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3 Music을 가사와 함께 제공(돌비 깨끗한 음악을 감상하세요)
'좋은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男子의 人生 - 나훈아 (가사첨부) (0) | 2017.12.20 |
---|---|
트로트 애창 가요 모음 720HD (가사첨부) (0) | 2017.12.14 |
류원정-心志(심지) (0) | 2017.10.03 |
유지나-無小有(무소유) (0) | 2017.09.27 |
진달래-깊은정 (0) | 2017.09.24 |
MP3 Music을 가사와 함께 제공(돌비 깨끗한 음악을 감상하세요)
男子의 人生 - 나훈아 (가사첨부) (0) | 2017.12.20 |
---|---|
트로트 애창 가요 모음 720HD (가사첨부) (0) | 2017.12.14 |
류원정-心志(심지) (0) | 2017.10.03 |
유지나-無小有(무소유) (0) | 2017.09.27 |
진달래-깊은정 (0) | 2017.09.24 |
한국의 <교수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 - 군주민수,역천자망,로적성해 (0) | 2016.12.31 |
---|---|
2017 새해 인사 (0) | 2016.12.25 |
환인[桓因]과 환웅(桓雄)이야기 (0) | 2016.08.24 |
백두산의 사계와 아름다운 야생화 (0) | 2016.05.20 |
대한민국 국기 태극기 알아보기 (0) | 2016.02.29 |
2014년 6월6일~6월8일 남도여행
6월6일 부터 6월8일까지 2박3일 동안 초딩 동창들과 이순 환갑 기념 여행을 다녀 왔다.
모든 기획은 나 혼자서 4월16일 세월호 사건이 일어나는날 나는 청산도 팬션을 예약 했다.
그리고 스타랙스 12인승 승합차를 예약하고 강진 성전 월암리 월출산 아래에 팬션을 예약 했다.
14명이서 2박3일 동안 약 300만원정도의 최소경비로 여행을 즐겼다.
강진 병영 동초등학교 19회 졸업생들
서울 경기에 친구들 김민곤,김장수,이덕현,최석지,김옥희,김삼숙,송향숙,서용숙,한은섭
전라도 친구들 임근도,박영실,이점심,박애순,정영란
6월6일 아침 7시쯤 서울을 출발 강진에 도착 강진에서 점심을 먹고 완도 여객선 터미널로 이동
완도 여객선 터미널에서 청산도 들어가는 배, 사람은 5시배 차는 5시반배로 청산도 도착
청산도에 도착해서 내가 예약한 팬션을 찿아갔다.
완도군 청산면 당락리 820번지 그린 한옥 팬션
그런데 이분들 이중 계약을 했다.
난 세월호 사건이 나던날 4월16일 예약을 했는데 이분들 전화 통화로 입금 확인까지 해놓고
까마득히 잊어먹은건지 돈을 더 많이 받고 이중계약을 한건지...
난 돈을 완불을 했으니까 중간에 확인도 안하고 그냥 찿아간건데 다른 분들이 들어와 있었다.
청산도 그린한옥팬션 주인님 그날 참 우릴 만난걸 행운 아니 다행인줄아세요.
우리는 그린팬션 주인님의 알선으로 다른팬션으로 옴겨 숙박을 하고
다음날 청산도 범바위와 서편제 영화 촬영지를 돌아보고 청산도에서 1시배를 타고 완도로 나왔다.
우리는 강진에 어느 기사식당에서 늦은 점심을 간단히 먹고 이틀밤 숙박지로 이동을 했다.
이동하면서 농협에 들러 시장도 보고 숫불에 궈먹을 고기도 사서 월출산 허브농원 팬션으로 이동했다.
그곳에서 고기도 궈먹고 재밋게 놀다가 숙박을 하고 다음날 아침 일찍 일어나 식전에 월출산을 올랐다.
은섭 덕현 석지 세명이서 식전 댓바람에 월출산 바람재를 거쳐 남근바위와 천왕봉 구정봉을 댕겨왔다.
그리고 팬션에서 아침을 먹고 잠시 쉬었다가 강진읍에 미향이라는 한정식집으로 이동
1인당 25,000원 하는 한정식을 배 터져라 맛나게 먹고 전라도 친구들과 해어져 다음 기약을 하며
우리는 상경길을 재촉해야만 했다.
연휴기간동안이라 차가 막힐것을 예상하고 빨리 서둘렀다.
8일 저녁 8시까지 랜트카를 반납하기로 약속이 되 있어서 서둘러야만 했다.
