故可用行師, 然, 以其質柔而无位, 故可以征己之邑國而已.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하야 征邑國也라.
【傳】謙極而居上, 欲謙之志, 未得, 故不勝其切, 至於鳴也, 雖不當位, 謙旣過極, 宜以剛武, 自治其私, 故云利用行師征邑國也.
【本義】陰柔无位, 才力, 不足, 故其志, 未得而至於行師, 然, 亦適足以治其私邑而已.
높은 산이 땅보다 아래하여 겸손함을 나타낸 괘상.
상대방의 처지를 살펴서 자기를 말함이니, 낮추는 겸손을 뜻한다.
15번째인 보름은 덕을 나타내니 하도의 중인 5,10 土를 나타냄과 동시에 겸손만이 큰 것을 지킬 수 있음을 말한다.
겸손하면 귀한자리에 있을 때는 저절로 그 덕이 빛나고 비천한 자리에 있더라도 다른 이가 함부로 대하지 못하니 군자가 그 뜻을 보존하여 이룬다.
卦辭
謙은 亨하니 君子-有終이니라
겸손하다는 것은 亨通한 것이니, 君子는 마침이 있다.
彖辭
彖曰 謙亨은 天道-下濟而光明하고 地道-卑而上行이라
謙이 亨通하다는 것은 하늘의 道가 아래로 건너와서 光明하고, 땅의 氣運은 하늘로 올라간다.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 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하늘의 道는 차면 기울어지는 것이 謙이니, 益하게(더하게) 된다.
땅의 道는 차면 변하고, 겸손하면 흐른다 (땅의 형태가 바뀐다).
鬼神은 해롭고, 겸손하면 福이 된다. 사람의 道는 차면 미워하고, 겸손하면 좋아한다.
謙은(겸손이라는 것은) 남을 높여주면 내가 빛이 나고, 내가 낮추더라도 그 선을 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니, 이것이 君子의 마침(겸손)이다.
象辭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以하야 掕多益寡하야 稱物平施하나니라
땅 속에 산이 있는 것이 兼이니, 君子가 이것을 본받아서 많은 것을 덜어내고, 적은 것을 보태주니, 물건을 저울질하여 공평하게 베푼다.
爻辭
初六은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라도 吉하니라
겸손하고 겸손한 君子이니, 큰 내를 건너는데 사용하더라도 吉하다.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謙謙君子는 낮추어 스스로를 기른다(自身을 기른다).
六二는 鳴謙이니 貞코 吉하니라
겸손이 울려 퍼지니 바르고 吉하다.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鳴謙貞吉은 中心을 얻었다.
九三은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수고로운 겸이니(겸손이 수고로우니) 君子의 마침이 있어(결과가 있어) 吉하다.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의 服也-라
勞謙君子는 만민이 복종하는 것이다.
六四는 无不利紉謙이니라
겸손을 온 몸으로 하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 无不利紉謙은 不違則也-라
无不利紉謙은 법칙에 어긋나지 않는다.
六五는 不富以其後이니 利用侵伐이니 无不利하리라
부유하지 않아도 그 이웃을 같이 할 수 있으니, 겸손하지 않은 자가 있으면 치는데 이용하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利用侵伐은 복종하지(겸손하지) 않는 者를 친다.
上六은 鳴謙이니 利用行師하야 征邑國이니라
겸손이 되지 않아 우는 것이니, 군사를 움직여 자기의 나라(자기 자신)를 친다.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하야 征邑國也-라
鳴謙은 그 뜻(겸손할 수 있는 뜻)을 얻지 못했으니, 군사를 움직여 쓰는데 옳은 것은 자기의 국가를(자기의 一身을) 치는 것(다스리는 것)이다.
윤흥식의 주역 강의 동영상 (0) | 2015.12.01 |
---|---|
14.火天大有(화천대유) (0) | 2015.05.20 |
13.天火同人(천화동인) (0) | 2015.05.17 |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14. 火天大有(화천대유)
大有(대유) : 대유는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大有(대유) : 대유는
柔得尊位大中(유득존위대중) : 부드러운 것이 존귀한 위를 얻고 크게 중정의 효에 위치하여
而上下應之曰大有(이상하응지왈대유) : 상하의 효들이 잘 호응하여 대유라 하니,
其德剛健而文明(기덕강건이문명) : 그 덕이 강건해서 문명하고,
應乎天而時行(응호천이시행) : 하늘에 응하여 때로 행함이라.
是以元亨(시이원형) : 이로써 형통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火在天上(화재천상) : 불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大有(대유) : 대유니,
君子以遏惡揚善(군자이알악양선) : 군자가 이로써 악한 것을 막고 선한 것을 드날려서
順天休命(순천휴명) :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따르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無交害(무교해) : 해로운 데에 사귐이 없으니
匪咎(비구) : 허물이 아니나,
艱則無咎(간칙무구) : 어렵게 해야 곧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有初九(대유초구) : '대유초구'는
無交害也(무교해야) : 해로운데 사귐이 없느니라.
九二(구이) : 구이는
大車以載(대차이재) : 큰 수레로써 실음이니
有攸往(유유왕) : 갈 바를 두어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車以載(대차이재) : '대거이재'는
積中不敗也(적중불패야) : 가운데 쌓아서 패하지 않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公用亨于天子(공용형우천자) : 공이 천자에게 바침이니,
小人弗克(소인불극) : 소인은 능하지 못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公用亨于天子(공용형우천자) : '공용형우천자'는
小人害也(소인해야) : 소인은 해로우리라.
九四(구사) : 구사는
匪其彭(비기팽) : 성대히 하지 아니하면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匪其彭無咎(비기팽무구) : '비기방무구'는
明辨晢也(명변절야) : 밝게 분별하는 지혜라.
六五(육오) : 육오는
厥孚交如(궐부교여) : 믿음있게 사귀니
威如吉(위여길) : 위엄이 있으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厥孚交如(궐부교여) : '궐부교여'는
信以發志也(신이발지야) : 믿음으로써 뜻을 발함이요,
威如之吉(위여지길) : '위여지길'은
易而無備也(이이무비야) : 쉽게 하면 갖추지 못합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自天祐之(자천우지) : 하늘로부터 돕는지라.
吉無不利(길무불리) :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도다.
象曰(상왈) : 상구에 가로대,
大有上吉(대유상길) : '대유상길'은
自天祐也(자천우야) : 하늘로부터 도움이라
【傳】大有, 序卦, 與人同者, 物必歸焉, 故受之以大有, 夫與人同者, 物之所歸也, 大有所以次同人也, 爲卦, 火在天上, 火之處高,
其明, 及遠, 萬物之衆, 无不照見, 爲大有之象, 又一柔, 居尊, 衆陽, 竝應, 居尊執柔, 物之所歸也, 上下, 應之, 爲大有之義, 大有, 盛大豊有也.
大有, 元亨하니라.
【傳】卦之才, 可以元亨也, 凡卦德, 有卦名, 自有其義者, 如比吉謙亨, 是也, 有因其卦義, 便爲訓戒者,
如師貞丈人吉同人于野亨, 是也, 有以其卦才而言者, 大有元亨, 是也, 由剛健文明應天時行, 故能元亨也.
【本義】大有, 所有之大也, 離居乾上, 火在天上, 无所不照, 又六五一陰,
居尊得中而五陽, 應之, 故爲大有, 乾健離明, 居尊, 應天, 有亨之道, 占者, 有其德則大善而亨也.
彖曰 大有는 柔得尊位하고 大中而上下應之할새 曰大有니
【傳】言卦之所以爲大有也, 五以陰居君位, 柔得尊位也, 處中, 得大中之道也, 爲諸陽所宗,
上下應之也, 夫居尊執柔, 固衆之所歸也, 而又有虛中文明大中之德, 故上下, 同志應之, 所以爲大有也.
【本義】以卦德, 釋卦名義, 柔謂六五, 上下, 謂五陽.
其德이 剛健而文明하고 應乎天而時行이라 是以元亨하니라.
【傳】卦之德, 內强健而外文明, 六五之君, 應於乾之九二, 五之性, 柔順而明, 能順應乎二, 二, 乾之主也, 是應乎乾也, 順應乾行, 順乎天時也,
故曰應乎天而時行, 其德, 如此, 是以元亨也, 王弼, 云不大通, 何由得大有乎, 大有則必元亨矣, 此不識卦義, 離乾成大有之義, 非大有之義,
便有元亨, 由其才, 故得元亨, 大有而不善者, 與不能亨者, 有矣, 諸卦, 見元亨利定則彖, 皆釋爲大亨, 恐疑與乾坤, 同也, 不兼利貞則釋爲元亨,
盡元義也, 元有大善之義, 有元亨者, 四卦, 大有蠱升鼎也, 唯升之彖, 誤隨他卦作大亨, 曰諸卦之元, 與乾不同, 何也, 曰元之在乾, 爲元始之義,
爲首出庶物之義, 他卦則不能有此義, 爲善爲大而已, 曰元之爲大, 可矣, 爲善, 何也, 曰元者, 物之先也, 物之先, 豈有不善者乎, 事成而後,
有敗, 敗非先成者也, 興而後, 有衰, 衰固後於興也, 得而後, 有失, 非得則何以有失也, 至於善惡治亂是非, 天下之事, 莫不皆然, 必善爲先,
故文言, 曰元者善之長也.
【本義】以卦德卦體, 釋卦辭, 應天指六五也.
象曰 火在天上이 大有니 君子 以하야 遏惡揚善하야 順天休命하나니라.
【傳】火, 高在天上, 照見萬物之衆多, 故爲大有, 大有, 繁庶之義, 君子, 觀大有之象, 以遏絶衆惡, 揚明善類, 以奉順天休美之命,
萬物, 衆多則有善惡之殊, 君子, 享大有之盛, 當代天工, 治養庶類, 治衆之道, 在遏惡揚善而已, 惡懲善勸, 所以順天命而安群生也.
【本義】火在天上, 所照者, 廣, 爲大有之象, 所有, 旣大, 无以治之則釁蘖, 萌於其間矣,
天命, 有善而无惡, 故遏惡揚善, 所以順天, 反之於身, 亦若是而已矣.
初九, 无交害니 匪咎나 艱則无咎리라.
【傳】九居大有之初, 未至於盛, 處卑无應與, 未有驕盈之失, 故无交害, 未涉於害也, 大凡當有,
鮮不有害, 以子貢之賢, 未能盡免, 況其下者乎, 匪咎艱則无咎, 言富有, 本匪有咎也, 人, 因富有, 自爲咎耳,
若能享富有而知難處則自无咎也, 處富有而不能思艱兢畏則驕侈之心, 生矣, 所以有咎也.
【本義】雖當大有之時, 然, 以陽居下, 上无係應而在事初, 未涉乎害者也, 何咎之有, 然, 亦必艱以處之則无咎, 戒占者, 宜如是也.
象曰 大有初九는 无交害也라.
【傳】在大有之初, 克念艱難則驕溢之心, 无由生矣, 所以不交涉於害也.
九二, 大車以載니 有攸往하야 无咎리라.
【傳】九以陽剛, 居二, 爲六五之君, 所倚任, 剛健則才勝, 居柔則謙順, 得中則无過, 其才, 如此, 所以, 能勝大有之任, 如大車之材, 强壯,
能勝載重物也, 可以任重行遠故, 有攸往而无咎也, 大有豊盛之時, 有而未極, 故以二之才, 可往而无咎, 至於盛極則不可以往矣
【本義】剛中在下, 得應乎上, 爲大車以載之象, 有所往而如是, 可以无咎矣, 占者, 必有此德, 乃應其占也.
象曰 大車以載는 積中不敗也라.
【傳】壯大之車, 重積載於其中而不損敗, 猶九二材力之强, 能勝大有之任也.
九三, 公用亨于天子니 小人은 弗克이니라.
【傳】三, 居下體之上, 在下而居人上, 諸侯人君之象也, 公侯, 上承天子, 天子, 居天下之尊, 率土之濱, 莫非王臣, 在下者,
何敢專其有, 凡土地之富, 人民之衆, 皆王者之有也, 此, 理之正也, 故三, 當大有之時, 居諸侯之位, 有其富盛, 必用亨通乎天子,
謂以其有, 爲天子之有也, 乃人臣之常義也, 若小人, 處之則專其富有, 以爲私, 不知公己奉上之道, 故曰小人不克也.
【本義】亨, 春秋傳, 作享, 謂朝獻也, 古者, 亨通之亨, 享獻之享, 烹飪之烹, 皆作亨字, 九三, 居下之上, 公侯之象, 剛而得正,
上有六五之君, 虛中下賢, 故爲享于天子之象, 占者, 有其德則其占, 如是, 小人, 无剛正之德則雖得此爻, 不能當也.
象曰 公用亨于天子는 小人은 害也리라.
【傳】公, 常用亨于天子, 若小人, 處之則爲害也, 自古諸侯, 能守臣節, 忠順奉上者則蕃養其衆, 以爲王之屛翰, 豊殖其財, 以待上之徵賦,
若小人, 處之則不知爲臣奉上之道, 以其爲己之私, 民衆財豊則反擅其富强, 益爲不順, 是小人, 大有則爲害, 又大有, 爲小人之害也.
九四, 匪其彭이면 无咎리라.
【傳】九四, 居大有之時, 已過中矣, 是大有之盛者也, 過盛則凶咎所由生也, 故處之之道, 匡其彭則得无咎, 謂能謙損, 不處其太盛則得无咎也,
四, 近君之高位, 苟處太盛則致凶咎, 彭, 盛多之貌, 詩載驅, 云汶水湯湯, 行人彭彭, 行人盛多之狀, 雅大明, 云駟騵彭彭, 言武王戎馬之盛也.
【本義】彭字, 音義, 未詳, 程傳, 曰盛貌, 理或當然, 六五柔中之君, 九四, 以剛近之, 有僣逼之嫌,
然, 以其處柔也, 故有不極其盛之象而得无咎, 戒占者, 宜如是也.
象曰 匪其彭无咎는 明辨晢也라.
【傳】能不處其盛而得无咎者, 蓋有明辨之智也, 晳, 明智也, 賢智之人, 明辨物理, 當其方盛則知咎之將至, 故能損抑, 不敢至於滿極也.
【本義】晳, 明貌.
六五, 厥孚 交如니 威如면 吉하리라.
【傳】六五, 當大有之時, 居君位處中, 爲孚信之象, 人君, 執柔守中而以孚信, 接於下則下亦盡其信誠, 以事於上,
上下, 孚信相交也, 以柔居尊位, 當大有之時, 人心, 安易, 若專尙柔順陵慢, 生矣, 故必威如則吉, 威如, 有威嚴之謂也,
旣以柔和孚信, 接於下, 衆志, 說從, 又有威嚴, 使之有畏, 善處有者也, 吉可知矣.
【本義】大有之世, 柔順而中, 以處尊位, 虛己以應九二之賢而上下, 歸之, 是其孚信之交也,
然, 君道, 貴剛, 太柔則廢, 當以威濟之, 則吉, 故其象占, 如此, 亦戒辭也.
象曰 厥孚交如는 信以發志也오.
【本義】一人之信, 足以發上下之志也.
威如之吉은 易而无備也일새라.
【傳】下之志, 從乎上者也, 上以孚信, 接於下則下亦以誠信, 事其上, 故厥孚交如, 由上, 有孚信以發其下孚信之志, 下之從上, 猶響之應聲也,
威如之所以吉者, 謂若无威嚴則下易慢而无戒備也, 謂无恭畏備上之道, 備, 謂備上之求責也.
【本義】太柔則人將易之而无畏備之心.
上九, 自天佑之라 吉无不利로다.
【傳】上九, 在卦之終, 居无位之地, 是大有之極而不居其有者也, 處離之上, 明之極也, 唯至明, 所以不居其有, 不至於過極也,
有極而不處則无盈滿之災, 能順乎理者也, 五之孚信而履其上, 爲蹈履誠信之義, 五有文明之德, 上能降志以應之, 爲尙賢崇善之義,
其處, 如此, 吉道之至也, 自當亨其福慶, 自天祐之, 行順乎天而獲天祐, 故所往, 皆吉, 无所不利也.
【本義】大有之世, 以剛居上而能下從六五, 是能履信思順而尙賢也, 滿而不溢, 故其占, 如此.
象曰 大有上吉은 自天佑也라.
【傳】大有之上, 有極當變, 由其所爲, 順天合道, 故天, 祐助之, 所以吉也, 君子, 滿而不溢, 乃天祐也, 繫辭, 復申之云天之所助者,
順也, 人之所助者, 信也, 履信思乎順, 又以尙賢也, 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也, 履信, 謂履五, 五, 虛中, 信也, 思順, 謂謙退不居,
尙賢, 謂志從於五, 大有之世, 不可以盈, 豊而復處盈焉, 非所宜也, 六爻之中, 皆樂據權位, 唯初上, 不處其位, 故初九, 无咎,
上九, 无不利, 上九, 在上, 履信思順, 故在上而得吉, 蓋自天祐也.
