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書의 槪論
【사서(四書)】
(1) 논어(論語): 제자들 엮음, 7권 20편, 공자와 제자들간에 주고 받은 말을 정리. 성품, 행실 기록
(2) 맹자(孟子) : 제자들 엮음. 14권 7책. 제후들과 나눈 대화를 엮음. 가르침 기록.
(3) 중용(中庸) : 공자의 손자 자사 지음. 불편부당한 중용의 덕, 즉 덕의 도를 강조함. 유교해명서
(4) 대학(大學) : 자사 저(?). 유교의 경전, 정치ㆍ교육의 이상을 설명.

 

【삼경(三經)】
(1) 시경(詩經) : 공자 편. 은(殷)∼춘추시대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시 311편 수록.
(2) 서경(書經) : 공자 편. 요순(堯舜)∼주(周) 나라까지의 정서(政事)를 수집, 편찬.
(3) 주역(周易) : 공자 편. 철학ㆍ윤리ㆍ정치 설명. 

 

▶공자(BC 552∼479) : 이름 두(丘). 자 중니(仲尼). 노 나라 사람. <춘추(春秋)>
▶맹자(BC 372∼289) : 이름 가(軻). 자사에게 배움, 노 나라 사람,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덕(四德)이 인간의 본성이라 하여 성선설(性善說) 주장.
▶증자(BC 505∼?) : 이름 삼(參). 자 자여(子與). 공자의 제자, 노 나라 사람. <효경(孝經)>
▶장자(BC 365∼290) : 도학자  

 

論語(논어) 
1, 論語(논어)의 編纂(편찬)과 背景(배경)

 

論語(논어)는 儒學(유학)의 근본문헌이며 중국 최초의 語錄(어록) 이기도 하다.
고대 중국의 사상가 孔子(공자B .C 551-479) 의 가르침을 전하는 가장 확실한 옛 문헌으로,

 공자와 제자들 간의 문답을 기본으로 하고, 공자가 수시로 한 발언과 행적,

그리고 제자들의 발언등 인생의 높은 교훈이 되는 말들이 간결하고 함축성 있게 기록되어 있다.

漢書藝文誌(한서예문지)에 의하면 論語(논어)는 공자께서 제자들 및 당시의 인사들 사이에 오고간 이야기들과

공자로부터 들은 이야기들을 모두 함께 모아 編纂(편찬)한 것이며 孔子(공자) 일생의 言行錄(언행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언행록은 그후 각처에서 연구되어 많은 增補(증보)가 이루어졌는데

魯(노)나라에서는 모두 20편인 魯論語(노논어)가 만들어졌고,

齊(제)나라에서는 여기에 2편을 더해서 22편의 齊論語(제논어)가 생겨났다.

또 漢代(한대)에 들어서는 孔子(공자)의 집 벽속에서 論語(논어)가 나왔는데

이것은 21편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古論語(고논어)라고 한다.

이런 논어들은 그후 많은 학자들의 손을 거처 연구 되어 오다가 後漢(후한)의 鄭玄(정현)에 이르러

魯論語(노논어)를 중심으로 통일을 보게 되었는데 그것이 우리가 오늘에 접하는 論語(논어)이다.

논어가 우리 나라에 전해 온 기록를 찾아보면 百濟(백제)14대 近仇首王(근구수왕):AD375)때

經學博士(경학박사) 王仁(왕인)이 논어를 일본에 전해주었다는 기록이 있으니

우리 나라에서는 그 보다 더 먼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2, 論語(논어)의 構成(구성)
논어는 모두 20편 , 482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 憲問編(헌문편)이 가장 길고 47장으로 이루어졌다.

中庸(중용)의 약 4배에 달하는 방대한 글이며 全文(전문)15,917자나 된다  

각 편 마다 첫 머리에 나오는 글자를 따서 그 편의 編名(편명)으로 삼있다.

3,論語(논어)의 內容(내용)
論語(논어)의 主(주)된 사상은 한마디로 仁(어질인)자의 해설이라고 하겠다.