우리는 무사히 2박3일 동안 줄건 여행을 했고 정확한 시간에 랜트카도 반납할수 있었다.
서로서로 협조해서 줄건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협조 해준 친구님들께 감사를 드리며
이런 여행을 세번째 추진해온 나지만 막상 마치고 나면 후회가 되는건 왜일까요.
다음 기회가 주어진다면 더 알차고 재밋는 여행이 되도록 애 써 볼랍니다.
함께 해 준 친구님들 고맙고 사랑합니다.
여러분의 친구 한은섭 올림.
2015.1.1.향일암 금오산 봉황산 종주 (0) | 2015.01.01 |
---|---|
2014.12.21.덕유산 설경 산행 (0) | 2014.12.26 |
지리산 둘레길 전체 지도 및 코스별 지도 안내 (0) | 2014.04.04 |
다시찿은 민주지산 물한계곡 (0) | 2013.06.25 |
한라산 윗세오름 다녀온 이야기 (0) | 2013.06.04 |
강진 병영(康津 兵營)
조선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근무하는 주진(主鎭).
조선시대 충청도지도의 해미현 부분
정식 명칭은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으로 휘하의 거진(巨鎭)과 제진(諸鎭)을 통할했다.
고려 말엽의 도순문사영(都巡問使營)에서 비롯되었으며,
병마절도사의 전신(前身)인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가
조선 건국 직전에 설치된 이래로 그 근무지를 병영이라 불렀다.
병영은 각 도 국방의 요충지에 위치한 큰 고을에 설치되었고,
요새화된 성곽 안에 병마절도사의 하부 기구가 갖추어져 있었다.
전임직(專任職)으로서 임명되는 병마절도사의 주둔지에만 병영을 설치했으며,
전임직 병마절도사가 없는 도는 겸병마절도사인 관찰사의 감영(監營) 소재지에
병영기구를 설치하여 주진으로 기능하도록 했다.
한편 도내에 전임직 병마절도사가 2명이 임명되는 함경도·경상도에는 각각 2개의 병영이 설치되었다.
각 도의 병영 소재지는 시기에 따라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대체로 조선 전기에 충청도는 해미(海美),
전라도는 강진(康津), 경상도는 울산(蔚山:좌병영)·창원(昌原:우병영), 평안도는 영변(寧邊),
함경도는 경성(鏡城:북병영)·북청(北靑:남병영)이었으며,
조선 후기에 충청도는 충주(忠州), 경상도는 진주(晋州), 황해도는 황주(黃州), 평안도는 안주(安州)였다.
병영에는 병마절도사 이외에도 그의 참모격인 우후(虞候)와 평사(評事),
각급 군관(軍官)과 진무(鎭撫) 등 장교층이 근무했고,
수백 명의 직속 군사력이 배치되었으며, 영리(營吏)를 비롯한 아전(衙前)·
공장(工匠)·노비 등도 수백 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같이 방대한 기구를 통해 병영이 각도 육군 사령부로서 도내 군사를 지휘하고 군사 행정을 총괄한 까닭에
그 재정을 유지하는 방편으로 다량의 둔전(屯田)이 경영되었는데,
특히 조선 후기에는 막대한 환곡(還穀)이 소속되어 운영됨으로써 커다란 폐단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밖에 평안도·함경도에는 국방상의 필요에 의해 병마절도사가 병력을 이끌고 적침이 우려되는 시기에
최전방에 나가 주둔하는 이동 사령부로서 행영(行營)이 설치·운영되었다.
백제 시대에는 도무군의 도강과 동음현의 탐진이 영합된 지역으로
도강의 “강”자와 탐진의 “진”자를 합하여 강진이라 불렀다.
도강현은 백제시대에는 도무군, 신라 경덕왕 때에는 도무군이 양무군으로, 동음현은 탐진현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 때 도강군으로 개칭함과 동시에 탐진현 지역 일부가 영암군과 장흥부에 속했다.
명종 2년(1172년) 이곳에 감무를 두어 행정과 병사를 병무하게 하였고,
조선 태종 17년(1417년) 도강현 지역의 일부인 현 병영면 지역에
전라도 병영(병마도절제사의 영)을 신설함과 동시에 도강현 일부와 탐진현을 합하여 강진현이라 하였다.