윤흥식의 주역 강의 동영상 (0) | 2015.12.01 |
---|---|
15.地山謙(지산겸) (0) | 2015.05.20 |
13.天火同人(천화동인) (0) | 2015.05.17 |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13.天火同人(천화동인)
同人于野亨(동인우야형) : 사람을 같이 하는 것을 들에서 하면 형통하리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며,
利君子貞(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同人(동인) : 동인은
柔得位得中而應乎乾(유득위득중이응호건) : 유가 위를 얻으며 중을 얻어서,건에 응하니
曰同人(왈동인) : 가로대 동인이니라.
同人曰(동인왈) : 동인에 가로대,
同人于野亨利涉大川(동인우야형리섭대천) : '동인우야형이섭대천'은
乾行也(건행야) : 건장하게 행함이오,
文明以健(문명이건) : 문명항으로써 굳건히 하고
中正而應(중정이응) : 중정해서 응함이
君子正也(군자정야) : 군자의 바름이니,
唯君子為能通天下之志(유군자위능통천하지지) : 오직 군자여야 능히 천하의 뜻을 통하느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天與火同人(천여화동인) : 하늘과 불이 동인이니
君子以類族辨物(군자이류족변물) : 군자가 이로써 류외 족으로 물건을 분별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同人于門(동인우문) : 동인을 문에서 함이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出門同人(출문동인) : 문에 나가서 동인하는 것을
又誰咎也(우수구야) : 또 누가 허물하리오.
六二(육이) : 육이는
同人于宗吝(동인우종린) : 동인을 종친에서 함이니 인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同人于宗(동인우종) : '동인우종'은
吝道也(린도야) : 인색한 도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伏戎于莽(복융우망) : 군사를 숲에 매복시키고
升其高陵(승기고릉) : 그 높은 언덕에 올라
三歲不興(삼세불흥) : 3년을 일어나지 못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伏戎于莽(복융우망) : '복융우망'은
敵剛也(적강야) : 적이 강함이요,
三歲不興(삼세불흥) : '삼세불흥'이니
安行也(안행야) : 어디를 가리오.
九四(구사) : 구사는
乘其墉(승기용) : 그 담에 오르되
弗克攻吉(불극공길) : 능히 치지 아니하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
乘其墉(승기용) : 승기용'은
義弗克也(의불극야) : 의리가 이기지 못함이요,
其吉(기길) : 그 길한 것은
則困而反則也(칙곤이반칙야) : 즉 곤해서 법에 동옴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同人先號咷而後笑(동인선호도이후소) : 동인이 먼저는 부르짖고 울고 뒤에는 웃으니,
大師克相遇(대사극상우) : 큰 군사로 이겨야 서로 만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同人之先(동인지선) : '동인지선'은
以中直也(이중직야) : 가운데하고 곧음으로써요,
大師相遇(대사상우) : '대사상우'는
言相克也(언상극야) : 서로 이김을 말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同人于郊(동인우교) : 동인을 들에서 함이니
無悔(무회) : 뉘우침이 없으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同人于郊(동인우교) : '동인우교'는
志未得也(지미득야) : 뜻을 얻지 못함이라
【傳】同人, 序卦, 物不可以終否, 故受之以同人, 夫天地, 不交則爲否, 上下, 相同則爲同人, 與否義, 相反, 故相次, 又世之方否, 必與人同力乃能濟,
同人所以次否也, 爲卦, 乾上離下, 以二象言之, 天, 在上者也, 火之性, 炎上, 與天同也, 故爲同人, 以二體言之, 五居正位, 爲乾之主, 二爲離之主, 二爻,
以中正相應, 上下相同, 同人之義也, 又卦唯一陰, 衆陽所欲同, 亦同人之義也, 他卦, 固有一陰者, 在同人之時而二五, 相應, 天火, 相同, 故其義, 大.
同人于野면 亨하리니 利涉大川이며 利君子의 貞하니라.
【傳】野, 謂曠野, 取遠與外之義, 夫同人者, 以天下大同之道則聖賢大公之心也, 常人之同者, 以其私意所合, 乃暱比之情耳, 故必于野,
謂不以暱近情之所私而于郊野曠遠之地, 旣不繫所私, 乃至公大同之道, 无遠不同也, 其亨, 可知, 能與天下大同, 是, 天下, 皆同之也, 天下, 皆同,
何險阻之不可濟, 何艱危之不可亨, 故利涉大川, 利君子貞, 上言于野, 止謂不在暱比, 此復言宜以君子正道, 君子之貞, 謂天下至公大同之道,
故雖居千里之遠, 生千歲之後, 若合符節, 推而行之, 四海之廣, 兆民之衆, 莫不同, 小人則唯用其私意, 所比者, 雖非, 亦同, 所惡者, 雖是,
亦異, 故其所同則爲阿黨, 蓋其心, 不正也, 故同人之道, 利在君子之貞正.
【本義】離亦三劃卦之名, 一陰, 麗於二陽之間, 故其德, 爲麗爲文明, 其象, 爲火爲日爲電, 同人, 與人同也, 以離遇乾, 火上同於天, 六二,
得位得中而上應九五, 又卦唯一陰而五陽, 同與之, 故爲同人于野, 謂曠遠而无私也, 有亨道矣, 以健而行, 故能涉川, 爲卦, 內文明而外剛健,
六二, 中正而有應則君子之道也, 占者能如是則亨而又可涉險, 然, 必其所同, 合於君子之道, 乃爲利也.
彖曰 同人은 柔 得位하며 得中而應乎乾할새 曰同人이라.
【傳】言成卦之義, 柔得位, 謂二以陰, 居陰, 得其正位也, 五, 中正而二以中正, 應之, 得中而應乎乾也,
五, 剛健中正而二以柔順中正, 應之各得其正, 其德, 同也, 故爲同人, 五, 乾之主, 故云應乎乾, 象, 取天火之象而彖, 專以二言.
同人于野亨利涉大川은 乾行也오.
【傳】至誠无私, 可以蹈險難者, 乾之行也, 无私, 天德也.
文明以健하고 中正而應이 君子正也니
【傳】又以二體, 言其義, 有文明之德而剛健, 以中正之道, 相應, 乃君子之正道也.
唯君子아 爲能通天下之志하나니라.
【傳】天下之志, 萬殊, 理則一也, 君子, 明理, 故能通天下之志, 聖人, 視億兆之心, 猶一心者, 通於理而已,
文明則能燭理, 故能明大同之義, 剛健則能克己, 故能盡大同之道, 然後, 能中正, 合乎乾行也.
【本義】以卦德卦體, 釋卦辭, 通天下之志, 乃爲大同, 不然則是私情之合而已, 何以致亨而利涉哉.
象曰 天與火 同人이니 君子 以하야 類族으로 辨物하나니라.
【傳】不云火在天下, 天下有火而云天與火者, 天, 在上, 火性, 炎上, 火與天, 同, 故爲同人之義, 君子, 觀同人之象而以類族, 辨物, 各以其類族,
辨物之同異也, 若君子小人之黨, 善惡是非之理, 物情之離合, 事理之異同, 凡異同者, 君子, 能辨明之, 故處物, 不失其方也.
【本義】天在上而火炎上, 其性, 同也, 類族辨物, 所以審異而致同也.
初九, 同人于門이니 无咎리라.
【傳】九居同人之初而无係應, 是, 无偏私, 同人之公者也, 故爲出門同人, 出門, 謂在外, 在外則无私昵之偏, 其同, 博而公, 如此則无過咎也.
【本義】同人之初, 未有私主, 以剛在下, 上无係應, 可以无咎, 故其象占, 如此.
象曰 出門同人을 又誰咎也리오.
【傳】出門同人于外, 是其所同者, 廣, 无所偏私, 人之同也, 有厚薄親疎之異, 過咎所由生也, 旣无所偏黨, 誰其咎之.
六二, 同人于宗이니 吝토다.
【傳】二與五, 爲正應, 故曰同人于宗, 宗, 謂宗黨也, 同於所係應, 是, 有所偏與, 在同人之道, 爲私狹矣,
故可吝, 二若陽爻則爲剛中之德, 乃以中道, 相同, 不爲私也.
【本義】宗, 黨也, 六二, 雖中且正, 然, 有應於上, 不能大同而係於私, 吝之道也, 故其象占, 如此.
象曰 同人于宗이 吝道也라.
【傳】諸卦以中正相應, 爲善而在同人則爲可吝, 故五不取君義, 蓋私比, 非人君之道, 相同以私, 爲可吝也.
九三, 伏戎于莽하고 升其高陵하야 三歲不興이로다.
【傳】三以陽, 居剛而不得中, 是, 剛暴之人也, 在同人之時, 志在於同, 卦唯陰, 諸陽之志, 皆欲同之, 三又與之比, 然, 二以中正之道, 與五相應,
三, 以剛强, 居二五之間, 欲奪而同之, 然, 理不直義不勝, 故不敢顯發, 伏藏兵戎于林莽之中, 懷惡而內負不直, 故又畏懼,
時升高陵以顧望, 如此至於三歲之久, 終不敢興, 此爻, 深見小人之情狀, 然, 不曰凶者, 旣不敢發, 故未至凶也.
【本義】剛而不中, 上无正應, 欲同於二而非其正, 懼九五之見攻, 故有此象.
象曰 伏戎于莽은 敵剛也오. 三歲不興이어니 安行也리오.
【傳】所敵者, 五, 旣剛且正, 其可奪乎, 故畏憚伏藏也, 至於三歲不興矣, 終安能行乎.
【本義】言不能行.
九四, 乘其墉호대 弗克攻이니 吉하니라.
【傳】四, 剛而不中正, 其志, 欲同二, 亦與五, 爲仇者也, 墉, 垣, 所以限隔也, 四, 切近於五, 如隔墉耳, 乘其墉, 欲攻之,
如義不直而不克也, 苟能自知義之不直而不攻則爲吉也, 若肆其邪欲, 不能反思義理, 妄行攻奪則其凶, 大矣,
三, 以剛居剛, 故終其强而不能反, 四, 以剛居柔, 故有困而能反之義, 能反則吉矣, 畏義而能改, 其吉, 宜矣.
【本義】剛不中正, 又无應與, 亦欲同於六二而爲三所隔, 故爲乘墉以攻之象, 然, 以剛居柔, 故有自反而不克攻之象, 占者, 如是則能改過而得吉也.
象曰 乘其墉은 義弗克也오 其吉은 則困而反則也라.
【傳】所以乘其墉而弗克攻之者, 以其義之弗克也, 以邪攻正, 義不勝也, 其所以得吉者, 由其義不勝, 困窮而反於法則也,
二者, 衆陽所同欲也, 獨三四, 有爭奪之義者, 二爻, 居二五之間也, 初終, 遠, 故取義別.
【本義】乘其墉矣則其力之不足也, 特以義之弗克而不攻耳, 能以義斷, 困而反於法則, 故吉也.
九五, 同人이 先號咷而後笑니 大師克이라야 相遇로다.
【傳】九五, 同於二而爲三四二陽所隔, 五, 自以義直理勝, 故不勝憤抑, 至於號咷, 然, 邪不勝正, 雖爲所隔, 終必得合, 故後笑也, 大師克, 相遇,
五與二正應而二陽, 非理隔奪, 必用大師克勝之, 乃得相遇也, 云大師云克者, 見二陽之强也, 九五, 君位而爻不取人君同人之義者, 蓋五, 專以私暱,
應於二而, 失其中正之德, 人君, 當與天下大同而獨私一人, 非君道也, 又先隔則號咷, 後遇則笑, 是私暱之情, 非大同之體也, 二之在下, 尙以同於宗, 爲吝,
況人君乎, 五旣於君道, 无取, 故更不言君道而明二人, 同心, 不可間陽之義, 繫辭, 云君子之道, 或出或處或黙或語, 二人同心, 其利, 斷金, 中誠所同,
出處語黙, 无不同, 天下, 莫能間也, 同者, 一也, 一不可分, 分, 乃二也, 一可以通金石冒水火, 无所不能入, 故云其利斷金, 其理, 至微, 故聖人,
贊之曰同心之言, 其臭, 如蘭, 謂其言, 意味深長也.
【本義】五剛中正, 二以柔中正, 相應於下, 同心者也, 而爲三四所隔, 不得其同, 然, 義理所同, 物不得而間之,
故有此象, 然, 六二, 柔弱而三四, 剛强, 故必用大師以勝之然後, 得相遇也.
象曰 同人之先은 以中直也오 大師相遇는 言相克也라.
【傳】先所以號咷者, 以中誠理直, 故不勝其忿切而然也, 雖其敵, 剛强, 至用大師, 然, 義直理勝, 終能克之, 故言能相克也, 相克, 謂能勝, 見二陽之强也.
【本義】直謂理直.
上九, 同人于郊니 无悔니라.
【傳】郊, 在外而遠之地, 求同者, 必相親相與, 上九, 居外而无應, 終无與同者也, 始有同則至終, 或有睽悔, 處遠而无與,
故雖无同, 亦无悔, 雖欲同之志, 不遂而其終, 无所悔也
【本義】居外无應, 物莫與同, 然, 亦可以无悔, 故其象占, 如此, 郊, 在野之內, 未至於曠遠, 但荒僻无與同耳.
象曰 同人于郊는 志未得也라.
【傳】居遠莫同, 故終无所悔, 然而在同人之道, 求同之志, 不得遂, 雖无悔, 非善處也.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동인(同人)은 ‘뜻을 같이 한다’. ‘협력’이라는 뜻이다.
어두운 하늘 아래 불이 타오르며 세상을 밝히는 상이다. 즉 어두운 밤길에 등불을 얻은 상이다.
세상을 밝히는 일은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하므로 동인(同人)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1)앞의 괘인 비괘를 타개하는 데에는 여러 사람이 뜻을 같이하고, 활동을 같이하여 비괘를 타개할 수 있다.
2)대동단결의 시기이다.
3)구오의 대인과 육이의 대인이 마음을 같이하여 큰일을 이루는 형상이다.
4)주역의 괘명 중에서 사람人이 들어 있는 괘는 동인과 가인 괘 두 개 뿐이다.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사사롭지 않으니 허물이 없다.
2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분란을 찾으면 흉이요 정도는 길하다.
3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적은 강하고 아군은 약하니 질 수밖에 없다.
4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이길 수 없으니 분수를 지키면 길하다
5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먼저 울지만 분수를 지키니 나중에 웃으며 길하다.
6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뜻을 펴지는 못하지만 욕심을 버리니 후회는 없다
同人于野ㅣ면 亨하리니 利涉大川이며 利君子의 貞하니라.
동인 우야 형 이섭대천 이군자 정
사람을 같이 하는 것을 들에서 하면 형통하리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며, 군자의 바름(貞)이 이로우니라.
*야-광장. 비밀이 없이 공개적인 장소에서 공명정대하게 일을 하는 것
彖曰 同人은 柔ㅣ 得位하며 得中而應乎乾할새 曰同人이라.
단왈 동인 유 득위 득중이응호건 왈동인
단에 가로되 동인은 柔가 位를 얻으며 中을 얻어서, 乾에 응하니 가로되 동인이라.
同人于野亨利涉大川은 乾行也ㅣ오 文明以健하고 中正而應이 君子正也ㅣ니
동인우야형이섭대천 건행야 문명이건 중정이응 군자정야
同人于野亨利涉大川은 건장하게 행하는 것이요, 문명해서 굳세고 중정해서 응함이 군자의 바름이니,
唯君子ㅣ아 爲能通天下之志하나니라.
유군자 위능통천하지지
오직 군자만이 능히 천하의 뜻과 통하느니라.
象曰 天與火ㅣ 同人이니 君子ㅣ 以하야 類族으로 辨物하나니라.
상왈 천여화 동인 군자 이 유족 변물
상에 가로되 하늘과 불이 동인이니, 군자가 이로써 같은 종족끼리 분류함으로써 물건을 분별하느니라. - 즉 인물을 분별하여 동지를 모운다.
初九는 同人于門이니 无咎ㅣ리라.
초구 동인우문 무구
초구는 동인을 문에서 함이니 허물이 없으리라.
*우문-문은 한 집과 사회의 간격을 지워주는 경계. 집안이나 모임의 틀 안에서 친근한 사람과 사귀는 형상이다.
象曰 出門同人을 又誰咎也ㅣ리오.
상왈 출문동인 우수구야
상에 가로되 문에 나가서 사람을 회동하는 것을 또 누가 허물하리오.
六二는 同人于宗이니 吝토다.
육이 동인우종 인
육이는 동인을 종친(宗黨)에서 함이니 인색하도다.
象曰 同人于宗이 吝道也ㅣ라.