이는 論語全編(논어전편)에 仁자가 무려 105번이나 반복해서 나오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공자는 仁을 근본 바탕으로 해서 윤리관을 확립하였던 것이다.

논어 20편을 통해서 교육, 정치, 사회 등 여러 가지 문제가 거론디고 있지만 그 구심점은 모두 仁에다 두고 있다.

또 論語는 앞에서 설명한대로 공자님과 제자들 사이에 오고간 대화로 되어 있으므로

제자들의 이름이나 지식정도 제자들의 성격과 특성 등을 잘 알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논어 속에 나오는 제자의 이름만도 32명이나 된다.

論語20편의 내용은 모두가 하나하나 떨어진 단편적이고 분리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하나 하나가 다시없이 귀중한 金科玉條(금과옥조)이며 燦然(찬연)히 빛나는 공자의 인간상과 유학의 꽃을 피우고 있다.

그러므로 논어는 精神(정신)의 책이고, 道德(도덕)의 책이고, 政治(정치)의 책이며, 신의 책이 아닌 인간의 책으로서

유학을 인식하는데나 공자를 아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귀중한 經典(경전)이라고 할수 있다

그래서 젊은 세대를 향해서 이 소중한 경전인 논어를 읽어 보라고 충심으로 권하는 바이다.

 

孟子(맹자)

 

1,孟子(맹자)편찬 배경과 四書(사서)가 되기 까지의 과정
孟子(맹자)는 맹자가 지은 책으로써 四書(사서) 중의 하나이다.
司馬遷(사마천)의 史記(사기)에 따르면 孟子(맹자)의 저술이 분명하지만

자신의 著作(저작)에 자신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는 드물므로 맹자의 자작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당나라의 韓愈(한유)도 맹자가 죽은 뒤 그의 문하생들이 그 동안의 일을 기록한 것이라는 말을 하였다.

그러나 首尾一貫(수미일관)한 논조와 설득력 있는 논리의 전개,박력 있는 문장은

孟子(맹자)라는 한 聖人(성인)의 경륜과 인품을 전해주기에 손색이 없다.

맹자는 中國 戰國時代(전국시대)의 사상가로 이름을 軻(가)라고 하였으며

孔子(공자)를 숭배하고 공자의 손자인 子思(자사)의 문인이다.

공자가 탄생한 魯(노)나라 출신이며 맹손씨의 후손이다.

맹자는 王道政治(왕도정치)의 이상을 실천에 옮겨서 어지러운 시대를 건져보려는 간절한 뜻에서

魏(위), 齊(제)나라 등 列國(열국)을 순방하면서 遊說(유세)를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고향으로 돌아온 孟子는 제자 公孫丑(공손추) 萬章(만장)등으로

孟子七編(맹자칠편)을 저술하였다는 기록이 사마천의 史記(사기) 및 맹자 서설에 나와있다.

孟子(맹자)가 四書(사서)로 인정되기는 唐(당)나라 초기였으나 후기에 이르러

 韓愈(한유) 柳宗元(유종원)등 거유들에 의해서 그 중요성이 다시 거론되었고

宋(송)대에 들어가 경전으로 선정되면서 국자감에서 맹자를 출판하기에 이르렀다.

그후 神宗(신종)때는 맹자를 孔子廟(공자묘)에 배향하고 科擧試驗(과거시험)에도 孟子(맹자)를 과시하게 되었다.

 

2,孟子(맹자)의 構成(구성)
맹자는 전 7편, 26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4,685자로 논어의 약 두배나 되는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7편의 편명은 논어와 같이 冊篇(책편)의 첫머리에 나오는 人名(인명)을 따서 篇名(편명)으로 한 것이

대분이며 어떤 특별한 뜻이 있는 것이 아니다.

 

3,孟子(맹자)의 內容(내용)
맹자의 中心思想(사상)은 仁義(인의)라고 할 수 있다.
공자님께서 부르짖은 仁 이 사람이 가져야할 착한 마음이라고 한다면

義는 이 착한 마음을 어떻게 행동으로 옮겨 갈 수 있는가에 대해서 말한 것이라고 하겠다.

