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明心寶鑑 戒性篇 (명심보감 계성편)

 

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피하고,

참고 또 참으면 불행도 피해간다.

 

家語에 云;「危其身者는 好發人之惡이니라.」
가어에 운;「위기신자는 호발인지악이니라.」

 

가어에서 말하였다
「“그 자신을 위태롭게 하는 사람은
남의 악행을 적발하기 좋아한다.”」

 

紉蘭握瑾者는 誨妬之良謀也요 要肆利孔者는 招怨之危機也요
인란악근자는 회투지양모야요 요사이공자는 초원지위기야요

 

난초를 몸에 두르고 옥돌을 손에 쥐는 자는
질투를 뉘우치는 좋은 모략이고,
시장에서 중요한 이익을 크게 하는 자는
원한을 불러오는 위험한 기미이며,

 

宏談硬論者는 騰謗之健駟也요 方人擬物者는 反刺之銛刃也니라.
굉담경론자는 등방지건사야요 방인의물자는 반자지섬인야니라.

 

광대한 담론과 강경한 이론 자는
비방을 들끓게 하는 건장한 네 마리 말이고,
사람을 가지고 물건에 비기는 것은(만방에 의심하는 자는)
거꾸로 찌르는 작살과 칼날이다.

 

子張이 欲行에 辭於夫子러니,「願賜一言이면 爲修身之美하노이다.」
자장이 욕행에 사어부자러니,「원사일언이면 위수신지미하노이다.」

 

자장이 장차 떠나려고(행동에 옮기면서) 선생님께 하직을 고하였다.
「“원컨대 한 말씀을 해주시면 수신의 미덕으로 삼겠습니다.”」

 

夫子曰;「百行之本이 忍之爲上이니라.」子張이 曰;「何爲忍之니잇고?」
부자왈;「백행지본이 인지위상이니라.」자장이 왈;「하위인지니잇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모든 행실의 근본은 참는 것이 으뜸이다.”」
 자장이 말하였다.
「“무엇 때문에 참아야 합니까?”」

 

夫子曰;「天子忍之면 國無害하고 諸侯忍之면 成其大하고 官吏忍之면 進其位하고 兄弟忍之면
부자왈;「천자인지면 국무해하고 제후인지면 성기대하고 관리인지면 진기위하고 형제인지면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자가 참으면 나라에 해가 없고,
제후가 참으면 그 성대함을 이루고,
관리가 참으면 벼슬이 승진되고,
형제가 참으면

 

家富貴하고 夫妻忍之면 終其世하고 朋友忍之면 名不廢하고 自身忍之면 無患禍니라.」
가부귀하고 부처인지면 종기세하고 붕우인지면 명불폐하고 자신인지면 무환화니라.」

 

집안이 부귀해지고,
부부가 참으면 그 세상을 함께 마치고,
친구가 참으면 명리가 없어지지 않고,
자신이 참으면 환란과 재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子張이 曰;「不忍이면 如何잇고?」
자장이 왈;「불인이면 여하잇고?」

 
자장이 말하였다. 「“참지 않으면 어떻게 됩니까?”

 

夫子曰;「天子不忍이면 國空虛하고 諸侯不忍이면 喪其軀하고
부자왈;「천자불인이면 국공허하고 제후불인이면 상기구하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천자가 참지 않으면 나라가 텅텅 비고,
제후가 참지 않으면 그 몸을 잃고,

 

官吏不忍이면 刑法誅하고 兄弟不忍이면 各分居하고 夫妻不忍이면 令子孤하고
관리불인이면 형법주하고 형제불인이면 각분거하고 부처불인이면 영자고하고

 

관리가 참지 않으면 형법으로 목이 베이고,
형제가 참지 않으면 각자 분거하게 되고,
부처가 참지 않으면 자식들로 하여금 고아가 되게 하고,

 

朋友不忍이면 情意疎하고 自身不忍이면 患不除니라.」
붕우불인이면 정의소하고 자신불인이면 환불제니라.」

 

친구가 참지 않으면 정의가 소원해지고,
자신이 참지 않으면 우환이 없어지지 않는다.”」

 

子長이 曰;「善哉善哉라!難忍難忍이여! 非人不忍하고 不忍非人이니이다.」
자장이 왈;「선재선재라!난인난인이여! 비인불인하고 불인비인이니이다.」

 

자장이 말하였다.
「“좋고도 좋습니다.
참는 것이 어렵고도 어렵습니다.
사람이 아니면 참지 못할 것이고, 참지 못하면 사람이 아닙니다.”

 

景行錄에 云;「人性如水니 水一傾則不可復이요 性一縱則不可反이니라.
경행록에 운;「인성여수니 수일경칙불가복이요 성일종칙불가반이니라.