상왈 동인우종 인도야
상에 가로되 同人于宗이 인색한 도이다.
*종족끼리만 사적으로 만나는 것이니 인색한 것이다.
九三은 伏戎于莽하고 升其高陵하야 三歲不興이로다.
구삼 복융우망 승기고릉 삼세불흥
구삼은 군사를 가시덤불 속에 숨겨놓고, 그 높은 언덕에 올라 정세를 살피나, 3년이 되어도 일어나지 못하도다.
*시부모와 며느리가 불 합치하는 형상이다.
象曰 伏戎于莽은 敵剛也ㅣ오 三歲不興이어니 安行也ㅣ리오.
상왈 복융우망 적강야 삼세불흥 안행야
상에 가로되 伏戎于莽은 적이 강함이요, 三歲不興이니 어찌 행할 수 있으리오
*안- 어찌 안. ...하리오로 해석한다.
九四는 乘其墉호대 弗克攻이니 吉하니라.
구사 승기용 불극공 길
구사는 그 담에 오르되 능히 치지 아니하니 길하니라.
*구사가 담을 넘어 육이를 탐내었으나 뉘우쳤다. 육이는 구오와 짝이기 때문이다.
*불극공-뉘우쳤다.
象曰 乘其墉은 義弗克也ㅣ오 其吉은 則困而反則也ㅣ라.
상왈 승기용 의불극야 기길 즉곤이반칙야
상에 가로되 乘其墉은 의리로서 능히 쳐들어가지 아니하였다는 것이요,
그 길하다는 것은 몸이 곤해서 하다하다 안되어서 아예 포기를 하고 원래의 자리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곤이반즉야-즉(법칙, 본심, 천부지성)
九五는 同人이 先號咷而後笑ㅣ니 大師克이라아 相遇로다.
구오 동인 선호조이후소 대사극 상우
구오는 同人이 먼저는 부르짖어 울고 뒤에는 웃으니, 대군으로 크게 싸워서 이겨야 한다는 마음으로 하여야만 서로 만난다.
*구오와 육이가 합심하여 크게 전쟁을 하는 마음으로 노력하여야 서로 회동된다.
象曰 同人之先은 以中直也ㅣ오 大師相遇는 言相克也ㅣ라.
상왈 동인지선 이중직야 대사상우 언상극야
상에 가로되 同人之先은 구오의 강건 중정함과 육이의 직방대하기 때문이요, 大師상우는 서로 능한 것을 말함이라.
*선-선호조이후소 를 말함
上九는 同人于郊ㅣ니 无悔니라.
상구 동인우교 무회
상구는 동인을 들에서 함이니 뉘우침이 없느니라.
*대동단결하는 데 참여도 못하는 것이니 뉘우침이 없다.
象曰 同人于郊는 志未得也ㅣ라.
상왈 동인우교 지미득야
상에 가로되 同人于郊는 뜻을 얻지 못함이라.
15.地山謙(지산겸) (0) | 2015.05.20 |
---|---|
14.火天大有(화천대유) (0) | 2015.05.20 |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10.天澤履(천택리) (0) | 2015.05.14 |
12. 天地否(천지비)
否之匪人(부지비인) : 비는 사람의 도리가 거부된 것이라
不利君子貞(불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도 이롭지 못하니,
大往小來(대왕소래) : 큰 것이 가고 작은 것이 오느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부지비인불리군자정대왕소래) : '비지비인불리군자정대왕소래'는
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칙시천지불교이만물불통야) : 곧 이 천지가 사귀지 못해서 만물이 통하지 아니하며,
上下不交而天下無邦也(상하불교이천하무방야) : 상하가 사귀지 못해서 천하에 나라 없음이라.
內陰而外陽(내음이외양) : 안에는 음이고 밖에는 양이며,
內柔而外剛(내유이외강) : 안에는 유하고 밖에는 강하며,
內小人而外君子(내소인이외군자) : 안에는 소인이요 밖에는 군자니,
小人道長(소인도장) : 소인의 도가 자라나고
君子道消也(군자도소야) : 군자의 도는 사라지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天地不交否(천지불교부) : 천지가 사귀지 않는 것이 비괘의 괘상니,
君子以儉德辟難(군자이검덕벽난) : 군자가 아로써 덕을 검소히 하고 어려움을 피해서
不可榮以祿(불가영이록) : 가히 록 받는 것으로써 영화를 누리지 않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拔茅茹(발모여) : 띠뿌리를 뽐음이라.
以其彙(이기휘) : 그 무리로써
貞吉亨(정길형) : 바름이 길해서 형통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拔茅貞吉(발모정길) : '발모정길'은
志在君也(지재군야) : 뜻이 임금에 있음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包承(포승) : 포옹하여 이음이니,
小人吉(소인길) : 소인은 길하고
大人否亨(대인부형) : 대인은 비색하니 형통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人否亨(대인부형) : '대인비형'은
不亂群也(불란군야) : 무리를 어지럽히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包羞(포수) : 싼 것이 부끄럽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包羞(포수) : '포수'는
位不當也(위불당야) : 위가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有命無咎(유명무구) : 명을 두면 허물이 없어서
疇離祉(주리지) : 무리가 복에 걸리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有命無咎(유명무구) : '유명무구'는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하여 짐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休否(휴부) : 비색한 것을 쉬게 하니라
大人吉(대인길) : 대인의 길함이니
其亡其亡(기망기망) : 그 망할까 망할까 하여야
繫于苞桑(계우포상) : 우묵한 뽕나무에 매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人之吉(대인지길) : '대인지길'은
位正當也(위정당야) : 위가 바르고 마땅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傾否(경부) : 비색한 것이니 기울어 짐이니,
先否後喜(선부후희) : 먼저는 비색하고 뒤에는 기뻐하지도다.
象曰(상왈) : 상왈 가로대,
否終則傾(부종칙경) : 비색한 것이 마친 즉 기울어지나니
何可長也(하가장야) : 어찌 가히 길이 하리오
【傳】否, 序卦, 泰者, 通也, 物不可以終通, 故受之以否, 夫物理, 往來, 通泰之極則必否, 否所以此泰也, 爲卦,
天上地下, 天地相交, 陰陽, 和暢則爲泰, 天處上, 地處下, 是天地隔絶, 不相交通, 所以爲否也.
否之匪人이니
【傳】天地交而萬物, 生於中然後, 三才備, 人爲最靈, 故爲萬物之首, 凡生天地之中者, 皆人道也, 天地不交則不生萬物,
是无人道, 故曰匪人, 謂非人道也, 消長闔闢, 相因而不息, 泰極則復, 否終則傾, 无常而不變之理, 人道, 豈能无也, 旣否則泰矣.
不利君子貞하니 大往小來니라.
【傳】夫上下, 交通, 剛柔, 和會, 君子之道也, 否則反是, 故不利君子貞, 君子正道, 否塞不行也,
大往小來, 陽往而陰來也, 小人道長, 君子道消之象, 故爲否也.
【本義】否, 閉塞也, 七月之卦也, 正與泰, 反, 故曰匪人, 謂非人道也, 其占, 不利於君子之正道, 蓋乾往居外,
坤來居內, 又自漸卦而來則九往居四, 六來居三也, 或疑之, 匪人三字, 衍文, 由比六三而誤也, 傳不特解, 其義, 亦可見.
彖曰 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는 則是天地 不交而萬物이 不通也며 上下 不交而天下 无邦也라
內陰而外陽하며 內柔而外剛하며 內小人而外君子하니小人道 長하0고 君子道 消也라.
【傳】否天地之氣, 不交則萬物, 无生成之理, 上下之義, 不交則天下, 无邦國之道, 建邦國, 所以爲治也,
上, 施政以治民, 民, 戴君而從命, 上下, 相交, 所以治安也, 今上下, 不交, 是天下, 无邦國之道也,
陰柔, 在內, 陽剛, 在外, 君子, 往居於外, 小人, 來處於內, 小人道長, 君子道逍之時也.
象曰 天地不交 否니 君子 以하야 儉德辟難하야 不可榮以祿이니라.
【傳】天地不相交通, 故爲否, 否塞之時, 君子道消, 當觀否塞之象而以儉損其德, 避免禍難,
不可榮居祿位也, 否者, 小人得志之時, 君子, 居顯榮之地, 禍患, 必及其身, 故宜晦處窮約也.
【本義】收斂其德, 不形於外, 以避小人之難, 人不得以祿位, 榮之.
初六, 拔茅茹라 以其彙로 貞이니 吉하야 亨하니라.
【傳】泰與否, 皆取茅爲象者, 以群陽群陰, 同在下, 有牽連之象也, 泰之時則以同征, 爲吉, 否之時則以同貞, 爲亨, 始以內小人外君子,
爲否之義, 復以初六否而在下, 爲君子之道, 易, 隨時取義, 變動无常, 否之時, 在下者, 君子也, 否之三陰, 上皆有應, 在否隔之時,
隔絶不相通, 故无應義, 初六, 能與其類, 貞固其節則處否之吉而其道之亨也, 當否而能進者, 小人也,
君子則伸道免禍而已, 君子進退, 未嘗不與其類, 同也.
【本義】三陰, 在下, 當否之時, 小人, 連類而進之象而初之惡則未形也, 故戒其貞則吉而亨, 蓋能如是則變而爲君子矣.
象曰 拔茅貞吉은 志在君也라.
【傳】爻以六, 自守於下, 明君子處下之道, 象, 復推明, 以象君子之心, 君子, 固守其節, 以處下者,
非樂於不進獨善也, 以其道, 方否, 不可進, 故安之耳, 心固未嘗不在天下也, 其志, 常在得君而進, 以康濟天下, 故曰志在君也.
【本義】小人而變爲君子則能以愛君, 爲念而不計其私矣.
六二, 包承이니 小人은 吉코 大人은 否니 亨이라.
【傳】六二, 其質則陰柔, 其居則中正, 以陰柔小人而言則方否於下, 志所包畜者, 在承順乎上, 以求濟其否, 爲身之利, 小人之吉也, 大人,
當否則以道自處, 豈肯枉己屈道, 承順於上, 唯自守其否而已, 身之否, 乃其道之亨也, 或曰上下, 不交, 何所承乎,
曰正則否矣, 小人, 順上之心, 未嘗无也.
【本義】陰柔而中正, 小人而能包容承順乎君子之象, 小人之吉道也, 故占者, 小人, 如是則吉,
大人則當安守其否而後, 道亨, 蓋不可以彼包承於我而自失其守也.
象曰 大人否亨은 不亂群也라.
【傳】大人, 於否之時, 守其正節, 不雜亂於小人之群類, 身雖否而道之亨也, 故曰否亨,
不以道而身亨, 乃道之否也, 不云君子而云大人, 能如是則其道, 大也.
【本義】言不亂於小人之群.
六三, 包 羞로다.
【傳】三以陰柔, 不中不正而居否, 又切近於上, 非能守道安命, 窮斯濫矣, 極小人之情狀者也, 其所包畜謀慮, 邪濫, 无所不至, 可羞恥也.
【本義】以陰居陽而不中正, 小人志於傷善而未能也, 故爲包羞之象, 然, 以其未發, 故无凶咎之戒.
象曰 包羞는 位不當也일새라.
【傳】陰柔居否而不中不正, 所爲, 可羞者, 處不當故也, 處不當位, 所爲, 不以道也.
九四, 有命이면 无咎하야 疇 離祉리라.
【傳】四以陽剛健體, 居近君之位, 是, 以濟否之才而得高位者也, 足以輔上濟否, 然, 當君道方否之時, 處逼近之地, 所惡, 在居功取忌而已,
若能使動必出於君命, 威柄, 一歸於上則无咎而其志, 行矣, 能使事皆出於君命則可以濟時之否, 其疇類, 皆附離其福祉, 離, 麗也,
君子, 道行則與其類, 同進, 以濟天下之否, 疇, 離祉也, 小人之進, 亦以其類, 同也.
【本義】否過中矣, 將濟之時也, 九四, 以陽居陰, 不極其剛, 故其占, 爲有命无咎而疇類三陽, 皆獲其福也, 命, 謂天命.
象曰 有命无咎는 志行也라.
【傳】有君命則得无咎, 乃可以濟否, 其志, 得行也.
九五, 休否라 大人의 吉이니 其亡其亡이라아 繫于苞桑이리라.
【傳】五以陽剛中正之德, 居尊位, 故能休息天下之否, 大人之吉也, 大人, 當位, 能以其道, 休息天下之否, 以循致於泰, 猶未離於否也,
故有其亡之戒, 否旣休息, 漸將反泰, 不可便爲安肆, 當深慮遠戒, 常虞否之復來曰其亡矣其亡矣, 其繫于苞桑, 謂爲安固之道, 如維繫于苞桑也,
桑之爲物, 其根, 深固, 苞, 謂叢生者, 其固, 尤甚, 聖人之戒, 深矣, 漢王允, 唐李德裕, 不知此戒, 所以致禍敗也, 繫辭曰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也, 是故, 君子, 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 身安而國家, 可保也.
【本義】陽剛中正, 以居尊位, 能休時之否, 大人之事也, 故此爻之占, 大人, 遇之則吉, 然, 又當戒懼, 如繫辭傳所云也.
象曰 大人之吉은 位 正當也일새라.
【傳】有大人之德而得至尊之正位, 故能休天下之否, 是以吉也, 无其位則雖有其道, 將何爲乎, 故聖人之位, 謂之大寶.
上九, 傾否니 先否코 後喜로다.
【傳】上九, 否之終也, 物理, 極而必反, 故泰極則否, 否極則泰,
上九, 否旣極矣, 故否道, 傾覆而變也, 先, 極否也, 後, 傾喜也, 否傾則泰矣, 後善也.
【本義】以陽剛, 居否極, 覆傾時之否者也, 其占, 爲先否後喜.
象曰 否終則傾하나니 何可長也리오.
【傳】否終則必傾, 豈有長否之理, 極而必反, 理之常也, 然, 反危爲安, 易亂爲治,
必有剛陽之才而後, 能也, 故否之上九則能傾否, 屯之上六則不 能變屯也.
14.火天大有(화천대유) (0) | 2015.05.20 |
---|---|
13.天火同人(천화동인) (0) | 2015.05.17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10.天澤履(천택리) (0) | 2015.05.14 |
9.風天小畜(풍천소축) (0) | 2015.05.14 |
11. 地天泰(지천태)
泰小往大來(태소왕대래) :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는 것이니
吉亨(길형) : 길하여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泰小往大來吉亨(태소왕대래길형) : '태소왕대래길형'은
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칙시천지교이만물통야) : 곧 천지가 사귀어 만물이 통하는 것이며,
上下交而其志同也(상하교이기지동야) : 위와 아래가 사귀어 그 뜻이 같음이라.
內陽而外陰(내양이외음) : 안에는 양이고, 밖에는 음이며,
內健而外順(내건이외순) : 안으로는 강건하고 밖으로는 유순하며,
內君子而外小人(내군자이외소인) : 안으로는 군자요 밖으로는 소인이니,
君子道長(군자도장) :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小人道消也(소인도소야) : 소인의 도는 사라지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天地交泰(천지교태) : 하늘과 땅의 사귐이 태괘의 괘상이니,
后以財成天地之道(후이재성천지지도) : 군주가 이로써 천지의 도를 재단하여 이루며,
輔相天地之宜(보상천지지의) : 천지의 마땅함을 힘 보태고
以左右民(이좌우민) : 도움으로써 백성을 좌하고 우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拔茅茹(발모여) : 띠풀 뿌리를 뽑음이라.
以其彙征吉(이기휘정길) : 그 무리로써 감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拔茅征吉(발모정길) : 발모정길은
志在外也(지재외야) : 뜻이 밖에 있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包荒(포황) : 거친 것을 싸며
用馮河(용풍하) : 하수를 건너는 용맹을 쓰며,
不遐遺(불하유) :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아니하며
朋亡(붕망) : 붕당을 없애면,
得尚于中行(득상우중행) : 중정의 도를 행함에 숭상함을 얻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包荒得尚于中行(포황득상우중행) : '포황득상우중행'은
以光大也(이광대야) : 빛나고 큼을 얻기 때문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無平不陂(무평불피) : 평평하다가 언덕지지 않음이 없으며,
無往不復(무왕불부) : 가다가 돌아오지 않음이 없으니,
艱貞(간정) : 어렵게 하고 바르게 하면
無咎(무구) : 허물이 없어서
勿恤其孚(물휼기부) : 근심치 않더라도 그 미더운지라.