맹자는 道學的(도학적)인 면에서 性善說(성선설)을 주장하여 人間(인간)의 本性(본성)은 원해 착한 것이라는 것을 밝혔으니,

이는 孟子의 獨創的(독창적)인 것으로 사람의 마음을 醇化(순화)시키는데 매우 공이 컷으며

하나의 학설로써 완벽하게 定立(정립)하여 많은 학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이는 저 유명한 四端論(사단론)에서 찾아 볼수잇다.

 

中庸(중용)

 

大學(대학), 論語(논어), 孟子(맹자)와 더불어 四書(사서)의 하나인 이 經典(경전)은 중국 송나라 때 생겨났다.
中庸(중용)도 大學(대학)과 마찬가지로 禮記(예기)에서 분리해서 사서에 편입시켰다.
이는 春秋戰國時代(춘추전국시대)를 거처 漢武帝(한무제)때, 당시의 대학자인 董仲舒(동중서)의 건의에 따라

諸子百家(제자백가)의 난립된 사상을 물리치고 儒學者(유학자)를 등용하여 유학을 숭상하고

그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 시도된 데서 비롯되엇다

특히 秦始皇(진시황) 때 焚書坑儒(분서갱유)로 散失(산실)된 경전을 수집하여 經學博士(경학박사)를 두고

경전발전에 국력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宋朝(송조)에 이르러 程伊川(정이천).선생의 노력과 朱子(주자)註釋(주석)이 함께 첨가됨으로서

中庸(중용)이 현재와 같이 귀중한 경전 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中庸의 構成은 전문 33장으로 孔子(공자)의 손자인 子思(자사)가 지었으며 대학의 倍나 되는 큰 책이며 모두 3,568자로 되어 있다.
제1장은 대학의 경문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고 이 속에 중용의 사상을 深化闡明(심화천명)하게 기록하고 있다.
제2장 이하는 저자인 子思가 공자님의 말씀을 고전에 나오는 사례를 인용해서 各論格으로 해설한 것으로서 구성되어있다.
각장을 장별로 대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天人論(천인론)

둘째    中庸論(중용론)

 셋째    道論(도론)
 넷째    誠論(성론)
 다섯째  聖論(성론)
中庸(중용)은 儒家(유가)의 인생철학으로 인간의 정신을 안으로부터 출발하여 밖으로 표현되는 과정을 말한 것이다.

인간과 우주와의 관계,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 인간과 역사와의 관계를 논하였으며 그 핵심은 천명론이며 또 誠(성)이다.

中이란 우리가 지닌 天命의 性品을 그대로 간직하여 나가는 것을 뜻하며

어떤 일이든지 알맞게 하고 절대로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私心(사심)없는 공정한 마음을 말한다.

 

大學(대학) 

 

四書五經(사서오경) 중의 하나인 이책은 중국에서 유교가 國敎(국교)로 채택된 한대 이래 五經(오경)이 기본 경전으로 전해지다가

宋代{송대}에 이르러 程伊川{정이천}선생이 당시 번성하였던 佛敎(불교)와 道敎(도교)에 맞서는 새로운 性理學(성리학)의 체계를 세우면서

禮記(예기)에서 中庸(중용)과 大學(대학)의 두편을 분리 독립시켜서 四書中心{사서중심}의 체계를 확립한데서 비롯되었다.

朱子(주자)는 여기에 章句(장구)를 짓고 자세한 해설을 붙이는 한편 錯簡(착간)을 바로 잡았다.

이를 圖示(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  經文(경문){1장, 205자}
                   +-   大學{1751자}   -+
禮記(예기)  -+                              +-  傳文(전문){10장, 1546}
                   +-   中庸{3568자}
 
總論(총론) 격인 경문은 공자님의 글로서 曾子(증자)가 이를 서술했다고 하며

各論(각론)격인 전문은 경문의 해설서로서 증자의 글을 그의 문하생들이 엮은 것이라고 한다.