그 치소를 도강의 치소이던 송계로 옮겼으나 조선 성종 6년(1475년)에 다시 탐진의 치소(현 강진읍)로 복귀하였다.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강진군으로 개편하였다. [1]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강진군으로 개편하였다. [2]
1914년 4월 1일 백도면(현 신전면과 해남군 북일면의 일부)의
월성·향리·만수·좌일·금당·내봉·속리·중산·방책·남촌 등 10개 리를
해남군 부평면에 이속시키는 동시에 완도군 관할이던 가우도를 본군 도암면에 영속시켰다. [3]
1931년 4월 1일 고군면을 병영면으로 개칭하였다.[4]
1937년 7월 1일 강진면을 강진읍으로 승격하였다.[5]
1973년 7월 1일 도암면 남부의 7개 리를 분할하여 신전출장소를 설치하였고, 도암면 영파리를 강진읍에 편입하였다.
1974년 10월 26일 도암면 신전출장소를 군 출장소로 승격시켰다.
1980년 1월 1일 강진읍 송전리를 2개 마을에서 3개 마을(송정·장전·화전)로 분리하였다.
1982년 5월 10일 대구면 남부의 5개 리를 분할하여 마량출장소를 개소하였다.
1983년 2월 15일 신전출장소를 신전면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 4월 1일 마량출장소를 마량면으로 승격하였다.
1990년 8월 1일 해남군 옥천면 봉황리를 도암면으로 편입하였다.
강진의 문화 유적지로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9, 사적 3, 천연기념물 5)와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0, 무형문화재 3, 기념물 10, 민속자료 2) 및 문화재자료 3점, 등록문화재 1점이 있다.
칠량면 송정리의 지석묘군(전라남도 기념물 제66호)을 비롯하여,
대구면 수동리, 도암면 지석리, 성전면 월남리·월하리 일대에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으며,
성전면 성전리에서는 마제석검이 출토되었다.
만호성지와 신라시대 군마 방목장으로 이용한 연해산성지(沿海山城址)가 마량면 마량리에 있으며,
대구면에 구수리성지, 병영면에 병영성지가 있다.
불교유적으로 성전면 월하리의 무위사극락전(국보 제13호)·
선각대사편광탑비(先覺大師偏光塔碑 : 보물 제507호),
월남리 월남사지 내의 모전석탑(模塼石塔 : 보물 제298호)·석비(보물 제313호),
도암면 만덕리 백련사 내의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군동면 파산리의 금곡사5층석탑(金谷寺五層石塔 : 보물 제829호),
대구면 용문리의 정수사대웅전(淨水寺大雄殿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이 있다.
사찰로는 무위사·백련사·금곡사·화방사·정수사·고성사·석문사가 있다.
유교문화재로 강진향교(康津鄕校)·남강서원(南康書院)·주자갈필각(朱子葛筆閣)·
수암서원(秀巖書院 : 전라남도 기념물 제39호)을 비롯하여,
이순신·김억추를 봉안한 강진금강사(전라남도 기념물 제81호), 다산초당(茶山草堂 : 사적 제107호) 등이 있다.
특히 다산초당은 정약용 이 강진으로 유배되어 살았던 집으로,
이곳에서 〈목민심서 〉등을 저술하여 실학을 집대성했다.
'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은 김정희 (金正喜)의 글씨로 유명하다.
이밖에 고려시대 가마터로 대구면 사당리의 도요지(사적 제68호)와
칠량면 삼흥리의 도요지(전라남도 기념물 제81호)가 있으며,
조선시대 가마터로 대구면 용운리, 칠량면 명주리·봉황리에 도요지가 분포하고 있다.
병영면 성동리에는 조선 숙종 때 숭록대부가 태어난 기념으로 축조했다고 전하는 홍교(虹橋)가 있으며,
강진읍 남성리에 강진영랑생가(전라남도 기념물 제89호),
칠량면 단월리에 강진염걸장군묘소(康津廉傑將軍墓所 : 전라남도 기념물 제36호)가 있다.
천연기념물로 대구면 사당리에 푸조나무(천연기념물 제35호),
마량면 마량리 까막섬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72호), 병영면 삼인리의 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39호),
도암면 만덕리 백련사의 동백림(천연기념물 제151호)이 있다.
주요관광자원인 많은 불교유적과, 유배되었던 유학자들의 유적지, 도요지 등이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성전면 월남리의 월출산 남쪽 사면은 경치가 뛰어나 금릉경포대라 불리며,
이곳에서부터 서쪽으로 월하리에 무위사가 있고, 그 경내에는 벽화로 유명한 극락전이 있다.