于食有福(우식유복) : 먹는 데에 복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無往不復(무왕불부) : 무왕불복은
天地際也(천지제야) : 천지가 사귐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翩翩(편편) : 펄펄 나래짓하듯
不富以其鄰(불부이기린) : 부하려 하지않고 그 이웃으로써 하여,
不戒以孚(불계이부) : 경계하지 아니해도 미덥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翩翩不富(편편불부) : '편편불복'는
皆失實也(개실실야) : 모두 실질을 잃음이요,
不戒以孚(불계이부) : '부계이부'는
中心願也(중심원야) : 중심으로 원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帝乙歸妹(제을귀매) : 제을이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는 것이니,
以祉元吉(이지원길) : 이로써 복이 되며 크게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以祉元吉(이지원길) : '이지원길'은
中以行願也(중이행원야) : 가운데로써 원함을 행함이라.
上六(상륙) : 상육은
城復于隍(성부우황) : 성이 무너져 터에 돌아옴이라.
勿用師(물용사) : 군사를 쓰지 말고
自邑告命貞吝(자읍고명정린) : 읍으로부터 명이 고할지니 바르더라도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城復于隍(성부우황) : '성복우황'은
其命亂也(기명란야) : 그 명이 어지러움이라
【傳】泰, 序卦, 履而泰然後, 安, 故受之以泰, 履得其所則舒泰, 泰則安矣,
泰所以次履也, 爲卦, 坤陰, 在上, 乾陽, 居下, 天地陰陽之氣, 相交而和則萬物, 生成, 故爲通泰.
泰, 小 往코 大 來하니 吉하야 亨하니라.
【傳】小, 謂陰, 大, 謂陽, 往, 往之於外也, 來, 來居於內也, 陽氣下降, 陰氣上交也, 陰陽, 和暢則萬物,
生遂, 天地之泰也, 以人事言之, 大則君上, 小則臣下, 君, 推誠以任下, 臣, 盡誠以事君, 上下之志, 通, 朝廷之泰也,
陽爲君子, 陰爲小人. 君子, 來處於內, 小人, 往處於外, 是君子, 得位, 小人, 在下, 天下之泰也, 泰之通, 吉
而且亨也, 不云吉元亨者, 時有汚隆, 治有小大, 雖泰, 豈一槩哉, 言吉亨則可包矣.
【本義】泰, 通也, 爲卦, 天地交而二氣通, 故爲泰, 正月之卦也, 小, 謂陰, 大, 謂陽, 言坤往居外,
乾來居內, 又自歸妹來則六往居四, 九來居三也, 占者, 有剛陽之德則吉而亨矣
彖曰 泰小往大來吉亨은 則是天地 交而萬物이 通也며 上下 交而其志 同也라.
【傳】小往大來, 陰往而陽來也, 則是天地陰陽之氣, 相交而萬物, 得遂其通泰也, 在人則上下之情, 交通而其志意同也.
內陽而外陰하며 內健而外順하며 內君子而外小人하니 君子道 長하고 小人道 消也라.
【傳】陽來居內, 陰往居外, 陽進而陰退也, 乾健, 在內, 坤順, 在外, 爲內健而外順, 君子之道也,
君子, 在內, 小人, 在外, 是君子道長小人道消, 所以爲泰也, 旣取陰陽交和, 又取君子道長, 陰陽交和, 乃君子之道, 長也.
象曰 天地交 泰니 后 以하야 財成天地之道하며 輔相天地之宜하야 以左右民하나니라.
【傳】天地交而陰陽和則萬物, 茂遂, 所以泰也, 人君, 當體天地通泰之象而以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宜, 以左右生民也, 財成, 謂體天地交泰之道而財制, 成其施爲之方也, 輔相天地之宜, 天地, 通泰則萬物, 茂遂, 人君, 體之而爲法制, 使民,
用天時因地利, 輔助化育之功, 成其豊美之利也, 如春氣發生萬物則, 爲播植之法, 秋氣成實萬物則爲收斂之法,
乃輔相天地之宜, 以左右輔助於民也, 民之生, 必賴君上, 爲之法制, 以敎率輔翼之, 乃得遂其生養, 是左右之也.
【本義】財成, 以制其過, 輔相, 以補其不及.
初九, 拔茅茹라 以其彙로 征이니 吉하니라.
【傳】初以陽爻, 居下, 是, 有剛明之才而在下者也, 時之否則君子, 退而窮處, 時旣泰則志在上進也, 君子之進, 必與其朋類, 相牽援, 如茅之根然, 拔其一則牽連而起矣, 茹, 根之相牽連者, 故以爲象, 彙, 類也, 賢者, 以其類, 進, 同志以行其道,
是以吉也, 君子之進, 必以其類, 不唯志在相先, 樂於與善, 實乃相賴以濟, 故君子小人, 未有能獨立不賴朋友之助者也,
自古, 君子, 得位則天下之賢, 萃於朝廷, 同志協力, 以成天下之泰, 小人, 在位則不肖者, 竝進然後, 其黨, 勝而天下,
否矣, 蓋各從其類也.
【本義】三陽在下, 相連而進, 拔茅連茹之象, 征行之吉也, 占者, 陽剛則其征, 吉矣, 郭璞洞林, 讀至彙字, 絶句, 下卦放此.
象曰 拔茅征吉은 志在外也라.
【傳】時將泰則群賢, 皆欲上進, 三陽之志, 欲進, 同也, 故取茅茹彙征之象, 志在外, 上進也.
九二, 包荒하며 用馮河하며 不遐遺하며 朋亡하면 得尙于中行하리라.
【傳】二以陽剛得中, 上應於五, 五以柔順得中, 下應於二, 君臣, 同德, 是, 以剛中之才, 爲上所專任, 故二雖居臣位,
主治泰者也, 所謂上下交而其志同也, 故治泰之道, 主二而言, 包荒用馮河不遐遺朋亡四者, 處泰之道也, 人情, 安肆則政,
舒緩而法度, 廢弛, 庶事, 无節治之之道, 必有包含荒穢之量則其施爲, 寬裕詳密, 弊革事理而人安之, 若无含弘之度,
有忿疾之心則无深遠之慮, 是暴擾之患, 深弊, 未去而近患, 己生矣, 故在包荒也, 用馮河, 泰寧之世, 人情, 習於久安,
安於守常, 惰於因循, 憚於更變, 非有馮河之勇, 不能有爲於斯時也, 馮河謂其剛果, 足以濟深越險也, 自古, 泰治之世,
必漸至於衰替, 蓋由狃習安逸因循而然, 自非剛斷之君, 英烈之輔, 不能挺特奮發, 以革其弊也,
故曰用馮河, 或疑上云包荒則是包含寬容, 此云用馮河則是奮發改革, 似相反也, 不知以含容之量, 施剛果之用,
乃聖賢之爲也, 不遐遺, 泰寧之時, 人心, 狃於泰則苟安逸而已, 惡能復深思遠慮, 及於遐遠之事哉, 治夫泰者, 當周及庶事,
雖遐遠, 不可遺, 若事之微隱, 賢才之在僻陋, 皆遐遠者也, 時泰則固遺之矣, 朋亡, 夫時之旣泰則人習於安, 其情,
肆而失節, 將約而正之, 非絶去其朋與之私則不能也, 故云朋亡, 自古, 立法制事, 牽於人情, 卒不能行者, 多矣, 若
夫禁奢侈則害於近戚, 限田産則妨於貴家, 如此之類, 旣不能斷以大公而必行則是牽於朋比也, 治泰,
不能朋亡則爲之難矣, 治泰之道, 有此四者則能合於九二之德, 故曰得尙于中行, 言能配合中行之義也, 尙, 配也.
【本義】九二, 以剛居柔, 在下之中, 上有六五之應, 主乎泰而得中道者也,
占者, 能包容荒穢而果斷剛決, 不遺遐遠而不昵朋比則合乎此爻中行之道矣.
象曰 包荒得尙于中行은 以光大也라.
【傳】象擧包荒一句而通解四者之義, 言如此則能配合中行之德而其道, 光明顯大也.
九三, 无平不陂며 无往不復이니 艱貞이면 无咎하야 勿恤이라도 其孚라 于食에 有福하리라.
【傳】三居泰之中, 在諸陽之上, 泰之盛也, 物理, 如循環, 在下者, 必升, 居上者, 必降, 泰久而必否, 故於泰之盛,
與陽之將進而爲之戒曰无常安平而不險陂者, 謂无常泰也, 无常往而不返者, 謂陰當復也, 平者, 陂, 往者, 復則爲否矣,
當知天理之必然, 方泰之時, 不敢安逸, 常艱危其思慮, 正固其施爲, 如是則可以无咎, 處泰之道, 旣能艱貞則可常保其泰,
不勞憂恤, 得其所求也, 不失所期, 爲孚, 如是則於其祿食, 有福益也, 祿食, 謂福祉, 善處泰者, 其福, 可食也, 盖德善,
日積則福祿, 日臻, 德踰於祿則雖盛而非滿, 自古, 隆盛, 未有不失道而喪敗者也.
【本義】將過于中, 泰將極而否欲來之時也, 恤, 憂也, 孚, 所期之信也, 戒占者, 艱難守貞則无咎而有福.
象曰 无往不復은 天地際也라.
【傳】无往不復, 言天地之交際也, 陽降于下, 必復于上, 陰升于上, 必復于下,
屈伸往來之常理也, 因天地交際之道, 明否泰不常之理, 以爲戒也.
六四, 翻翻히 不富以其隣하야 不戒以孚로다.
【傳】六四, 處泰之過中, 以陰在上, 志在下復, 上二陰, 亦志在趍下, 翩翩, 疾飛之貌, 四, 翩翩就下,
與其隣, 同也, 隣, 其類也, 謂五與上, 夫人, 富而其類, 從者, 爲利也, 不富而從者, 其志, 同也, 三陰, 皆在下之物,
居上, 乃失其實, 其志, 皆欲下行, 故不富而相從, 不待戒告而誠意, 相合也, 夫陰陽之升降, 乃時運之否泰, 或交或散,
理之常也, 泰旣過中則將變矣, 聖人, 於三, 尙云艱貞則有福, 蓋三, 爲將中, 知戒則可保, 四, 已過中矣, 理必變也,
故專言始終反復之道, 五, 泰之主則復言處泰之義.
【本義】已過乎中, 泰已極矣, 故三陰, 翩然而下, 復不待富而其類, 從之, 不待戒令而信也, 其爻,
爲有小人合交, 以害正道, 君子, 所當戒也, 陰虛陽實, 故凡言不富者, 皆陰爻也.
象曰 翩翩不富는 皆失實也오 不戒以孚는 中心願也라.
【傳】翩翩, 下往之疾, 不待富而隣從者, 以三陰, 在上, 皆失其實故也, 陰本在下之物, 今乃居上, 是失實也,
不待告戒而誠意相與者, 蓋其中心所願故也, 理當然者, 天也, 衆所同者, 時也.
【本義】本陰居下, 在上, 爲失實.
六五, 帝乙歸妹니 以祉며 元吉이리라.
【傳】史, 謂湯爲天乙, 厥後, 有帝祖乙, 亦賢王也, 後又有帝乙, 多士曰自成湯, 至于帝乙, 罔不明德恤祀, 稱帝乙者,
未知誰是, 以爻義, 觀之, 帝乙, 制王姬下嫁之禮法者也, 自古帝女, 雖皆下嫁, 至帝乙然後, 制爲禮法, 使降其尊貴,
以順從其夫也, 六五, 以陰柔, 居君位, 下應於九二剛明之賢, 五能倚任其賢臣而順從之, 如帝乙之歸妹然,
降其尊而順從於陽則以之守祉, 且元吉也, 元吉, 大吉而盡善者也, 謂成治泰之功也.
【本義】以陰居尊, 爲泰之主, 柔中虛己, 下應九二, 吉之道也, 而帝乙歸媒之時, 亦嘗得此爻,
占者, 如是則有祉而元吉矣, 凡經, 以古人爲言, 如高宗箕子之類者, 皆倣此.
象曰 以祉元吉은 中以行願也라.
【傳】所以能獲祉福且元吉者, 由其以中道, 合而行其志願也, 有中德, 所以能任剛中之賢,
所聽從者, 皆其志願也, 非其所欲, 能從之乎.
上六, 城復于隍이라 勿用師오 自邑告命이니 貞이라도 吝하니라.
【傳】掘隍土積累, 以成城, 如治道, 積累, 以成泰, 及泰之終, 將反於否, 如城土, 頹圯, 復反于隍也,
上, 泰之終, 六, 以小人, 處之, 行將否矣, 勿用師, 君之所以能用其衆者, 上下之情, 通而心從也, 今泰之將終, 失泰之道,
上下之情, 不通矣, 民心, 離散, 不從其上, 豈可用也, 用之則亂, 衆旣不可用, 方自其親近而告命之, 雖使所告命者,
得其正, 亦可羞吝, 邑, 所居, 謂親近, 大率告命, 必自近始, 凡貞凶貞吝, 有二義, 有貞固守此則凶吝者, 有雖得正,
亦凶吝者, 此不云貞凶而云貞吝者, 將否而方告命, 爲可羞吝, 否不由於告命也.
【本義】泰極而否, 城復于隍之象, 戒占者, 不可力爭, 但可自守, 雖得其正, 亦不免於羞吝也.
象曰 城復于隍은 其命이 亂也라.
【傳】城復于隍矣, 雖其命之亂, 不可止也.
【本義】命亂, 故復否, 告命, 所以治之也.
13.天火同人(천화동인) (0) | 2015.05.17 |
---|---|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10.天澤履(천택리) (0) | 2015.05.14 |
9.風天小畜(풍천소축) (0) | 2015.05.14 |
8.水地比(수지비) (0) | 2015.05.14 |
10. 天澤履(천택리)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를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履柔履剛也(리유리강야) : 리는 유가 강에 밟힘이니,
說而應乎乾(설이응호건) : 기쁨으로 건에 응하는지라.
是以履虎尾(시이리호미) : 이로써 호랑이 꼬리를 밟아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물지 않으니 형통함이라
剛中正(강중정) : 강건하고 중정함으로써
履帝位而不疚(리제위이불구) : 제위(帝位)를 밟아 평폐가 없으니
光明也(광명야) : 광명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上天下澤履(상천하택리) : 위는 하늘이고 아래는 못이 있는 리괘의 괘상이니
君子以辯上下(군자이변상하) : 군자가 이로써 위 아래를 분별하여
定民志(정민지) : 백성의 뜻을 정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素履往無咎(소리왕무구) : 본래대로 밟아 나아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素履之往(소리지왕) : '소리지왕'은
獨行願也(독행원야) : 홀로 원하는 것을 행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履道坦坦(리도탄탄) : 밟는 도가 탄탄하니,
幽人貞吉(유인정길) : 유인이라야 바르고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幽人貞吉(유인정길) : '유인정길'은
中不自亂也(중불자란야) : 중을 얻어 스스로 어지럽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眇能視(묘능시) : 소경이 능히 보며
跛能履(파능리) : 절름발이가 능히 잛는지라.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아서
咥人凶(질인흉) : 사람을 무니 흉하고,
武人為于大君(무인위우대군) : 무인이 대군이 되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眇能視(묘능시) : '능시'는
不足以有明也(불족이유명야) : 족히 밝음이 있지 못함으로써요,
跛能履(파능리) : '파능리'는
不足以與行也(불족이여행야) : 족히 더불어 행하지 못함으로써요.
咥人之凶(질인지흉) : '질인지흉'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요,
武人為于大君(무인위우대군) : '무인위우대군'은
志剛也(지강야) : 뜻이 강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음이니,
愬愬終吉(소소종길) : 조심하고 조심하면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愬愬終吉(소소종길) : '소소종길'은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하여짐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夬履貞厲(쾌리정려) : 흔쾌히 밟음이니, 바르더라도 위태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夬履貞厲(쾌리정려) : '쾌리정려'는
位正當也(위정당야) : 위가 정당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視履考祥(시리고상) : 밟아온 것을 보아서 상서로운 것을 상고하되
其旋元吉(기선원길) : 그 시행을 두루 잘했으면 크게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元吉在上(원길재상) : 크게 길함이 위에 있음이
大有慶也(대유경야) : 큰 경사가 있음이라
傳】履, 序卦, 物畜然後, 有禮, 故受之以履, 夫物之聚則有小大之別, 高下之等, 美惡之分, 是物畜然後, 有禮, 履所以繼畜也, 履, 禮也, 禮, 人之所履也, 爲卦,
天上澤下, 天而在上, 澤而處下, 上下之分, 尊卑之義, 理之當也, 禮之本也, 常履之道也, 故爲履, 履, 踐也, 藉也, 履物, 爲踐, 履於物, 爲藉, 以柔藉剛,
故爲履也, 不曰剛履柔而曰柔履剛者, 剛乘柔, 常理, 不足道, 故易中, 唯言柔乘剛, 不言剛乘柔也, 言履藉於剛, 乃見卑順說應之義.
履虎尾라도 不侄人이라 亨하니라.
【傳】履, 人所履之道也, 天在上而澤處下, 以柔履藉於剛, 上下, 各得其義, 事之至順, 理之至當也, 人之履行,
如此, 雖履至危之地, 亦无所害, 故履虎尾而不見咥嚙, 所以能亨也.
