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참 맛 (人生至味,인생지미)


여러분께서는 인생의 지극한 맛(人生至味)을 보셨는지요?
지금까지 앞 만 보고 달려온 우리들이 아닙니까.
그 일직 심(一直 心)이 있었기에 오늘의 풍요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허겁지겁 달려온 인생이 돌아보면 인생의 지극한 맛을 모르고 살아온 것 같습니다.
어쩌면 참으로 억울한 인생이 아닐련지요!
지금이라도 우리들 인생의 맛과 멋을 찾아보면 어떨까요?
오늘은 중용에 나오는 인생에 참 맛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져합니다.

 

《중용(中庸)》4장 <지미장(至味章>에 이 인생의 참 맛에 대한 얘기가 나옵니다.

 

子曰 道之不行也를 我知之矣라 知者는 過之하고 愚者는 不及也니
자왈 도지불행야를 아지지의라 지자는 과지하고 우자는 불급야니

 

道之不明也를 我知之矣라 賢者는 過之하고 不肖者는 不及也니라.
도지불명야를 아지지의라 현자는 과지하고 불초자는 불급야니라.

 

人莫不飮食也는 鮮能知味也니라.
인막불음식야는 선능지미야니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도가 행하지 못할 것을 내가 아노라
지혜로운 자는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미치지 못함이라
도가 밝지 못할 것을 내가 아노라
어진 자는 지나치고 어질지 못한 자는 미치지 못하느니라.”
사람이 마시고 먹고 하지 않음이 없건마는 능히 맛을 아는 이가 적으니라.)
 

중용지도는 천리(天理)요 진리(眞理)이다.
주역에도 중정과 중부, 중절, 중용, 중화의 도를 강조하고 있다.
천지도 중용의 도가 아니면 만물을 낼 수 없듯이
중용의 도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치와 실천하는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
중용지도로써 행해야 하는 사람은 흠결 하나 없듯이
정치도 중용지도로 행해 나가야 국가가 발전하고 사회가 발전하고 백성들이 잘 살게 된다.
그러나 대도(大道)인 중용지도를 행하고 밝힌다는 것은 쉽지 않음을 공자가 강조하고 있다.


道者는 天理之當然이니 中而己矣라 知愚賢不肖之過不及은
도자는 천리지당연이니 중이기의라 지우현불초지과불급은

 

則生품之異而失其中也라 知者는 知之過ㄹ새 旣以道로
즉생품지이이실기중야라 지자는 지지과할새 기이도로

 

爲不足行이오 愚者는 不及知하고 又不知所以行하니
위부족행이오 우자는 불급지하고 우부지소이행하니 

 

此는 道之所以常不行也라 賢者는 行之過ㄹ새 旣以道로
차는 도지소이상불행야라 현자는 행지과할새 기이도로

 

爲不足知하고 不肖者는 不及行하고 又不求所以知하니
위부족지하고 불초자는 불급행하고 우불구소이지하니

 

此는 道之所以常不明也라.
차는 도지소이상불명야라.

 

(도라 하는 것은 천리의 당연함이니 중일뿐이니라.
알고 어리석고 어질고 어질지 못함의 과불급은 타고난 품부의 다름인즉 그 중을 잃음이라.
아는 자는 아는 것이 지나쳐 이미 도로써 족히 행하지 못하고
어리석은 자는 아는데 미치지 못하고 또한 행동하는 바를 아지 못하니,
이것은 도가 항상 행해지지 못하는 바이니라.
어진 자는 행실이 지나쳐 이미 도로써 알 것이 없다하고
어질지 못한 자는 행동이 미치지 못하고 또한 아는 바를 구하지 아니하니
이것은 도가 항상 밝지 못하는 바이니라.)

 

道不可離어늘 人自不察하니 是以로 有過不及之弊하니라.
도불가리어늘 이자불찰하니 시이로 유과불급지폐하니라.

 

(도는 가히 떠나지 못하거늘 사람이 스스로 살피지 못하니
이로써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하는 폐단이 있느니라.)