만덕산 계곡에는 동백림으로 유명한 백련사가 있으며, 정약용이 귀양살이를 했던 많은 유적이 있다.
대구면에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전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사당리의 당전도요지를 비롯하여
약 100여 개의 도요지가 흩어져 있다.
마량면 앞바다는 도미낚시로 유명하여 주말이나 여름 휴가철이면 낚시꾼들이 찾아와 관광객 유치에 큰 몫을 한다.
2012.6.20.한은섭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민간요법 (0) | 2012.07.22 |
---|---|
삶을 맛있게 요리하는 방법 (0) | 2012.07.04 |
내가 직접 만들어 먹는 소박한 나의 웰빙 밥상 (0) | 2012.06.22 |
마음을 열어주는 따뜻한 편지 (0) | 2012.06.20 |
여수 엑스포 빅오광장 분수쇼 (0) | 2012.06.19 |
강진 도암 덕룡산,주작산 산행기
2009.3.28.밤 11시 30분경
서울에서 출발한 차량이 강진 도암초교앞에 도착한 시간이
다음날 29일 새벽 4시반경 그러니까 꼬박 5시간을 달려온 셈이다.
도암초교앞에 도착 날이 밝기를 기다리면서 주최측에서 준비해온 떡국으로
아침을 먹고 소석문으로 이동 약 07시경부터 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산은 해발이 높지 않은 산으로 비교적 오르기는 쉬워지만
능선에 올라서 동봉과 서봉 475고지까지 가는 봉우리는 참으로
아기자기한 비경에 취해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남도에 이런 비경이 숨어 있었단 말인가.
나도 고향이 강진 이지만 병영 쪽 이라서 도암쪽에 덕룡산과 주작산
이라는 이런 아름다운 비경에 산이 있었는지는 몰랐다.
산 아래서 올려다 보는 아름다움보다는 가까이서 산행을 하면서
눈으로 보는 아름다움의 경치는 실로 말로는 표현하기가 ...
이름있다는 높은 산을 많이 다녀봤지만 이렇게 아름다운 산은
과히 몇이나 되었던가 하고 생각해 보게 되었다.
나뿐만 아니다 그날 함께 간 산우님들뿐만 아니라
타 산악회에서 온 산우님들도 비경에 취해 걸음이 느려질 수 밖에 없었고
카메라를 멘 산우 사진작가님들은 연발 샤다를 누르느라 분주할 수밖에..
475고지에가 주작산 이라는 표지판이 있는데
그곳이 주작산이 아니고 건너편에 보이는 세 봉우리가 주작산이다.
주작산은 좌청룡 우백호라는 이름이 붇을만 했다.
세 봉우리중 가운데 봉우리는 높았고 양쪽에 봉우리는 약간 낮아보였다.
또한 472 고지에서 흔들바위쪽으로 내려와 흔들바위를 구경하고
차가 있는 수양마을 마을회관 앞까지 한참을 걸어내려와
마을회관 앞에서 동동주 한사발과 두부를 안주삼아 한잔 하고나니
세상만사가 다 부럽지 않은 후회하지 않는 덕룡산 주작산 산행에
하산에 종지부를 찍고 오후 2시쯤 서울을 향해 출발한 차량은 도로의
정체를 무릅쓰고 약 7시간을 조금넘게 운행끝에 서울에 도착 밤10시를
전후해 모두 귀가 할 수 있었다.
7월에 있을 백두산 종주를 앞두고 부지런히 뒷다리 근육을 키워서
백두산 종주시 남들과 함께 종주 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덕룡산 주작산 정말 아름다운 산으로 다음에 또 한번 꼭 가보고 싶은 산으로
산을 좋아하는 사람 이라면 꼭 한번 가보시라고 추천하고 싶은 산이다.
idiot 한은섭
소석문에서 출발 삼거리까지 4.7km 안내표지판
475고지 주작산 표지판
흔들바위
흔들바위 안내판
흔들바위
흔들바위옆 통로문
산 아래서본 주작산
수양마을에서본 덕룡산
수양마을에서본 덕룡산
2009.4.12.강화 고려산 진달래 축제 (0) | 2009.04.12 |
---|---|
2009.4.5. 공주 계룡산 산행기 (0) | 2009.04.05 |
제주도 한라산 산행기 (0) | 2009.02.28 |
오대산 산행기 (0) | 2009.02.08 |
민족의 영산 태백산 산행기 (0) | 2009.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