【本義】兌, 亦三劃卦之名, 一陰, 見於二陽之上, 故其德, 爲說, 其象, 爲澤, 履, 有所躡而進之義也, 以兌遇乾,
和說以躣剛强之後, 有履虎尾而不見傷之象, 故其卦, 爲履而占, 如是也, 人能如是則處危而不傷矣.
彖曰 履는 柔履剛也니
【本義】以二體, 釋卦名義.
說而應乎乾이라 是以履虎尾不侄人亨이라.
【傳】兌以陰陽, 履藉乾之陽剛, 柔履剛也, 兌以說順, 應乎乾剛而履藉之, 下順乎上, 陰承乎陽, 天下之至理也,
所履如此, 至順至當, 雖履虎尾, 亦不見傷害, 以此履行, 其亨, 可知.
【本義】以卦德, 釋彖辭.
剛中正으로 履帝位하야 而不疚면 光明也라.
【傳】九五, 以陽剛中正, 尊履帝位, 苟无疚病, 得履道之至善光明者也, 疚, 謂疵病, 夬履, 是也, 光明, 德盛而輝光也.
【本義】又以卦體, 明之, 指九五也.
象曰 上天下澤이 履니 君子 以하야 辯上下하야 定民志하나니라.
【傳】天在上澤居下, 上下之正理也, 人之所履, 當如是, 故取其象而爲履, 君子, 觀履之象, 以辯別上下之分, 以定其民志,
夫上下之分, 明然後, 民志, 有定, 民志, 定然後, 可以言治, 民志, 不定, 天下, 不可得而治也, 古之時, 公卿大夫而下, 位各稱其德, 終身居之,
得其分也, 位未稱德則君, 擧而進之, 士修其學, 學至而君, 求之, 皆非有預於己也, 農工商賈, 勤其事而所享, 有限, 故皆有定志而天下之心, 可一,
後世, 自庶士, 至于公卿, 日志于尊榮, 農工商賈, 日至于富侈, 億兆之心, 交鶩於利, 天下, 紛然, 如之何其可一也, 欲其不亂, 難矣, 此, 由上下,
无定志也, 君子, 觀履之象而分辯上下, 使各當其分, 以定民之心志也.
【本義】程傳, 備矣.
初九, 素履로 往하면 无咎리라.
【傳】履不處者, 行之義, 初處至下, 素在下者也, 而陽剛之才, 可以上進, 若安其卑下之素而往則无咎矣, 夫人, 不能自安於貧賤之素則其進也, 乃貪躁而動,
求去乎貧賤耳, 非欲有爲也, 旣得其進, 驕溢, 必矣, 故往則有咎, 賢者則安履其素, 其處也, 樂, 其進也, 將有爲也, 故得其進則有爲而无不善, 乃守其素履者也.
【本義】以陽在下, 居履之初, 未爲物遷, 率其素履者也, 占者, 如是則往而无咎也.
象曰 素履之往은 獨行願也라.
【傳】安履其素而往者, 非苟利也, 獨行其志願耳, 獨, 專也, 若欲貴之心, 與行道之心, 交戰于中, 豈能安履其素也.
九二, 履道 坦坦하니 幽人이라아 貞코 吉하니라.
【傳】九二, 居柔, 寬裕得中, 其所履, 坦坦然平易之道也, 雖所履, 得坦易之道, 亦必幽靜安恬之人, 處之, 則能貞固而吉也, 九二, 陽, 志, 上進, 故有幽人之戒.
【本義】剛中在下, 无應於上, 故爲履道平坦幽獨守貞之象, 幽人, 履道而遇其占則貞而吉矣.
象曰 幽人貞吉은 中不自亂也라.
【傳】履道, 在於安靜, 其中, 恬正則所履, 安裕, 中若躁動, 豈能安其所履, 故必幽人, 則能堅固而吉, 盖其中心, 安靜, 不以利欲, 自亂也.
六三, 渺能視며 跛能履라 履虎尾하야 侄人이니 凶하고 武人이 爲于大君이로다.
【傳】三, 以陰居陽, 志欲剛而體本陰柔, 安能堅其所履, 故如盲渺之視, 其見, 不明, 跛躄之履, 其行, 不遠, 才旣不足而又處不得中, 履非其正,
以柔而務剛, 其履如此, 是, 履於危地, 故曰履虎尾, 以不善履, 履危地, 必及禍患, 故曰咥人凶, 武人爲于大君, 如武暴之人而居人上, 肆其躁率而已,
非能順履而遠到也, 不中正而志剛, 乃爲群陽所與, 是以, 剛躁蹈危而得凶也.
【本義】六三, 不中不正, 柔而志剛, 以此履乾, 必見傷害, 故其象, 如此而占者, 凶, 又爲剛武之人, 得志而肆暴之象, 如秦政項籍, 豈能久也.
象曰 眇能視는 不足以有明也오 跛能履는 不足以與行也오.
【傳】陰柔之人, 其才, 不足, 視不能明, 行不能遠而乃務剛, 所履如此, 其能免於害乎.
咥人之凶은 位不當也오. 武人爲于大君은 志剛也라.
【傳】以柔居三, 履非其正, 所以致禍害跛咥而凶也, 以武人爲喩者, 以其處陽, 才弱而志剛也, 志剛則妄動, 所履, 不由其道, 如武人而爲大君也.
九四, 履虎尾니 愬愬이면 終吉이리라.
【傳】九四, 陽剛而乾體, 雖居四, 剛勝者也, 在近君多懼之地, 无相得之義, 五復剛決之過, 故爲履虎尾, 愬愬, 畏懼之貌, 若能畏懼則當終吉,
蓋九雖剛而志柔, 四雖近而不處, 故能兢愼畏懼則終免於危而獲吉也.
【本義】九四, 亦以不中不正, 履九五之剛, 然, 以剛居柔, 故能戒懼而得終吉.
象曰 愬愬終吉은 志行也라.
【傳】能愬愬畏懼則終得其吉者, 志在於行而不處也, 去危則獲吉矣, 陽剛, 能行者也, 居柔, 以順自處者也.
九五, 夬履니 貞이라도 厲하리라.
【傳】夬, 剛決也, 五以陽剛乾體, 居至尊之位, 任其剛決而行者也, 如此則雖得正, 猶危厲也, 古之聖人, 居天下之尊, 明足以照, 剛足以決, 勢足以專,
然而未嘗不盡天下之議, 雖蒭蕘之微, 必取, 乃其所以爲聖也, 履帝位而光明者也, 若自任剛明, 決行不顧, 雖使得正, 亦危道也, 可固守乎,
有剛明之才, 苟專自任, 猶爲危道, 況剛明不足者乎, 易中, 云貞厲, 義各不同, 隨卦可見.
【本義】九五, 以剛中正, 履帝位而下以兌說, 應之, 凡事, 必行, 无所疑礙, 故其象爲夬決, 其履, 雖使得正, 亦危道也, 故其占, 爲雖正而危, 爲戒深矣.
象曰 夬履貞厲는 位正當也일새라.
【傳】戒夬履者, 以其正當尊位也, 居至尊之位, 據能專之勢而自任剛決, 不復畏懼, 雖使得正, 亦危道也.
【本義】傷於所恃.
上九, 視履하야 考祥호대 其旋이면 元吉이리라.
【傳】上處履之終, 於其終, 視其所履行, 以考其善惡禍福, 若其旋則善且吉也, 旋, 謂周旋, 完備无不至也, 人之所履, 考視其終,
若終始周完无疚, 善之至也, 是以, 元吉, 人之吉凶, 係其所履善惡之多寡, 吉凶之小大也.
【本義】視履之終, 以考其詳, 周旋无虧則得元吉, 占者禍福, 視其所履而未定也.
象曰 元吉在上이 大有慶也니라.
【傳】上, 履之終也, 人之所履, 善而吉, 至其終, 周旋无虧, 乃大有福慶之人也, 人之行, 貴乎有終.
【本義】若得元吉則大有福慶也.
12.天地否(천지비) (0) | 2015.05.17 |
---|---|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9.風天小畜(풍천소축) (0) | 2015.05.14 |
8.水地比(수지비) (0) | 2015.05.14 |
7.地水師(지수사) (0) | 2015.05.14 |
9. 風天小畜(풍천소축)
小畜亨(소축형) : 소축은 형통하니
密雲不雨(밀운불우) : 빽빽한 구름에 비가 오지 않은 것은
自我西郊(자아서교) : 우리 서쪽 교외에 머물러있다.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小畜(소축) : 소축은 유(柔)가 제자리를 얻음에
柔得位(유득위) :
而上下應之曰小畜(이상하응지왈소축) : 위와 아래가 응하니 소축이라하니라.
健而巽(건이손) : 굳건하고 겸손하며,
剛中而志行(강중이지행) : 강한 것이 중도를 얻어 뜻이 행해지니
乃亨(내형) : 형통하니라.
密雲不雨(밀운불우) : 빽빽한 구름이 비를 내리지 않음은
尚往也(상왕야) : 여전히 진행 중이요
自我西郊(자아서교) : '자아서교'는 우리 서쪽 교외에 머물러 있다고 함은
施未行也(시미행야) : 베풂이 행하여지지 않음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風行天上小畜(풍행천상소축) : 바람이 하늘 위에 행하는 것이 소축괘 상이니
君子以懿文德(군자이의문덕) : 군자가 이것으로써 문덕을 아름답게 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復自道(부자도) : 회복함을 도로부터 함이니,
何其咎(하기구) : 무엇이 그 허물이리오.
吉(길) :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復自道(부자도) : '복자도'는
其義吉也(기의길야) : 그 뜻이 길하니라.
九二(구이) : 구이는
牽復吉(견부길) : 이끌어서 회복함이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牽復在中(견부재중) : '견복'은 가운데 있음이라.
亦不自失也(역불자실야) : 또한 스스로 잃지 않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輿說輻(여설복) : 수레의 바퀴살을 벗김이며,
夫妻反目(부처반목) : 부부가 반목함이로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夫妻反目(부처반목) : '부처반목'은
不能正室也(불능정실야) : 능히 집을 바로 하지 못하느니라.
六四(육사) : 육사는
有孚血去(유부혈거) : 믿음을 두면, 피가 사라져가고
惕出無咎(척출무구) : 두려운데서 나와서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有孚惕出(유부척출) : '유부척출'은
上合志也(상합지야) : 위와 뜻이 합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有孚攣如(유부련여) : 믿음을 갖고 서로 이끌고
富以其鄰(부이기린) : 부를 그 이웃과 같이 하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有孚攣如(유부련여) : '유부연여'는
不獨富也(불독부야) : 홀로 부하지 않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既雨既處(기우기처) : 이미 비오고 이미 그침은
尚德載(상덕재) : 덕을 숭상하여 실음이니
婦貞厲(부정려) : 지어미가 너무 고집하면 위태하리라.
月幾望(월기망) : 달이 거의 보름이니
君子征凶(군자정흉) : 군자가 집 떠나가면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既雨既處(기우기처) : '기우기처'는
德積載也(덕적재야) : 덕이 쌓여서 가득 참이요,
君子征凶(군자정흉) : '군자정흉'은
有所疑也(유소의야) : 의심할 바가 있음이라
【傳】小畜, 序卦, 比必有所畜, 故受之以小畜, 物, 相比附則爲聚, 聚, 畜也, 又相親比則志相畜, 小畜所以次比也, 畜, 止也, 止則聚矣, 爲卦, 巽上乾下, 乾, 在上之物,
乃居巽下, 夫畜止剛健, 莫如巽順, 爲巽所畜, 故爲畜也, 然, 巽, 陰也, 其體, 柔順, 唯能以巽順, 柔其剛健, 非能力止之也, 畜道之小者也, 又四以一陰, 得位, 爲五陽所說,
得位, 得柔巽之道也, 能畜群陽之志, 是以爲畜也, 小畜, 謂以小畜大, 所畜聚者, 小, 所畜之事, 小, 以陰故也, 彖, 專以六四, 畜諸陽, 爲成卦之義, 不言二體, 蓋擧其重者.
小畜은 亨하니 密雲不雨는 自我西郊일새니라.
【傳】雲, 陰陽之氣, 二氣, 交而和則相畜固而成雨, 陽倡而陰和, 順也, 故和, 若陰先陽倡, 不順也, 故不和, 不和則不能成雨, 雲之畜聚, 雖密而不成雨者, 自西郊故也,
東北, 陽方, 西南, 陰方, 自陰倡, 故不和而不能成雨, 以人觀之, 雲氣之興, 皆自四遠, 故云郊, 據四而言, 故云自我, 畜陽者, 四, 畜之主也.
【本義】巽亦三劃卦之名, 一陰, 伏於二陽之下故, 其德, 爲巽爲入, 其象, 爲風爲木, 小陰也, 畜, 止之之義也, 上巽下乾, 以陰畜陽, 又卦唯六四一陰, 上下五陽, 皆爲所畜,
故爲小畜, 又以陰畜陽, 能係而不能固, 亦爲所畜者, 小之象, 內健外巽, 二五, 皆陽, 各居一卦之中而用事, 有剛而能中其志得行之象, 故其占, 當得亨通, 然, 畜未極而施未行, 故有密雲不雨自我西郊之象, 蓋密雲, 陰物, 西郊, 陰方, 我者, 文王, 自我也, 文王, 演易於羑里, 視岐周, 爲西方, 正小畜之時也, 筮者, 得之則占亦如其象云.
彖曰 小畜은 柔 得位而上下 應之할새 曰小畜이라.
【傳】言成卦之義也, 以陰居四, 又處上位, 柔, 得位也, 上下五陽, 皆應之, 爲所畜也, 以一陰而畜五陽, 能係而不能固, 是以爲小畜也, 彖解成卦之義而加曰字者, 皆重卦名,
文勢, 當然, 單名卦, 惟革, 有曰字, 亦文勢, 然也.
【本義】以卦體, 釋卦名義, 柔得位, 指六, 居四, 上下, 謂五陽.
健而巽하며 剛中而志行하야 乃亨하니라.
【傳】以卦才, 言也, 內健而外巽, 健而能巽也, 二五, 居中, 剛中也, 陽性, 上進, 下復乾體, 志在於行也, 剛居中, 爲剛而得中, 又爲中剛, 言畜陽則以柔巽, 言能亨則由剛中,
以成卦之義言則爲陰畜陽, 以卦才言則陽爲剛中, 才, 如是, 故畜雖小而能亨也.
【本義】以卦德卦體而言陽猶可亨也.
密雲不雨는 尙往也오. 自我西郊는 施未行也라.
【傳】畜道, 不能成大, 如密雲而不成雨, 陰陽, 交而和則相固而成雨, 二氣, 不和, 陽尙往而上, 故不成雨, 蓋自我陰方之氣先倡,
故不和而不能成雨, 其功施未行也, 小畜之不能成大, 猶西郊之雲, 不能成雨也.
【本義】尙往, 言畜之未極, 其氣, 猶上進也.
象曰 風行天上이 小畜이니 君子 以하야 懿文德하나니라.
【傳】乾之剛健而爲巽所畜, 夫剛健之性, 惟柔順, 爲能畜止之, 雖可以畜止之, 然, 非能固制其剛健也, 但柔順以擾係之耳, 故爲小畜也, 君子, 觀小畜之義,
以懿美其文德, 畜, 聚, 爲蘊畜之義, 君子所蘊畜者, 大則道德經綸之業, 小則文章才藝, 君子, 觀小畜之象, 以懿美其文德, 文德, 方之道義, 爲小也.
【本義】風, 有氣而无質, 能畜而不能久, 故爲小畜之象, 懿文德, 言未能厚積而遠施也.
初九, 復이 自道어니 何其咎리오 吉하니라.
【傳】初九, 陽爻而乾體, 陽, 在上之物, 又剛健之才, 足以上進而復, 與在上, 同志, 其進復於上, 乃其道也, 故云復自道, 復旣自道, 何過咎之有, 无咎而又有吉也, 諸爻,
言无咎者, 如是則无咎矣, 故云无咎者, 善補過也, 雖使爻義, 本善, 亦不害於不如是, 則有咎之義, 初九, 乃由其道而行, 无有過咎, 故云何其咎, 无咎之甚明也.
【本義】下卦, 乾體, 本皆在上之物, 志欲上進而爲陰所畜, 然, 初九, 體乾, 居下得正, 前遠於陰, 雖與四爲正應而能自守以正,
不爲所畜, 故有進復自道之象, 占者, 如是則无咎而吉也.
象曰 復自道는 其義吉也라.
【傳】陽剛之才, 由其道而復, 其義吉也, 初與四, 爲正應, 在畜時, 乃相畜者也.
九二, 牽復이니 吉하니라.