曾子는 이 밖에도 孝經(효경)을 지어 후세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大學(대학)의 내용은 綱領(삼강령}, 八條目(팔조목}으로 되어 있는데 강령은 모두 이론의 으뜸이 되는 큰 줄거리다.
綱領(삼강령)에는 明明德(명명덕), 親民(친민), 止於至善(지어지선)이 이에 해당된다.
八條目(팔조목)은 格物(격물), 致知(치지), 誠意(성의), 正心(정심), 修身(수신), 齊家(제가), 治國(치국), 平天下(평천하)를 말한다.
결국 대학은 삼강령. 팔조목의 해설이라 할수있는데 이것이 바로 儒家(유가)의 교육학이요 정치학이라고 할 수 있다.
八條目(팔조목)가운데 格物, 致知, 誠意, 正心,까지는 形而上學(형이상학)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수신제가치국평천하)는 形而下學(형이하학)에 해당한다고 볼수있다.

 
 
 
詩經(시경)
 
詩經(시경)은 중국 최초의 詩集(시집)이다.
毛傳(모전)이래의 通說(통설)에 의하면 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周(주)의 건국 초기라고하니까

아득히 B.C 10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셈이다.

현제 학자들의 고증에 의해서 연대를 훨씬 아래로 끌어내린다 해도 B.C 10세기 후반으로부터

B.C 6세기 초에 걸처 쓰여진 시라고 여겨지니 가장오래 된 것은 약 3000년 전인 옛날의 작품이다.  

 
1, 詩經(시경)의 편찬 背景(배경)과 발전과정
詩經(시경)은 채시관이 모은 시로 옛날에는 그들이 수집한 시가 3000편이나 있었다고 한다.

史記(사기)에 의하면 공자께서 그들 가운데 잘된 것만 300편을 골라서 詩經(시경)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학설에 대해서는 異論(이론)이 있으나 論語(논어)의 爲政編(위정편) 등에 詩三百(시삼백)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당시에 魯(노)나라에 통용되던 詩經(시경)이 300편 정도 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정치를 하거나 학문을 하거나 또는 무슨일을 해도 인간이 살아가는데는 풍류가 자연발생적으로 생기게 마련이다.

王道政治(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德治主義(덕치주의)를 베푸는데 있어서도

최선의 수단이란 바로 인간 본인의 정서에 호소하는 길일 것이다.

인간 본인의 정서를 순화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음악일 것이다.

민심의 흐름을 가장 잘 대변해 주는 것도 음악이요. 사람을 가장 잘 교화하고 감동시키는 것도 음악일 것이다.

그래서 음악의 歌詞(가사)가 되는 詩歌(시가)는 위정자나 사회를 정화해 나가려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들이었다.

 
2,詩經(시경)의 構成(구성)과 내용
詩經(시경)은 모두 311편으로 구성되었다고 하지만 그 가운데 小雅장(소아장) 6편이 편명만 있고 내용이 없으므로

정학하게는 305편으로서 현제의 시경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통 詩三百이라고 한다. 이 300편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3부분으로 나누어져있다.

 
(1) 國風(국풍): 15개 나라의 민요로서 16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雅(아) : 조정의 음악, 곧 우리 나라의 雅樂(아악)과 같은 것으로 大雅(대아) 31편, 小雅(소아)8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3)頌(송) : 宗廟)祭祀(종묘제사)의 雅樂(아악)으로 40편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세 부분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모두가 風(풍)에서 雅(아)로 그리고 頌(송)으로 나아갔으니

詩經(시경)의 主流(주류)를 이루는 것은 역시 國風(국풍)이다.

시경의 문장구성체와 서술방식을 살펴보면 興(흥). 比(비). 賦(부)의 세가지가 있는데 興(흥)이라고 하는 것은

처음에 어떤 사물을 敍述(서술)하였다가 뒤에 主題(주제)를 이끌어 내는 방법으로 곧 먼저 다른 사물을 말하다가

핵심이 되는 말을 끌어 내는 표현법을 말하고, 比(비)라하는 것은 比喩(비유)하는 문장구성 표현법은 말하며,

賦(부)라는 것은 事實(사실)을 직접 서술하는 문장구성 즉 사실의 묘사를 뜻한다.