 

이 공자님의 말씀은
도(道)는 넘치는 것도 아니고 부족한 것도 아니고 있는 그대로라는 뜻입니다.
사람들은 물질적 관점에서 근시안적 모습만을 보기 때문에 과하거나 불급하는 것이죠.
인생의 맛을 제대로 아는 것은 고수(高手)의 영역이며 도적(道的)인 성향과 가까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맛을 알기 위해서는 오감(五感)이 제대로 살아 있어야 하며 자각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럼 중용이 행해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중국 남송(南宋) 때의 유학자 주희(朱熹 : 1130~1200)는

이 ‘지미’에서 네 유형의 사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앎이 지나쳐 도를 더 이상 행할 것이 없다고 여기고,
어리석은 사람은 앎에 미치지 못하므로 행해야 할 근원을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도가 항상 행해지지 않는다.
현명한 사람은 행함이 지나쳐 이에 더 이상 도를 알 것이 없다고 여기고,
못난 사람은 행함에 미치지 못하므로 또한 알아야 하는 근원을 추구하지 않는다.
이것이 도가 항상 밝게 드러나지 않는 이유이다.”

 

그리고《중용》4장(章) 말미에「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라는 말이 나옵니다.

(사람들이 음식을 먹으면서 그 음식 맛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뜻이죠.)

바로 ‘지미(知味)’의 철학인 것입니다.
맛을 느끼지 못하고 오로지 배를 채우기 위해 먹는 것은
인생을 살면서 삶의 참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며 오래 사는 것과 같다는 뜻입니다.

 

이제 100세 시대입니다.
그런데 생리적으로 인간의 수명이 길어졌다고 해도 인생의 맛(味)를 모르고
그저 나이만 많이 먹는다면 장수(長壽)가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럼 인생의 참맛을 알며 사는 지미(知味)의 인생은 어떤 것이겠습니까?
아마 저 멀리 떨어져 있거나 어렵고 힘든 일이 아닐 것입니다.

 

송(宋)나라 소강절(邵康節)이라는 사람은
어느 날 늦은 저녁 밤하늘의 달을 보고, 스치는 바람을 느끼며
인생의 가장 맛있는 순간이라고 읊으면서
그 일상의 맛을 ‘일반청의미(一般淸意味)’라고 정의했습니다.
어쩌면 평범한 일상에서 나만이 느끼는 맛이 지고지미(至高之味)라고 할 수 있지 않을 런지요!

 

그 ‘지고지미(至高之味)’의 맛은 어떤 것일까요?

 

첫째, 음식지미(飮食之味)입니다.
살기 위해서 음식을 먹는 게 아니라 음식의 고유한 맛을 느끼며 먹는 맛입니다.

 

둘째, 직업지미(職業之味)입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일을 통하여 인생의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는 맛입니다.

 

셋째, 풍류지미(風流之味)입니다.
남을 따라 하는 게 아니라 바람처럼 물처럼 자유로운 영혼을 느끼는 맛입니다.

 

넷째, 관계지미(關係之味)입니다.
어쩔 수 없는 상호 관계가 아니라 만남 속에서 기쁨을 얻기 위해 만나는 맛입니다.

 

다섯째, 봉사지미(奉仕之味)입니다.
자기만을 위해서 사는 인생이 아니라 남에게 봉사함으로써 얻는 맛입니다.

 

여섯째, 학습지미(學習之味)입니다.
하루하루 배움과 깨우침 속에서 새로운 나를 만들어 나가면서 느끼는 맛입니다.

 

일곱째, 건강지미(健康之味)입니다.
육신만 아니라 건강한 내 몸과 균형과 조화를 갖추며 느끼는 맛입니다.

 

여덟째, 인간지미(人間之味)입니다.
‘나’라는 존재를 규명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기쁨을 만끽하는 맛입니다.

 

난 오늘도 인생 최고의 맛을 찾고져 노력하는 하루가 .....