【傳】二以陽, 居下體之中, 五以陽, 居上體之中, 皆以陽剛, 居中, 爲陰所畜, 俱欲上復, 五雖在四上而爲其所畜則同, 是同志者也, 夫同患相憂, 二五, 同志,
故相牽連而復, 二陽, 竝進則陰不能勝, 得遂其復矣, 故吉也, 曰遂其復則離畜矣乎, 曰凡爻之辭, 皆謂如是則可以如是, 若己然則時己變矣, 尙何敎誡乎,
五爲巽體, 巽畜於乾而反與二, 相牽, 何也, 曰擧二體而言則巽畜乎乾, 全卦而言則一陰, 畜五陽也, 在易, 隨時取義, 皆如此也.
【本義】三, 陽, 志同而九二, 漸近於陰, 以其剛中, 故能與初九, 牽連而復, 亦吉道也, 占者, 如是則吉矣.
象曰 牽復은 在中이라 亦不自失也라.
【傳】二, 居中得正者也, 剛柔進退, 不失乎中道也, 陽之復, 其勢, 必强, 二以處中, 故雖强於進, 亦不至於過剛,
過剛, 乃自失也, 爻, 止言牽復而吉之義, 象, 復發明其在中之美.
【本義】亦者, 承上爻義.
九三, 輿說輻이며 夫妻反目이로다.
【傳】三, 以陽爻, 居不得中而密比於四, 陰陽之情, 相求也, 又暱比而不中, 爲陰畜制者也, 故不能前進, 猶車輿, 說去輪輻, 言不能行也, 夫妻反目, 陰, 制於陽者也,
今反制陽, 如夫妻之反目也, 反目, 謂怒目相視, 不順其夫而反制之也, 婦人, 爲夫寵惑, 旣而遂反制其夫, 夫有夫不失道而妻能制之者也, 故說輻反目, 三, 自爲也.
【本義】九三, 亦欲上進, 然, 剛而不中, 迫近於陰而又非正應, 但以陰陽相說而爲所係畜, 不能自進, 故有輿說輻之象, 然, 以志剛, 故又不能平而與之爭,
故又爲夫妻反目之象, 戒占者, 如是則不得進而有所爭也.
象曰 夫妻反目은 不能正室也라.
【傳】夫妻反目, 蓋由不能正其室家也, 三, 自處不以道, 故四, 得制之, 不使進, 猶夫不能正其室家, 故致反目也.
【本義】程子, 曰說輻反目, 三, 自爲也.
六四, 有孚면 血去코 場出하야 无咎리라.
【傳】四於畜時, 處近君之位, 畜君者也, 若內有孚誠則五志信之, 從其畜也, 卦獨一陰, 畜衆陽者也, 諸陽之志, 係于四, 四,
苟欲以力畜之則一柔, 敵衆剛, 必見傷害, 惟盡其孚誠以應之則可以感之矣, 故其傷害, 遠, 其危懼, 免也, 如此則可以无咎,
不然則不免乎害矣, 此, 以柔畜剛之道也, 以人君之威嚴而微細之臣, 有能畜止其欲者, 蓋有孚信以感也.
【本義】以一陰, 畜衆陽, 本有傷害憂懼, 以其柔順得正, 虛中巽體, 二陽, 助之, 是, 有孚而血去惕出之上也, 无咎, 宜矣, 故戒占者, 亦有其德則无咎也.
象曰 有孚惕出은 上合志也라.
【傳】四旣有孚則五, 信任之, 與之合志, 所以得惕出而无咎也, 惕出則血去, 可知擧其輕者也, 五旣合志, 衆陽, 皆從之矣.
九五, 有孚라 攣如하야 富以其隣이로다.
【傳】小畜, 衆陽, 爲陰所畜之時也, 五以中正, 居尊位而有孚信則其類, 皆應之矣, 故曰攣如, 謂牽連相從也, 五必援挽, 與之相濟, 是富以其隣也,
五以居尊位之勢, 如富者, 推其財力, 與隣比, 共之也, 君子, 爲小人所困, 正人, 爲群邪所厄則在下者, 必攣挽於上, 期於同進, 在上者,
必援引於下, 與之戮力, 非獨推己力, 以及人也, 固資在下之助, 以成其力耳.
【本義】巽體三爻, 同力畜乾, 隣之象也, 而九五, 居中處尊, 勢能有爲, 以兼乎上下, 故爲有孚攣固用富厚之力而以其隣之象,
以, 猶春秋, 以某師之以, 言能左右之也, 占者, 有孚則能如是也.
象曰 有孚攣如는 不獨富也라.
【傳】有孚攣如, 蓋其隣類, 皆牽攣而從之, 與衆同欲, 不獨有其富也, 君子之處難厄, 惟其至誠, 故得衆力之助而能濟其衆也.
上九, 旣雨旣處는 尙德하야 載니 婦 貞이면 厲하리라.
【傳】九以巽順之極, 居卦之上, 處畜之終, 從畜而止者也, 爲四所止也, 旣雨, 和也, 旣處, 止也, 陰之畜陽, 不和則不能止, 旣和而止, 畜之道, 成矣,
大畜, 畜之大, 故極而散, 小畜, 畜之小, 故極而成, 尙德載, 四, 用柔巽之德, 積滿而至於成也, 陰柔之畜剛, 非一朝一夕, 能成, 由積累而至,
可不戒乎, 載, 積滿也, 詩云厥聲載路, 婦貞厲, 婦, 謂陰, 以陰而畜陽, 以柔而制剛, 婦, 若貞固守此, 危厲之道也, 安有婦制其夫, 臣制其君而能安者乎.
月幾望이니 君子 征이면 凶하리라.
【傳】月望則與日敵矣, 幾望, 言其盛將敵也, 陰, 己能畜陽而云幾望, 何也, 此, 以柔巽, 畜其志也, 非力能制也, 然, 不己則將盛於陽而凶矣,
於幾望而爲之戒曰婦將敵矣, 君子, 動則凶矣, 君子, 謂陽, 征, 動也, 幾望, 將盈之時, 若己望則陽己消矣, 尙何戒乎.
【本義】畜極而成, 陰陽, 和矣, 故爲旣雨旣處之象, 畜尊尙陰德, 至於積滿而然也, 陰加於陽, 故雖正, 亦厲, 然, 陰旣盛而抗陽則君子, 亦不可以有行矣, 其占, 如此, 爲戒深矣.
象曰 旣雨旣處는 德이 積載也오 君子征凶은 有所疑也니라.
【傳】旣雨旣處, 言畜道, 積滿而成也, 陰將盛極, 君子, 動則有凶也, 陰敵陽則必消陽, 小人, 抗君子則必害君子, 安得不疑慮乎, 若前知疑慮而警懼, 求所以制之則不至於凶矣.
11.地天泰(지천태) (0) | 2015.05.17 |
---|---|
10.天澤履(천택리) (0) | 2015.05.14 |
8.水地比(수지비) (0) | 2015.05.14 |
7.地水師(지수사) (0) | 2015.05.14 |
6.天水訟(천수송) (0) | 2015.05.14 |
8. 水地比(수지비)
比吉(비길) : 비는 길하니
原筮(원서) : 처음 점을 하되
元永貞無咎(원영정무구) : 크고 장구하고 정도들 얻게 될 때허물이 없으리라.
不寧方來(불녕방래) : 편하지 못하여야 바야흐로 돌아오니,
後夫凶(후부흉) : 뒤에 돌아오면 대장부라도 흉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比吉也(비길야) : 비는 길한것이며,
比輔也(비보야) : 비는 돕는 것이니,
下順從也(하순종야) : 아래가 순종한다.
原筮元永貞無咎(원서원영정무구) : 처음 점을 침에 크고 장구하고 바른 도로써 친애흘 때 탈을 면할 수 있다고 함은
以剛中也(이강중야) : 강양과 중정의 도로 임하기 때문이다
不寧方來(불녕방래) : 에워싼 무리들이 찾아드는 것은
上下應也(상하응야) : 윗사람과 아랫 사람이 서로 호응하고 있기 때문이요
後夫凶(후부흉) : 기회를 놓친 자가 아무리 강한 기상을 지니고 있어도 흉하다 함은
其道窮也(기도궁야) : 그 길이 막히기 때문이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地上有水比(지상유수비) : 땅위에 물이 있는 것이 비괘다
先王以建萬國親諸侯(선왕이건만국친제후) : 선왕이 이로써 만국을 세우고 제후를 친애한다.
初六(초륙) : 초육은
有孚比之(유부비지) : 믿음을 두고 친화하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니
有孚盈缶(유부영부) : 믿음을 둠이 그릇에 가득하면
終來有它吉(종래유타길) : 마침내 뜻밖의 다른 데에서 길함이 나타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初六(비지초륙) : '비의 초육'은
有它吉也(유타길야) : 다른 데에서 길함이 나타난다.
六二(육이) : 육이는
比之自內(비지자내) : 돕는 것을 안으로부터 하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自內(비지자내) : '지지자내'는
不自失也(불자실야) : 스스로 잃지 아니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比之匪人(비지비인) : 친화할 수 없는 자와 친화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匪人(비지비인) : 친화할 수 없는 자와 친화하니
不亦傷乎(불역상호) : 또한 잃지 않겠는가.
六四(륙사) : 육사는
外比之(외비지) : 외부에서 도우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리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外比於賢(외비어현) : 밖으로 어진 이를 돕는 것은
以從上也(이종상야) : 위를 좇기 때문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顯比(현비) : 나타나게 돕는 것이니,
王用三驅(왕용삼구) : 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失前禽(실전금) : 옆의 새를 달아나게 하여
邑人不誡吉(읍인불계길) : 읍 사람을 경계하지 아니하니 길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顯比之吉(현비지길) : '현비지길'은
位正中也(위정중야) : 위가 정히 가운데 함이요,
舍逆取順(사역취순) : 거역하는 자를 버리고 순종하는 자를 취하고
失前禽也(실전금야) : 달아 나는 짐승을 버려두는 것이다
邑人不誡(읍인불계) : 나라의 백성을 경계하지 않음은
上使中也(상사중야) : 위에서 부림이 정당하기 때문이다
上六(상륙) : 상육은
比之無首凶(비지무수흉) : 돕는데 상대가 없으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無首(비지무수) : 친화의 길을 모색하나 상대가 없음은
無所終也(무소종야) : 친화의 대열에서 끝까지 할 사람이 때문이다
【傳】比, 序卦, 衆必有所比, 故受之以比, 親輔也, 人之類, 必相親輔然後, 能安, 故旣有衆則必有所比, 比所以次師也, 爲卦,
上坎下坤, 以二體言之, 水在地上, 物之相切比无間, 莫如水之在地上, 故爲比也, 又衆爻, 皆陰, 獨五, 以陽剛, 居君位, 衆所親附而上亦親下, 故爲比也.
比, 吉하니 元筮호대 元永貞이면 无咎리라.
【傳】比, 吉道也, 人相親比, 自爲吉道, 故雜卦, 云比樂師憂, 人相親比, 必有其道, 苟非其道則, 有悔咎, 故必推原占決其可比者而比之, 筮, 謂占決卜度,
非謂以蓍龜也, 所比, 得元永貞則无咎, 元, 謂有君長之道, 永, 謂可以常久, 貞, 謂得正道, 上之比下, 必有此三者, 下之從上, 必求此三者則无咎也.
不寧이어야 方來니 後면 夫라도 凶이리라.
【傳】人之不能自保其安寧, 方且來求親比, 得所比則能保其安, 當其不寧之時, 固宜汲汲以求比, 若獨立自恃, 求比之志, 不速而後則雖夫,
亦凶矣, 夫猶凶, 況柔弱者乎, 夫, 剛立之稱, 傳, 曰子南, 夫也, 又曰是謂我非夫, 凡生天地之間者, 夫有不相親比而能自存者也, 雖剛强之至,
未有能獨立者也, 比之道, 由兩志相求, 兩志不相求則睽矣, 君, 懷撫其下, 下, 親輔於上, 親戚朋友鄕黨, 皆然, 故當上下, 合志以相從, 苟无相求之意則離而凶矣,
大抵人情, 相求則合, 相持則睽, 相持, 相待莫先也, 人之相親, 固有道, 然而欲比之志, 不可緩也.
【本義】比, 親輔也, 九五, 以陽剛, 居上之中而得其正, 上下五陰, 比而從之, 以一人而撫萬邦, 以四海而仰一人之象, 故筮者,
得之則當爲人所親輔, 然, 必再筮以自審, 有元善長永正固之德然後, 可以當衆之歸而无咎, 其未比而有所不安者, 亦將皆來歸之,
若又遲而後至則此交, 已固, 彼來, 已晩而得凶矣, 若欲比人則亦以是而反觀之耳.
彖曰 比는 吉也며
【本義】此三字, 疑衍文.
比, 輔也니 下順從也라.
【傳】比, 吉也, 比者, 吉之道也, 物相親比, 乃吉道也, 五以陽, 居尊位, 群下, 順從以親輔之, 所以爲比也.
【本義】此, 以卦體, 釋卦名義.
原筮 元永貞 无咎는 以剛中也오.
【傳】推原筮決相比之道, 得元永貞而後, 可以无咎, 所謂元永貞, 如五, 是也, 以陽剛居中正, 盡比道之善者也, 以陽剛當尊位,
爲君德元也, 居中得正, 能永而貞也, 卦辭, 本泛言比道, 彖言元永貞者, 九五, 以剛處中正, 是也.
不寧方來는 上下 應也오.
【傳】人之生, 不能保其安寧, 方且來求附比, 民不能自保, 故戴君以求寧, 君不能獨立, 故保民以爲安, 不寧而來比者, 上下, 相應也, 以聖人之公,
言之, 固至誠求天下之比, 以安民也, 以後王之私, 言之, 不求下民之附則危亡, 至矣, 故上下之至, 必相應也, 在卦言之, 上下群陰, 比於五, 五比其衆,
乃上下應也. 後夫凶은 其道 窮也라.
【傳】衆必相比而後, 能遂其生, 天地之間, 未有不相親比而能遂者也, 若相從之志, 不疾而後則不能成比, 雖夫, 亦凶矣, 无所親比, 困屈以致凶, 窮之道也.
【本義】亦以卦體, 釋卦辭, 剛中, 謂五, 上下, 謂五陰.
象曰 地上有水 比니 先王이 以하야 建萬國하고 親諸侯하니라.
【傳】夫物相親比而无間者, 莫如水在地上, 所以爲比也, 先王, 親比之象, 以建萬國親諸侯, 建立萬國, 所以比民也, 親撫諸侯, 所以比天下也.
【本義】地上有水, 水比於地, 不容有間, 建國親侯, 亦先王所以比於天下而無間者也, 彖意, 人來比我, 此, 取我往比人.
初六, 有孚比之라아 无咎리니.
【傳】初六, 比之始也, 相比之道, 以誠信爲本, 不信而親人, 人誰與之, 故比之始, 必有孚誠, 乃无咎也, 孚, 信之在中也.
有孚 盈缶면 終에 來有他吉하리라.
【傳】誠信, 充實於內, 若物之盈滿於缶中也, 缶, 質素之器, 言若缶之盈實其中, 外不加文飾則終, 能來有他吉也, 他, 非此也,
外也, 若誠實, 充於內, 物无不信, 豈用飾外以求比乎, 誠信, 中實, 雖他外, 皆當感而來從, 孚信, 比之本也.
【本義】比之初, 貴乎有信, 則可以无咎矣, 若其充實, 則又有他吉也.
象曰 比之初六은 有他吉也니라.
【傳】言比之初六者, 比之道, 在乎始也, 始能有孚則終, 致有他之吉, 其始不誠, 終焉得吉, 上六之凶, 由无首也.
六二, 比之自內니 貞하야 吉토다.
【傳】二與五, 爲正應, 皆得中正, 以中正之道, 相比者也, 二處於內, 自內, 謂由己也, 擇才而用, 雖在乎上而以身許國, 必由於己,
己以得君, 道合而進, 乃得正而吉也, 以中正之道, 應上之求, 乃自內也, 不自失也, 汲汲以求比者, 非君子自重之道, 乃自失也.
【本義】柔順中正, 上應九五, 自內比外而得其貞, 吉之道也, 占者, 如是則正而吉矣.
象曰 比之自內는 不自失也라.
【傳】守己中正之道, 以待上之求, 乃不自失也, 易之爲戒, 嚴密, 二雖中正, 質素體順, 故有貞吉自失之戒, 戒之自守, 以待上之求,
无乃涉後凶乎, 曰士之修己, 乃求上之道, 降志辱身, 非自重之道也, 故伊尹武侯, 救天下之心, 非不切, 必待禮至然後, 出也.
【本義】得正則不自失矣.
六三, 比之匪人이라.
【傳】三不中正而所比, 皆不中正, 四, 陰柔而不中, 二, 存應而比初, 皆不中正, 匪人也, 比於匪人,
其失, 可知, 悔吝, 不假言也, 故可傷, 二之中正而謂之匪人, 隨時取義, 各不同也.