그래서 詩經(시경)의 글을 살펴보면 반드시 문장 끝에는 興 .比 .賦 의 글이 있은 것을 알 수 있다.
 
 
書經(서경)
 
1,書經(서경)의 편찬 배경과 發展過程(발전과정)
사서 오경중에 하나인 書經(서경)은 중국 상고시대의 정치 기록이다.

고대에도 제도상으로 史官(사관)이 있어서 나라안에 일어나는 모든 정치적 상황,

사회변동 문물제도 등을 낱낱이 문자로 기록 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옛 書(서)라 일컬었으며 때로는 王朝(왕조)를 앞에 붙여서 虞書(우서) 夏書(하서) 등으로 일컫기도 하였다.

공자는 이서를 대단히 중히 여겨 번잡한 것을 정리하여 다시 편찬했다는 설이 잇으며

詩(시)와 더불어 제자들의 교육에 핵심적인 교과과정으로 삼았던 것 같다.

漢代(한대)이후에는 尙書(상서)라 일컬었는데 尙(상)은 上(상)과 통하는 말이며 上代(상대)의 書(서)라는 뜻이라고도 한다.

宋代에 와서 다시 書經(서경)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경)은 經典(경전)이라는 뜻이고 聖人(성인)의 글 이라는 의미다.

후한의 班固(반고)가 지은 藝文志(예문지)에 의하면 書가생긴 기원은 周易(주역)의 河出圖(하출도)洛出書(낙출서)에 두었다고 하였으니

결국 書를 신의 의지로 돌려 신성화 시키고 있다.

王者(왕자)의 곁에는 좌우 두 史官(사관)이 있었는데 좌사관은 왕의 하신 말씀을 기록하였으니

이것을 일컬어 尙書(상서)라하며 우사관은 왕의 行事(행사)를 기록하렸는데 이것을 春秋(춘추)라고 한다.

孔子(공자)님께서 堯舜(요순)으로부터 秦穆公(진목공)에 이르기 까지 3,240편의 書(서)를 간추려서 編纂(편찬)하였으므로

이것을 높여 尙書(상서) 라고 한다.

여기에는 古文尙書(고문상서)와 今文尙書(금문상서)가 있으니 이는 다음과 같다.

古文(고문)이란 공자님께서 후세 秦始皇(진시황)時代(시대)에 焚書(분서)의 변이있을 것을 미리 예상하였음인지

벽을 뚫고 그 속에 冊(책)을 넣었다고 하는데 漢武帝(한무제)말에

공자의 舊宅(구택)을 헐고 벽속에 古文字(고문자)로 된 經典(경전)을 발견했다.

이것이 바로 古文尙書(고문상서)이다.

今文(금문)이란 秦始皇(진시황) 분서 사건이후에 산재해 있던 글을

한 대의 伏生(복생)이 한데 모아 전한 것을 今文尙書(금문상서)라고 한다.

古文尙書(고문상서)는 모두 58편, 今文尙書(금문상서)는 33편만을 담고 있으니

孔子(공자)님의 벽속에서 나온 古文尙書(고문상서)는 今文尙書(금문상서)에 앖는 25편이 더 담겨있다.

그래서 이것이 眞本(진본)이라고 할수 있으며 서경의 편명 앞에는 꼭 今文古文(금문고문)의 유무를 확실히 하고 있다.
 
2,書經(서경)의 構成(구성) 및 내용
書經(서경)은 전 6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수는 58편이다.

그러나 58편 중 상, 중, 하, 3편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실제로는 50 편으로 되어 있다.

원래 공자님께서 100 편을 選(선)하였으나 현제는 58 편밖에 전해지지 않고 있다.