 

경행록에서 말하였다.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으니,
물 한번 쏟아지면(기울면傾) 다시 주워 담을 수 없고
성품은 한번 방종해지면 돌이킬 수 없다.

 

制水者는 必以隄防이요 制性者는 必以禮法이니라.」
제수자는 필이제방이요 제성자는 필이예법이니라.」

 
물을 제압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제방으로 해야 하고,
성품을 제압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예법으로 해야 한다.”」

 

景行錄에 云;「屈己者는 能處重하고 好勝者는 必遇敵이니라.」
경행록에 운;「굴기자는 능처중하고 호승자는 필우적이니라.」

 

경행록에서 말하였다.
「“자기를 굽히는 사람은 중요한 자리에 임명되게(능能하게) 되고,
이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반드시 적을 만나게 된다.”」

 

忍一時之氣면 免百日之憂니라.
인일시지기면 면백일지우니라.

 

일시적인 기분을 참으면 백 일의 근심을 면한다.

 

得忍且忍이요 得戒且戒니라. 不忍不戒면 小事成大니라.
득인차인이요 득계차계니라. 불인불계면 소사성대니라.

 

참을 수 있으면 또 참고,
경계할 수 있으면 또 경계하라.
참지 않고 경계하지 않으면 작은 일이 크게 된다.

 

愚濁生嗔怒는 皆因理不通이니라. 休添心上火하고 只作耳邊風하라.
우탁생진노는 개인리불통이니라. 휴첨심상화하고 지작이변풍하라.

 

어리석고(愚) 흐린(濁) 사람(生)이 성내고(怒) 화내는 것은(嗔),
모두(皆) 이(理)치가 통(通)하지 않기(不) 때문이라네.
마음 위(心上)에 불(火)을 더하지 말고(첨添가함을 휴休식하고),
단지(只) 귓가를(耳邊) 스쳐가는(지나가는作) 바람(風)으로 여기라.

 

長短家家有요 炎凉處處同이라. 是非無實相이니 究竟摠成空이니라.
장단가가유요 염량처처동이라. 시비무실상이니 구경총성공이니라.

 

좋은(長) 점과 나쁜(短) 점은 집집마다(家家) 있기 마련이고(有),
더위(炎)와 추위(凉)는 곳곳마다(處處) 같다네(同).
옳고(是) 그름(非)이 실제(實) 모습(相)이 없는지라(無),
결국(究竟)에는 모두(摠) 공성(空成)하게 된다네.

 

惡人罵善人이면 善人摠不對하라.
악인매선인이면 선인총부대하라.

 

악인(惡人)이 선인(善人)을 꾸짖거든(罵)

선인(善人)은 도무지(모든 것에摠) 대(對)꾸하지도 말라(不).

 

不對心淸淨이나 罵者口熱沸이라. 正如人唾天이니 還從己身墜니라.
부대심청정이나 매자구열비이라. 정여인타천이니 환종기신추니라.

 

대(對)꾸하지 않는(不) 사람은 마음(心)이 깨끗하고(淨) 맑으나(淸),
꾸짖는(罵) 자(者)는 입(口)이 뜨겁게(熱) 끓으리라(沸).
마치(如) 꼭(正) 사람(人)이 하늘(天)에 침을 뱉으면(唾)
도리어(還) 자기(己) 몸(身)에 떨어지는 것(墜從)과 같은(如) 것이다.

 

我若被人罵라도 佯聾不分說하라. 譬如火燒空이니 不救自然滅이라.
아약피인매라도 양롱불분설하라. 비여화소공이니 불구자연멸이라.

 

내(我)가 만약(若) 남(人)의 꾸짖음을(罵) 당하더라도(입을지라도被)
거짓 귀머거리인(佯聾) 척 분(分)별하여 따지지(說) 말라(不).
비(譬)유컨대 마치(如) 불(火)이 허공(空)을 태우는 것(燒) 같아서(如)
끄지 않아도(救不) 자연(自然)히 소멸(滅)하게 된다네.

 

我心等虛空커늘 摠爾反[飜]脣舌이니라.
아심등허공커늘 총이반[번]순설이니라.

 

내(我) 마음(心)은 허공(虛空)과 같은데(等),
오로지(摠) 너(爾)의 입술(脣)과 혓바닥(舌)만이 뒤집어질(反飜) 뿐이라네.

 

凡事留人情이면 後來好相見이니라.
범사유인정이면 후래호상견이니라.

 

모든 일(凡事)에 인정(人情)을 남기면(留),

훗날(後來) 서로(相) 좋게(好) 만나게(보게見) 된다.

 

韓 銀 燮(한은섭 옮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