【本義】陰柔不中正, 承乘應, 皆陰, 所比, 皆非其人之象, 其占, 大凶, 不言可知.
象曰 比之匪人이 不亦傷乎아.
【傳】人之相比, 求安吉也, 乃比於匪人, 必將反得悔吝, 其亦可傷矣, 深戒失所比也.
六四, 外比之하니 貞하야 吉토다.
【傳】四與初, 不相應而五比之, 外比於五, 乃得貞正而吉也, 君臣相比, 正也, 相比, 相與宜也, 五, 剛陽中正, 賢也, 居尊位, 在上也, 親賢從上,
比之正也, 故爲貞吉, 以六居四, 亦爲得正之義, 又陰柔不中之人, 能比於剛明中正之賢, 乃得正而吉也, 又比賢從上, 必以正道則吉也, 數說相須, 其義, 始備.
【本義】以柔居柔, 外比九五, 爲得其正, 吉之道也, 占者, 如是則正而吉矣.
象曰 外比於賢은 以從上也라.
【傳】外比, 謂從五也, 五, 剛明中正之賢, 又居君位, 四, 比之, 是, 比賢, 且從上, 所以吉也.
九五, 顯比니 王用三驅에 失前禽하며 邑人不誡니 吉토다.
【傳】五居君位, 處中得正, 盡比道之善者也, 人君比天下之道, 當顯明其比道而已, 如誠意以待物, 恕己以及人, 發政施仁, 使天下, 蒙其惠澤, 是人君親比天下之道也, 如是, 天下, 孰不親比於上, 若乃暴其小人, 違道干譽, 欲以求下之比, 其道, 亦狹矣, 其能得天下之比乎, 故聖人, 以九五, 盡比道之正, 取三驅爲喩曰王用三驅失前禽邑人不誡吉,
先王, 以四時之畋, 不可廢也, 故推其仁心, 爲三驅之禮, 乃禮所謂天子不合圍也, 成湯祝綱, 是其義也, 天子之畋, 圍合其三面, 前開一路, 使之可去, 不忍盡物,
好生之仁也, 只取其不用命者, 不出而反入者也, 禽獸前去者, 皆免矣, 故曰失前禽也, 王者, 顯明其比道, 天下, 自然來比, 來者, 撫之, 固不呴呴, 然求比於物, 若田之三驅,
禽之去者, 從而不追, 來者則, 取之也, 此, 王道之大, 所以其民, 皥皥而莫知爲之者也, 邑人不誡吉, 言其至公不私, 无遠邇親疎之別也, 邑者, 居邑, 易中所言邑, 皆同,
王者所都, 諸侯國中也, 誡, 期約也, 待物之一, 不期誡於居邑, 如是則吉也, 聖人, 以大公无私, 治天下, 於顯比, 見之矣, 非唯人君比天下之道, 如此, 大率人之相比,
莫不然, 以臣於君, 言之, 竭其忠誠, 致其才力, 乃顯其比君之道也, 用之與否, 在君而已, 不可阿諛逢迎, 求其比己也, 在朋友, 亦然, 修身誠意以待之, 親己與否,
在人而已, 不可巧言令色, 曲從苟合, 以求人之比己也, 於鄕黨親戚, 於衆人, 莫不皆然, 三驅失前禽之義也.
【本義】一陽, 居尊, 剛健中正, 卦之祥陰, 皆來比己, 顯其比而无私, 如天子, 不合圍, 開一面之綱, 來者, 不拒, 去者,
不追, 故爲用三驅失前禽而邑人不誡之象, 蓋雖私屬, 亦喩上意, 不相驚備, 以求必得也, 凡此, 皆吉之道, 占者, 如是則吉也.
象曰 顯比之吉은 位正中也오.
【傳】顯比所以吉者, 以其所居之位, 得正中也, 處正中之地, 乃由正中之道也, 比以不偏, 爲善, 故云正中,
凡言正中者, 其處正得中也, 比與隨, 是也, 言中正者, 得中與正也, 訟與需, 是也.
舍逆取順이 失前禽也오.
【傳】禮, 取不用命者, 乃是舍順取逆也, 順命而去者, 皆免矣, 比, 以向背而言, 謂去者爲逆, 來者爲順也, 故所失者, 前去之禽也, 言來者, 撫之, 去者, 不追也.
邑人不誡는 上使 中也일새라.
【傳】不期誡於親近, 上之使下, 中平不偏, 遠近, 如一也.
【本義】由上之德, 使不偏也.
上六, 比之无首니 凶하니라.
【傳】六, 居上, 比之終也, 首, 謂始也, 凡此之道, 其始, 善則其終, 善矣, 有其始而无其終者, 或有矣, 未有无其始而有終者也, 故比之无首,
至終則凶也, 此, 據比終而言, 然, 上六, 陰柔不中, 處險之極, 固非克終者也, 始比, 不以道, 隙於終者, 天下, 多矣.
【本義】陰柔, 居上, 无以比下, 凶之道也, 故爲无首之象而其占則凶也.
象曰 比之无首 无所終也니라.
【傳】比旣无首, 何所終乎, 相比有首, 猶或終違, 始不以道, 終復何保, 故曰无所終也.
【本義】以上下之象, 言之則爲无首, 以終始之象, 言之則爲无終, 无首則无終矣.
比는 吉하나 原筮하되 元永貞이면 无咎니라. 不寧方來니 後夫는 凶하다.
비 길 원서 원영정 무구 불녕방래 후부 흉
比는 吉하나 다시 점을 처서 크고 길고 곧으면 허물이 없을 것 이다.
편안치 않아야 오니 늦는자는 凶하리라. 서로 친하고 돕는다는것
彖曰, 比吉也며 比輔也니 下順從也라. 原筮 元永貞无咎는 以剛中也오. 不寧方來는 上下應
단왈 비길야 비보야 하순종야 원서 원영정무구 이강중야 불영방래 상하응
也오. 後夫凶은 其道窮也라.
야 후부흉 기도궁야
단에 이르기를 比는 길이다. 比는 돕는것이니 아랫사람이 순종하는 것이다.
다시 점처서 크고 길고 곧으면 허물이 없다함은 剛中하기 때문이다.
편하지 않아야 온다함은 위와 아래가 응하기 때문이다. 늦는자는 흉하다함은 그도가 궁하기 때문이다.
象曰, 地上有水比니 先王以建萬國하고 親諸侯하니라.
상왈 지상유수비 선왕이건만국 친제후
상에 이르기를 땅위에 물이 있는 것이 比이다. 선왕은 이로써 만국을 세우고 백성을 친애했다.
강 - 땅위에 물이 있다고 하네요....어디 한번 그려봅시다!~~~
물과 흙이 만나네요...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물질이 만나서 섞이고 융화 되기를 바라는 괘상이라 볼수 있겠 져....
이 앞에 괘에서 보셨듯이 물과 흙을 섞으면 뭉치고 건조시키면 딱딱한 벽돌도 만들 수 있듯이 지금 그러한 상황이 시작 되는거라 보시면 이해가 빠를듯 하네요
初六 有孚比之라야 无咎리니 有孚盈缶면 終來有他吉하리라.
유부비지 무구 유부영부 종래유타길
믿음(성실)을 가지고 친해야만 허물이 없을 것이다. 성실하되 물이 항아리에 차듯이 하면 마침내 다른 길함이 있을 것이다.
강 - 물은 서서히 스며드니까 땅의 바닥까지 오려면 기다려야 하겠져...기회가 오니 무조건 기다려라라고 풀이해주시면 정답입니다!~~~ㅎㅎ
六二 比之自內니 貞하면 吉하리라.
비지자내 정 길
친하는 것은 마음 속부터 해야한다. 곧으면 吉하리라.
강 - 친하다고 볼수도 있지만 도움이라 해석하시면 더 풀이가 쉬울수도 있겠네요......
2효 면 흙에 중간인데.....아직 물이 여기까지는 도착 못했나보네요.....아직 본격적인 運 이 시작 안됐다 보시면 되겠네요....
六三 比之匪人이로다.
비지비인
친하려 해도 사람이 아니다.
강 - 갑자기 이게 먼말인가 하시겠는데.......다른 말로는 도우려 해도 사람이 아니다라고 보셔두 돼고요...
흙위에 물을 부어 놓은 상태를 상상해보세요....엄청 혼탁함이 상상 되시나요????
흙 본연이 성질을 버리고 물속에 부유물, 또는 자신을 잃고 물을 따라 다 니는 먼지라고나 할까....
하여간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경계하는거라 볼수 있습니 다....吉凶으로 말하면 大凶이져.....
3효의 위치상으로도 보시면 4,5,상효는 물인데 큰 물가에 흙을 상상해보시면 휩쓸리는 흙의 모습이 그려지시나요???..
네 그상태를 상 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듯 하네요.
六四 外比之니 貞하면 吉하다.
외비지 정 길
밖에서 친하려 한다. 곧으면 吉하리라.
강 - 여기서 부터는 坎괘 물이네요...물가니 나는 물인데..흙이 가까이 있으니 나에게 흙이 달라붙는다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듯해요....
나(물)은 흘러갈뿐인데....흙이 자꾸 쓸려 나가니 흙이야 어찌하던간에 본연의 할 일만 하면 된다라 보시면 되겠져.....
나에게 부탁이 들어온다...나와 친하게 지내려는 사람이 있다...이렇게 보시면 되고요....
九五 顯比니 王用三驅에 失前禽하여 邑人不誡이면 吉하리라.
현비 왕용삼구 실전금 읍인불성 길
친함을 나타낸다.
왕이 사냥할 때 삼면에서 몰아 거꾸로 자기 한테 오는 짐승은 쏘지 않고 살려주며 반대로 달아나는 짐승은 쏘는 것과 같이 고을 사람도 경계 하지 않는 다. 吉하리라.
강 - 현재 주도권을 坎괘가 쥐고 있는 상황이라 볼 수 있져??
항복하면 살려주구 도망가면 사망에 이르게하라는 말을 묘~~하게 이렇게 글로 썼네요.....무혈입성...이라고 보셔 두 무방하겠네요..
上六 比之无首면 凶하리라.
비지무수 흉
친하려 해도 머리가 없다. 흉하다.
강 - 운이 다 갔다라고 보시면 되고요....막차 떠난 상황이라 보셔두 되고요...기회가 간거 져...
* 이괘는 主從이 분리되어 점을 칠때 어떠한 효가 걸렸는지에 따라서 나를 낮추고 기다려야 하는지
아니면 적극적으로 흡수, 합병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괘라 볼 수 있습니다.
10.天澤履(천택리) (0) | 2015.05.14 |
---|---|
9.風天小畜(풍천소축) (0) | 2015.05.14 |
7.地水師(지수사) (0) | 2015.05.14 |
6.天水訟(천수송) (0) | 2015.05.14 |
5.水天需(수천수) (0) | 2015.05.14 |
7. 地水師(지수사)
師貞(사정) : 사는 바르게 함이니,
丈人吉無咎(장인길무구) : 장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師眾也(사중야) : 사는 무리를 말함이요
貞正也(정정야) : 정은 정의이니
能以眾正(능이중정) : 능히 무리를 바르게 하면
可以王矣(가이왕의) : 왕이 될 수 있으리라.
剛中而應(강중이응) : 양강이 중정의 도를 지키면서 응하고
行險而順(행험이순) : 험한 일을 행하여도 순조로우니
以此毒天下(이차독천하) : 이로써 천하를 괴롭혀도
而民從之(이민종지) : 백성이 따르니
吉又何咎矣(길우하구의) : 길하니 또 무슨 허물이리요.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地中有水師(지중유수사) : 대지 가운데 물이 있으니 사(師)의 형상이다
君子以容民畜眾(군자이용민축중) : 군자가 이로써 백성을 포용하고 민중을 길러야 한다.
初六(초육) : 초육은
師出以律(사출이률) : 군사가 아나가는데 율령으로써 함이니,
否臧凶(부장흉) : 그렇지 아니하면 착하더라도 흉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師出以律(사출이률) : 군사가 출장함에 기율이 있어야 하니
失律凶也(실률흉야) : 율령을 잃으면 흉하리라.
九二(구이) : 구이는
在師中(재사중) : 군에 있어서 중도를 지켜야
吉無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을 것이니
王三錫命(왕삼석명) : 왕이 세 번 포상의 명을 내릴 것이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在師中吉(재사중길) : 군에 있어 중도를 지켜 길함은
承天寵也(승천총야) : 하늘의 은총을 이음이요,
王三錫命(왕삼석명) : 왕이 세 번 포상의 명을 내림은
懷萬邦也(회만방야) : 만방을 품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師或輿尸凶(사혹여시흉) : 군사가 시체를 수레에 싣고 돌아오니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師或輿尸(사혹여시) : 군사가 시체를 수레에 싣고 돌아오니
大無功也(대무공야) : 크게 공이 없으리라.
六四(륙사) : 육사는
師左次無咎(사좌차무구) : 군사가 진영으로 물러나는 것이니, 허물이 없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左次無咎未失常也(좌차무구미실상야) : '좌차무구'는 떳떳함을 잃음이 아니라.
六五(육오) : 육오는
田有禽(전유금) : 밭에 새가 있거든,
利執言(리집언) : 말을 받드는 것이 이로우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長子帥師(장자수사) : 장자가 군사를 거느리나
弟子輿尸(제자여시) : 제자가 시체를 수레에 실으리라
貞凶(정흉) : 바르게 하더라도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長子帥師(장자수사) : '장장솔사'는
以中行也(이중행야) : 중으로써 행해야 하며
弟子輿尸(제자여시) : '제자여시'는
使不當也(사불당야) : 부림이 마땅치 않게 부림이라.
上六(상륙) : 상육은
大君有命(대군유명) : 대군이 명령을 내려
開國承家(개국승가) : 나라를 열고, 가문을 잇는데
小人勿用(소인물용) : 소인을 쓰지 말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君有命(대군유명) : '대군유명'은
以正功也(이정공야) : 공을 바르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小人勿用(소인물용) : '소인물용'은
必亂邦也(필란방야) :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히기 때문이라
【傳】師, 序卦, 訟必有衆起, 故受之以師, 師之興, 由有爭也, 所以次訟也, 爲卦, 坤上坎下, 以二體言之,
地中有水, 爲衆聚之象, 以二卦之義言之, 內險外順, 險道而以順, 行師之義也, 以爻言之, 一陽而爲衆陰之主, 統衆之象也,
比以一陽, 爲衆陰之主而在上, 君之象也, 師以一陽, 爲衆陰之主而在下, 將帥之象也.
師, 貞이니 丈人이라아 吉코 无咎하리라.
【傳】師之道, 以正爲本, 興師動衆, 以毒天下而不以正, 民弗從也, 强驅之耳, 故師, 以貞爲主, 其動, 雖正也,
帥之者, 必丈人, 則吉而无咎也, 蓋有吉而有咎者, 有无咎而不吉者, 吉且无咎, 乃盡善也, 丈人者, 尊嚴之稱,
帥師總衆, 非衆所尊信畏服則安能得人心之從, 故司馬禳苴, 擢自微賤, 授之以衆, 乃以衆心未服, 請莊賈爲將也,
所謂丈人, 不必素居崇貴, 但其才謀德業, 衆所畏服則是也, 如穰苴, 旣誅莊賈則衆心, 畏服, 乃丈人矣, 又如淮陰侯, 起於微賤, 遂爲大將, 蓋其謀爲, 有以使人尊畏也.
【本義】師, 兵衆也, 下坎上坤, 坎險坤順, 古者, 寓兵於農, 伏至險於大順, 藏不測於至靜之中, 又卦惟九二一陽, 居下卦之中, 爲將之象,
上下五陰, 順而從之, 爲衆之象, 九二, 以剛居下而用事, 六五, 以柔居上而任之, 爲人君命將出師之象, 故其卦之名, 曰師, 丈人, 長老之稱,
用師之道, 利於得正而任老成之人, 乃得吉而无咎, 戒占者, 亦必如是也.
彖曰 師는 衆也오. 貞은 正也니 能以衆正하면 可以王矣리라.
【傳】能使衆人, 皆正, 可以王天下矣, 得衆心服從而歸正, 王道, 止於是也.
【本義】此, 以卦體, 釋師貞之義, 以, 謂能左右之也, 一陽, 在下之中而五陰, 皆爲所以也, 能以衆正則王者之師矣.
剛中而應하고 行險而順하니
【傳】言二也, 以剛處中, 剛而得中道也, 六五之君, 爲正應, 信任之專也, 雖行險道而以順動, 所謂義兵, 王者之師也, 上順下險, 行險而順也.
以此毒天下而民이 從之하니 吉코 又何咎矣리오.