書經(서경)의 文章構成(문장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典(전):기본이 되는 明政德治(명정덕치)가 어떤 것인가를 논한것이며 堯典(요전)舜典(순전) 속에서 찾아 볼수 있다.
謨(모):아름다운말 名言(명언)을 기록한 것으로 大禹謨(대우모),皐陶謨(고요모)가 있다.
誥(고):임금이 신하나 백성에게 지시하고 布告(포고)한 것으로 康誥(강고) 洛誥(고) 酒誥(주고) 등이 있다.
訓(훈):신하가 임금에게 警戒(경계)하여 말한 충고로 伊訓篇(이훈편)이 있다.
誓(서):여러 사람에게 널리 알리고 뜻을 함께 하도록 공고하는 내용의 것이며 湯誓(탕서), 泰誓(태서), 牧誓(목서)등이 있다.
命(명):군왕이 중신에게 경계하여 말씀하신 것인데 說命(열명), 畢命(필명), 文候之命(문후지명)등이 있다.
이와 같이 書經(서경)은 虞(우), 夏(하), 殷(은), 周(주) 의 四代 나라의 정치제도 문물 등을 기록한 책으로

사회 전반적인 사항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로 활용된다.

文章(문장)구성은 天文(천문), 地理(지리), 圖書(도서), 倫理(윤리)의 네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六體(육체) 및 十例(례) 그리고 小序(소서), 序(대서)로 편찬하여 설명하고 있다.

 
 
易經(역경) -周易(주역)
 
유학의 삼대 經典(경전) 가운데 하나인 周易(주역)은 흔히 점을 치는 原典(원전)으로 잘못알고 있다.

물론 점을 치는 原典(원전)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치세상의 지혜가 담겨있는 귀중한 인생의 指針書(지침서)이며

나아가서는 宇宙論的(우주론적) 理學(이학)이기도 한다.

周易(주역)은 글자 그대로 周(주)나라 시대의 (역)이란 말이며 周易(주역)이 나오기 이전에도 여러 가지 書(역서)는 있었다.

夏(하)나라때는 連山(연산역), 殷(은)나라 때의 歸藏(귀장역)이란 역이 있었으나

지금은 전하여 지지않고 周(주)나라때 (역)인 周易만 전한다.

 
1,(역)의 뜻
(역)이란 바꾼다 또는 바뀐다 라는 뜻이다. 내가 너가 되고 너가 내가 되는 것 처럼 서로 바꿔 본다는 뜻이기도 한다.

나라와 나라 사이의 물물교환을 交易(교역)이라하고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하는 것을 變易(변역)이라고 한다.

天地自然(천지자연)의 현상이나 인간의 운명은 일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항상 바뀌는데 이 바뀌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 다름아닌 (역)이다.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여름이 지나가면 겨울이 되는 것은 자연의 變易(변역)이다.

아기가 자라면 어른이 되고 勢道家門(세도가문)도 10년이 지나면 기울어진다는 것은 人事的(인사적) 變易(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의 원리는 천지자연의 변역의 원리 인사적인 변역의 原理(원리)로서

相對的(상대적)인 뜻에서 바꾸어 볼수 있는 交易(교역)의 原理(원리), 형과 아우의 위치를 바꿀수 없는 不(불역)의 원리가 있다.

이 모든 원리를 서술한 책이 周易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 외에도 (역)의 다른 해설인 日月說(일월설)에 의하면 해(日)와 달(月)의 合成文字(합성문자)로 해석되며

해는 陽(양) 달은 陰(음)을 뜻하는 바 陰陽說(음양설)로 풀이된다.

내가 오늘 처해 있는 현실이 어제의 현실일수는 없고 오늘의 현실이  내일의 현실일수는 없다.

내일 내가 맞이할 현실은 어떤것일까? 더욱 미래에 내 앞에 전개될 현실은 과연 어떤 것일까?

易經(역경)은 이 문제를 뚜렷하게 제시해주고 있다.

勤勉(근면)하고 誠實(성실)하며謙遜(겸손)하게 살면 밝은 내일을 맞이 할수 있다고 가르쳐 주고 있다.
(역)은 相對性理論(상대성이론)이면서 一元的(일원적) 二元論(이원론)이기도 하다.
우리의 일상생활과 비교해서 설명하면 사람으로서는 남자와 여자,

인심으로서는 착한마음과 착하지 못한 마음, 어떤 사물로 친다면 吉(길)과 凶(흉),

공부하는 방법으로 친다면 窮理(궁리)와 盡誠(진성)등으로 해석되는 것이니

온 천지 모두가 이 상대성원리에 적응된다고 할수있다.