 

인 생(人生 )

 
근심 걱정 없는 사람 누군고

출세하기 싫은 사람 누군고

시기 질투 없는 사람 누군고

흉허물 없는 사람 어디있겠소

 
가난하다 서러워 말고

장애를 가졌다 기죽지 말고

못 배웠다 주눅들지 마소

세상살이 다 거기서 거기외다

가진것 많다 유세 떨지 말고

건강하다 큰소리 치지말고

명예 얻었다 목에 힘주지 마소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더이다

 
잠시 잠깐 다니러 온 이세상

있고 없음을 편가르지 말고

잘나고 못남을 평가하지 말고

얼기설기 어우러져 살다나 가세

다 바람같은 거라오 뭘 그렇게 고민하오

 
만남의 기쁨이건 이별의 슬픔이건

다 한순간이오

사랑이 아무리 깊어도 산들바람이고

오해가 아무리 커도 비바람이라오

외로움이 아무리 지독해도 눈보라 일 뿐이오

폭풍이 아무리 세도 지난뒤에 고요하듯

아무리 지극한 사연도 지난뒤엔

쓸쓸한 바람만 맴돈다오

  다 바람이라오

 

버릴 것은 버려야지 내 것이 아닌 것을

가지고 있으면 무엇하리오

줄게 있으면 줘야지 가지고 있으면 뭐하노

내 것도 아닌데...

 

삶도 내것이라 하지마소

잠시 머물러 가는 것일 뿐인데 묶어둔다

그냥있겠소
흐르는 세월 붙잡는다고 아니 가겠소

그저 부질 없는 욕심일 뿐

삶에 억눌려 허리 한번 못 피고

인생계급장 이마에 붙이고

뭐그리 잘났다고 남의 것 탐내시오

 
훤한 대낮이 있으면 까만 밤하늘도 있지 않소

낮과 밤이 바뀐다고 뭐 다른게 있소

살다보면 기쁜일도 슬픈일도 있다마는

잠시 대역 연기하는 것일 뿐

슬픈표정 짓는다 하여 뭐 달라지는게 있소

기쁜표정 짓는다 하여 모든게 기쁜 것만은 아니오

 
내 인생은 내인생 뭐 별거랍니까

바람처럼 구름처럼 흐르고 불다보면

멈추기도 하지 않소

그렇게 사는 겁니다

 
삶이란 한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이란 한조각 구름이 쓰러짐이다

구름은 본시 실체가 없는 것

죽고 살고 오고감이 모두 그와 같도다

 
生也一片浮雲起(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死去來亦如然(생사거래역여연)

 
-서산대사께서 입적하기 직전 읊은 해탈시(解脫詩)-

 

한은섭 옮김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막 모습이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다.  (0) 2013.06.14
참 아름다운 사람  (0) 2013.03.31
격언 100가지  (0) 2013.03.07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글  (0) 2013.03.07
좋은말 좋은글  (0) 2013.03.07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만남입니다.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만남입니다.
독일의 문학자 한스 카롯사는
"인생은 너와 나의 만남이다."고 말했습니다.
인간은 만남의 존재입니다.
산다는 것은 만난다는 것입니다.
부모와의 만남 스승과의 만남
친구와의 만남
좋은 책과의 만남
많은 사람과의 만남입니다.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만남을 통해서 결정됩니다.
여자는 좋은 남편을 만나야 행복하고
남자는 좋은 아내를 만나야 행복합니다.
학생은 훌륭한 스승을 만나야 실력이 생기고
스승은 뛰어난 제자를 만나야 가르치는 보람을 누리게 됩니다.
자식은 부모를 잘 만나야 하고
부모는 자식을 잘 만나야 합니다.
씨앗은 땅을 잘 만나야 하고
땅은 씨앗을 잘 만나야 합니다.
백성은 왕을 잘 만나야하고
왕은 백성을 잘 만나야 훌륭한 인물이 됩니다..
인생에서 만남은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우연한 만남이든 섭리적 만남이든..
만남은 중요합니다.
인생의 변화는 만남을 통해 시작됩니다.
만남을 통해 우리는 서로를 발견하게 됩니다.
서로에게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만남에 대한 생각을 하는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 행복 찾기 中에서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다 건강하고 오래살려면   (0) 2012.11.24
명언 모음  (0) 2012.09.14
겸손이란 나를 낮추는 마음  (0) 2012.09.05
좋아하는 마음 사랑하는 마음  (0) 2012.07.25
산은 구름을 탓하지 않는다.  (0) 2012.07.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