【傳】師旅之興, 不无傷財害人, 毒害天下, 然而民心, 從之者, 以其義動也, 古者, 東征西怨, 民心, 從也, 如是, 故吉而无咎,
吉, 謂必克, 无咎, 謂合義, 又何咎矣, 其義, 故无咎也.
【本義】又以卦體卦德, 釋丈人吉无咎之義, 剛中, 謂九二, 應, 謂六五, 應之, 行險, 謂行危道,
順謂順人心, 此非有老成之德者, 不能也, 毒, 害也, 師旅之興, 不无害於天下, 然, 以其有是才德, 是以, 民悅而從之也.
象曰 地中有水 師니 君子 以하야 容民畜衆하나니라.
【傳】地中有水, 水聚於地中, 爲衆聚之象, 故爲師也, 君子, 觀地中有水之象, 以容保其民, 畜聚其衆也.
【本義】水不外於地, 兵不外於民, 故能養民則可以得衆矣.
初六, 師出以律이니 否면 臧이라도 凶하니라.
【傳】初, 師之始也, 故言出師之義, 及行師之道, 在邦國興師而言, 合義理, 則是以律法也, 謂以禁亂誅暴而動,
苟動不以義, 則雖善, 亦凶道也, 善, 謂克勝, 凶, 謂殃民害義也, 在行師而言, 律, 謂號令節制, 行師之道,
以號令節制, 爲本, 所以統制於衆, 不以律, 則雖善, 亦凶, 雖使勝捷, 猶凶道也, 制師无法, 幸而不敗, 且勝者, 時有之矣, 聖人之所戒也.
【本義】律, 法也, 否臧, 謂不善也, 鼂氏曰否字, 先儒, 多作不, 是也, 在卦之初, 爲師之始, 出師之道, 當謹其始, 以律則吉, 不臧則凶, 戒占者, 當謹始而守法也.
象曰 師出以律이니 失律하면 凶也리라.
【傳】師出, 當以律, 失律則凶矣, 雖幸而勝, 亦凶道矣.
九二, 在師하야 中할새 吉코 无咎하니 王三錫命이로다.
【傳】師卦, 唯九二一陽, 爲衆陰所歸, 五居君位, 是其正應, 二乃師之主, 專制其事者也, 居下而專制其事, 唯在師則可,
自古命將, 閫外之事, 得專制之, 在師, 專制而得中道, 故吉而无咎, 蓋恃專則失爲下之道, 不專則无成功之理, 故得中, 爲吉,
凡師之道, 威和, 竝至則吉也, 旣處之盡其善則能成功而安天下, 故王錫寵命, 至于三也, 凡事, 至于三者, 極也, 六五, 在上, 旣專倚任,
復厚其寵數, 蓋禮不稱則威不重而下不信也, 他卦, 九二, 爲六五所任者, 有矣, 唯師, 專主其事而爲衆陰所歸, 故其義, 最大,
人臣之道, 於事, 无所敢專, 唯閫外之事則專制之, 雖制之在己, 然, 因師之力而能致者, 皆君所與而職當爲也, 世儒, 有論魯祀周公以天子禮樂,
以爲周公, 能爲人臣不能爲之功則可用人臣不得用之禮樂, 是, 不知人臣之道, 夫居周公之位則爲周公之事, 由其位而能爲者, 皆所當爲也, 周公,
乃盡其職耳, 子道, 亦然, 唯孟子, 爲知此義, 故曰事親, 若曾子者, 可也, 未嘗以曾子之孝, 爲有餘也, 蓋子之身, 所能爲者, 皆所當爲也.
{本義} 九二在下 爲衆陰所歸 而有剛中之德 上應於五 而爲所寵任 故其象占如此.
象曰 在師中吉은 承天寵也오. 王三錫命은 懷萬邦也라.
【傳】在師中吉者, 以其承天之寵任也, 天, 謂王也, 人臣, 非君, 寵任之則安得專征之權而有成功之吉,
象, 以二專主其事, 故發此義, 與前所云世儒之見, 異矣, 王三錫以恩命, 褒其成功, 所以懷萬邦也.
六三, 師或輿尸면 凶하리라.
【傳】三居下卦之上, 居位當任者也, 不唯其才陰柔不中正, 師旅之事, 任當專一, 二旣以剛中之才,
爲上信倚, 必專其事, 乃有成功, 若或更使衆人, 主之, 凶之道也, 輿尸, 衆主也, 蓋指三也, 以三, 居下之上, 故發此義, 軍旅之事, 任不專一, 覆敗必矣.
【本義】輿尸, 謂師徒, 撓敗, 輿尸而歸也, 以陰居陽, 才弱志剛, 不中不正而犯非其分, 故其象占, 如此.
象曰 師或輿尸면 大无功也리라.
【傳】倚付二三, 安能成功, 豈唯无功, 所以致凶也.
六四, 師左次니 无咎로다.
【傳】師之進, 以强勇也, 四以柔居陰, 非能進而克捷者也, 知不能進而退, 故左次, 左次, 退舍也, 量宜進退,
乃所當也, 故无咎, 見可而進, 知難而退, 師之常也, 唯取其退之得宜, 不論其才之能否也, 度不能勝而完師以退,
愈於覆敗, 遠矣, 可進而退, 乃爲咎也, 易之發此義, 以示後世, 其仁, 深矣.
【本義】左次, 謂退舍也, 陰柔不中而居陰得正, 故其象, 如此, 全師以退, 賢於六三, 遠矣, 故其占, 如此.
象曰 左次无咎는 未失常也라.
【傳】行師之道, 因時施宜, 乃其常也, 故左次, 未必爲失也, 如四, 退次, 乃得其宜, 是以无咎.
【本義】知難而退, 師之常也.
六五, 田有禽이어든 利執言하니 无咎리라 長子 帥師니 弟子 輿尸하면 貞이라도 凶하리라.
【傳】五, 君位, 興師之主也, 故言興師任將之道, 師之興, 必以蠻夷猾夏, 寇賊姦宄, 爲生民之害, 不可懷來然後, 奉辭以誅之,
若禽獸, 入于田中, 侵害稼穡, 於義宜獵取則獵取之, 如此而動, 乃得无咎, 若輕動以毒天下, 其咎, 大矣, 執言, 奉辭之道,
明其罪而討之也, 若秦皇漢武, 皆窮山林以索禽獸者也, 非田有禽也, 任將授師之道, 當以長子帥師, 二在下而爲師之主,
長子也, 若以弟子, 衆主之則所爲, 雖正, 亦凶也, 弟子, 凡非長者也, 自古, 任將, 不專而致覆敗者, 如晋荀林父邲之戰, 唐郭子儀相州之敗, 是也.
【本義】六五, 用師之主, 柔順而中, 不爲兵端者也, 敵加於己, 不得已而應之, 故爲田有禽之象而其占, 利以搏執而无咎也,
言, 語辭也, 長子, 九二也, 弟子, 三四也, 又戒占者, 專於委任, 若使君子, 任事而又使小人, 參之則是, 使之輿尸而歸, 故雖貞而亦不免於凶也.
象曰 長子帥師는 以中行也오 弟子輿尸는 使不當也라.
【傳】長子, 謂二以中正之德, 合於上而受任以行, 若復使其餘者, 衆尸其事, 是, 任使之不當也, 其凶, 宜矣.
上六, 大君이 有命이니 開國承家에 小人勿用이니라.
【傳】上, 師之終也, 功之成也, 大君, 以爵命, 賞有功也, 開國, 封之爲諸侯也, 承家, 以爲卿大夫也, 承, 受也, 小人者, 雖有功,
不可用也, 故戒使勿用, 師旅之興, 成功非一道, 不必皆君子也, 故戒以小人, 有功, 不可用也, 賞之以金帛祿位, 可也, 不可使有國家而爲政也,
小人, 平時, 易致驕盈, 況挾其功乎, 漢之英彭, 所以亡也, 聖人之深慮遠戒也, 此, 專言師終之義, 不取爻義, 蓋以其大者, 若以爻言則六以柔,
居順之極, 師旣終而在无位之地, 善處而无咎者也.
【本義】師之終, 順之極, 論功行賞之時也, 坤爲土, 故有開國承家之象, 然, 小人則雖有功, 亦不可使之得有爵土, 但優以金帛,
可也, 戒行賞之人, 於小人則不可用此占而小人遇之, 亦不得用此爻也.
象曰 大君有命은 以正功也오 小人勿用은 必亂邦也일새라.
【傳】大君, 持恩賞之柄, 以正軍旅之功, 師之終也, 雖賞其功, 小人則不可以有功而任用之, 用之, 必亂邦, 小人, 恃功而亂邦者, 古有之矣.
【本義】聖人之戒, 深矣.
師 : 무리, 군대의 무리(衆也) 容民畜衆 : 백성을포용하고 무리를 기른다.
내괘인 坎의 가운데 양효가 나머지 다섯 음효를 통솔(장군)하는 형상.
함께뛰는자리(위엄이있다)
水地比의 九五는 임금(王)에 해당하여 위에 군림하는 왕의자리.
坤爲地괘가 64괘 가운데 쪽수가 가장 많음에도 불구하고 군대를 의미하지 못하는 것은 장수에 해당하는 효가 없기 때문이다.
地 :순응한다 水 :험난하다 = 험난함을 헤쳐감에 순리를 따른다.
※군대 : 夫佳兵者 不祥之器(부가병자 불상지기) <老子>
좋은 군대는 상서롭지 못하는 기구 이다, But 전쟁은 정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師. 貞, 丈人吉, 无咎. 丈 : 어른 장 无咎(없을 무,허물 구) :허물이 없다
사, 정, 장인길, 무구
사는 곧아야 한다. 어른이면 길하고 허물이 없다.
내괘인 坎의 가운데 양효가 나머지 다섯 음효를 통솔(장군)하는 형상, 함께뛰는자리(위엄이있다)
水地比의 六五는 임금(王)에 해당하여 위에 군림하는 왕의자리.
<彖曰> 師, 衆也. 貞, 正也. 能以衆正, 可以王矣. 剛中而應, 行險而順,
사, 중야, 정, 정야, 능이중정, 가이왕의. 강중이응, 행험이순
以此毒天下,而民從之. 吉, 又何咎矣. 此 :이를 차 毒 :독 독
이차독천하,이민종지 ,길, 우하구의 又 :또 우 何 :어찌 하
군사는 대중이다. 곧은것은 바른것이다.대중을 바르게 할수 있으면 이로써 王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강중으로 응하고 험을 행하되 순으로 하니 이로서, (군대는)천하에 해독을 끼치나 백성이 따르니 길하다(대의명문,정의가 뚜렷한전쟁)
<象曰> 地中有水, 師. 君子以容民畜衆. 容 : 얼굴 용(꾸미다)
지중유수, 사, 군자이용민축중
땅속에 물이 있는것이 師이다, 군자는 이를 보고 백성을 포용하며 무리를 기른다.
※ 以不敎民戰 是謂棄之 (이불교민전 시위기지)
가르치지 않은 백성으로 전쟁을 하는것을 백성을 버리는 것이다
(평소 백성을 교육하고 길러야 한다, 화합도 중요하다)
初六, 師出以律, 否臧凶. 律 :법 률 否 :아닐 부 臧 :착할 장 凶 :흉할 흉
사출이율 부장흉
군사를 출동시킴에 규율로 하는것이니, 이를 잘하지 않으면 흉하다.
군율(규율)로 기강을 세워야한다. 律은 위에서부터 세우고 예외는 절대 없어야한다
<象曰> 師出以律, 失律凶也.
사출이률, 실률흉야
군대를 출동시킴에는 규율로 하는것이니 규율을 잃으면 흉하다.
九二, 在師中, 吉, 无咎. 王三錫命. 錫 주석,주다 석
재사중, 길, 무구, 왕삼석명
군사의 가운데 있어서 길하고 허물이 없다, 왕이 총애하는 명령을 세번이나 내린다.
다섯음을 밑에서 거느린 출전하는 장수(팀장:함께뛰는자리)로 5효(왕)의 신임(應)을 절대적으로 받는다
점치는 위치 : 장수(九二) : 신임을 받아야 할 자리
왕 (九五) : 신임을 주어야 할 자리
<象曰> 在師中吉, 承天寵也. 王三錫命, 懷萬邦也. 寵 :괼,총애 총 懷 :품을 회
재사중길, 승천총야, 왕삼석명, 회만방야
군사들 가운데 있어 길하다 함은 왕의 총애를 받기 때문이다.
왕이 세번이나 총애하는 명령을 내린다 하는것은 만방을 회유하는것이다.
(장수를 아끼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六三, 師或輿尸, 凶 師 ①스승 사 ②군사 사 輿 :수레 여 尸 :주검 시
사혹여시, 흉
군사가 수레에 시체를 싣고 돌아올수도 있으니 흉하다.(敗戰)
어떤일을 벌여서는 안되고, 추진해서도 안된다.
이혼문제라면 이혼해서는 안되는 괘(불리해지고, 이혼만 당하고 말 괘)
※ 정이천 : 輿尸, 衆主也 : 여러사람이 주장하는것이다 (사공이많으면 배가 산으로간다)
<象曰> 師或輿尸, 大无功也.
사혹여시, 대무공야
군사가 시체를 수레에 싣고 올수도 있으니 전혀 공이 없는 것이다.
六四, 師左次, 无咎. 左次(좌차): 후퇴
사좌차, 무구
군사가 후퇴하여 머무니(전쟁에서 물러설 수 도 있다) 허물은 없다. (물러섬의 중요성)
陰의 자리이고,힘을 쓸수 없는 자리,왕밑에서 위태로운 자리 →左次(후퇴,물러서다)
※ 左(陽, 높다) : 男左女右 (좌의정-우의정) : 후퇴
右(陰, 낮다)...................군대는 상서롭지않은 곳이라서 右가 높다 : 전진
※ 수양재가 고구려 침입할때 얻은괘 : 결국 수나라는 망함
※ 이혼문제라면 물러서야한다(차분히 다시생각해보고 나중에 정상적인상태에서 다시 결정)
<象曰> 左次无咎, 未失常也.
좌차무구, 미실상야
군대가 후퇴(左次)하여 머무니 허물이 없다는 것은 떳떳함을 잃은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六五, 田有禽, 利執言, 无咎. 長子帥師, 弟子輿尸, 貞凶 帥 :거느릴 솔
전유금, 이집언, 무구, 장자솔사 , 제자여시, 정흉 執 :잡을 집
밭에 (농작물을 헤치는)짐승이 있는 상이니, 대의명분을 받들어 토벌함이 이롭고 허물은 없다.
큰아들이 군대를 거느리는데, 여러아들들이 시체를 수레에 싣고 돌아오게 된다면 그 일은 흉하다.
※ 田 :밭 (민생) 禽 : 농작물을 해치는 짐승 田有禽 : 민생을 해치는 상황
※ 執言 : 대의명분을 분명히 한다 →백성의 동의를 얻음
※ 長子帥師 : 통수권을 전일하게 신임을주어 맡겨야 하는데,
弟子輿尸 : 여러 아들들이 전쟁에 끼어들어, 지는 상황
※ 군대를 부리는자의 위치 : 대의명분을 분명히하고 백성의 동의를 얻고 전일하게 지휘자를 신임
해야한다.
<象曰> 長子帥師, 以中行也. 弟子輿尸, 使不當也.
장자솔사, 이중행야, 제자여시, 사부당야
장자가 군사를 통솔한다함은 中으로써 행하는 것이고, 제자가 수레이 시체를 싣고 돌
아온다함은 마땅하지 않은데 시킨 것 이다.(시키는것이 합당치 않았다)
上六, 大君有命, 開國承家, 小人勿用 承 : 이을 승
대군유명, 개국승가, 소인물용
대군이 명을 내려 제후를 봉하고 경대부를 삼는 것이다. 소인은 쓰지마라.
※ 전쟁의 끝단계, 군대의 해산단계 ▷논공행상의 원칙이 중요한때
開國 : 제후를 봉하는것 承家 : 경대부를 삼는것 王 > 諸侯 > 卿 > 大夫 > 士
小人 : 잠시 이득이될지 몰라도 지속적인관계는 나쁜 영향이 되는 사람
(금전적으로 포상하고, 지위를 높여서는 안된다)
<象曰> 大君有命, 以正功也. 小人勿用, 必亂邦也. 邦 :나라 방 亂 :어지러울 란
대군의 명령이 있다함은 공을 바르게 하기 때문이고, 소인을 쓰지 말라 함은 반드시 나라
를 어지럽게 한다는 것이다.(소인이 功을 믿으면 나라가 어지러운 것이다).
9.風天小畜(풍천소축) (0) | 2015.05.14 |
---|---|
8.水地比(수지비) (0) | 2015.05.14 |
6.天水訟(천수송) (0) | 2015.05.14 |
5.水天需(수천수) (0) | 2015.05.14 |
4.山水蒙(산수몽) (0) | 201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