 
2, 時代的(시대적)으로 考察(고찰)한 주역의 구성
의 起源(기원)은 멀리 伏羲氏(복희씨)가 河圖(하도)를 발견하고 始劃八卦(시획팔괘)하여 數(수)의 기원과

陰陽原理(음양원리) 및 五行(오행)의 相生相剋關係(상생상극관계)을 알았을 때라고 할수 있으나

그 때는 문자가 없었던 시대였으므로 지금 처럼 발달된 역서가 있지 않고 기록으로 남은 것이 없다.

(역)의 발달과정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連山(연산역)...夏(하)나라 神農氏(신농씨) 시대에 잇던 (역)으로서 艮卦로부터 시작되고

산에서 구름이 나오듯 連綿(연면)하여 끊임이 없다는 뜻이 담겨있다.

歸藏(귀장역)...殷(은)나라 皇帝(황제) 시대에 있던 으로서 坤卦(곤괘)로부터 시작하고 

만물은 흙에서부터 생겨나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이는 주로 의학에 應用(응용)되였다고한다.

周易(주역) ...周(주)나라 文王(문왕) 시대에 오늘과 같은 주역이 있었는데 乾卦(건괘)로부터 시작하고

우주에 周流(주류)하여 변화하며 고정되지 않고 만물에 두루 미치지 않음이 없다는 뜻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발전된 내용을 살펴보면 周易(주역)은 四大聖人의 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분들이 주역에 미친 내용은 다음과같다.
1), 약 5000년 전에 伏羲氏(복희씨)의 또는 包犧氏(포희씨)라고 하는 사람이 始劃八卦(시획팔괘), 즉 처음으로 八卦(팔괘)를 찾아냈다.
2), 文王(문왕)이 탄생하여 伏羲氏(복희씨)의 八卦(팔괘)를 보고 만물의 이치를 알수 있었는데

이때에는 이미 문자가 잇었으므로 後生(후생)을 위하여 卦辭(괘사)를 써서 일차적인 해석을 했다.

3), 文王(문왕)의 둘째 아들인 周公(주공)이 탄생하여 아버지 文王(문왕)의 글을 보고

또다시 爻辭(효사)를 써서 6단계로 2차적인 해석을 부쳤다.

4), 孔子(공자)께서 나시어 3차적인 해설로 十翼(십익)을 달있는데 十翼(십익)은 유일한 孔子 (공자)의 저서이며

길이 후세에 남아 비추는 儒學(유학)의 眞髓(진수)라고 할수 잇다.

이와 같이 周易(주역)은 사대성인의 글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문장이 孔子(공자)의 글이기 때문에

주역은 공자가 집대성하였다고 말하며 이 十翼(십익)속에서 우리는 공자의 성인된 바를 찾아 볼수 있으며

또한 공자의 우주관 사물관 주역관을 알수 있다.

後世(후세)사람들이 孔子(공자)를 일컬어 繼往聖開來學(계왕성개래학)하신 功(공)이 있다고 하는바

이 말의 근원은 곧 孔子(공자)께서 十翼(십익)을 만들어 미래의 학문을 열어 창생을 구제하도록 하신 공적 때문이다.

또한 공자님도 韋編絶(위편삼절)인데? 라고 하며 주역의 難解(난해)함을 비유하고 있으나

이말은 결코 그런 뜻이 아니라 孔子(공자)께서 十翼(십익)을 연구하여 後學(후학)들에게 쉽게 알려주려고 고심한 결과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많이 연구하였다는 뜻일 것이다.

 
이와 같은 周易(주역)을 구조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周易上卷(주역상권)- 乾卦(건괘)에서 離卦(이괘) 까지 30괘.

2) 周易下卷(주역하권)- 咸卦(함괘)에서 未濟卦(미제괘)까지 34괘.

3) 주역 繫辭傳(계사전)상하경 24장 說卦傳(설괘전), 序卦傳(서괘전), 雜卦傳(잡괘전)
이상의 세부분으로 나누어졌으니 이것은 三極之道(삼극지도)나 三才(삼재), 곧 天地人(천지인)의 원리를 내포하고 있다.
 
十翼(십익)이란 10번의 解說(해설)이란 뜻이다.

일찍이 孔子(공자)님께서 刪詩書(산시서)하고 定禮樂(예악)하며 贊周易(찬주역)하고

修春秋(수춘추)하며 ......라 하였는데 贊周易(찬주역)이 곧 十翼(십익)을 뜻하는 말이다.

다른 서책은 정리정돈 하였으나 周易만은 도와서 설명을 첨가시켰다는 뜻이니 곧 열 개의 날개를 달아서 더욱 빛나게 하였다는 것이다.

사실 周易의 내용을 살펴 볼 때 공자의 十翼(십익)이 없다면 그 내용을 이해하기 매우 어려울 것이며

아무리 연구를 해도 잘 모르는 부분이 너무나 많을 것이다.

이런 어려운 이치를 공자께서 한번도 아닌 10번이나 최선을 다해서 해설하여 알기 쉽게 풀이 하였으니

참으로 그 노고와 후학을 위한 聖人(성인)의 厚意(후의)에 무한한 감사를 드릴뿐이다.

그와 같이 孔子(공자)의 십익은 다음과 같다.

1), 64괘중에 彖辭(단사)  卦象辭(괘상사)  爻象辭(효상사)  乾卦(건괘)의 文言傳(문언전)坤卦(곤괘)의 文言傳(문언전)의 5 가지.
2), 繫辭傳(계사전)으로서 上 12장 12장 說卦傳(설괘전) 序卦傳(서괘전) 雜卦傳(잡괘전) 5가지를 합하서 十翼(십익)이라 한다.
3, 周易(주역)의 內容(내용)
周易(주역)이 담고 있는 무한한 내용을 잘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첮째: 周易은 宇宙大自然(우주대자연)의 理致(이치)를 담고 있다.
太陽(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돌고 있고 지구를 중심으로 지구의 위성인 달이 돌면서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지구는 다른 위성과의 균형있는 천체운동을 한치의 오차도 없이 억겁의 세월 동안 계속 하고 있다.

주역은 이와 같은 원리와 法則(법칙)을 기록한 것으로 지구의 변화 달의 변화 나가서 천체의 변화로서

우리 人間(인간)변화의 이치를  알아  보자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은 우주대자연학 이라고 할 수 있다.
1년이 4계절 춘하추동으로 운행되며 또 1년이 12개월 24節侯(절후) 360일을 1주기로 운행하며 그 기본 단위가 1候(후)인데 1후는 5일이다.

시골의 장이 5일만에 서는 것도 이 자연원리를 잊지 않도록 하기위서 만들어진 제도이다.

이와 같이 理(역리)는 하늘과 땅사이에 있는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이치라고 할수 있다.

 

둘째: 周易(주역)은 經典(경전) 중에서 가장 으뜸인 경전이다.
周易(주역)의 학설은 四書(사서삼경) 가운데 최고의 학설로서

모든 경전의 내용을 집대성한 東洋理學(동양이학)가장 심오한 학문이라고 한다.

 
셋째: 周易(주역)의 중심사상은 中正思想(중정사상)또는 中正之道(중정지도)이다.
우리가 中이라고 하는 것은 至公無私(지공무사)하며 精一(정일)한 정신으로

至善(지선)의 경지 无思无爲(무사무위)한 경지에 드어간 경지를 말한다.

주역을 공부하는 것은 중정지도를 알기위한 것이니

우리나라 서원의 본당을 中正堂으로 명명한 곳이 많은 것도 中正(중정)을 지닌 높은 뜻 때문이다.

 
넷째: 주역은 훌륭한 과학이다.
주역의 수학은 2진법이다.

따라서 小成卦(소성괘)가 八卦(팔괘)이니 현제 컴퓨터의 원리로 보면 8비트로부터 16비트. 32비트로 발전하여

大成卦(대성괘)인 64비트로 확대해 나가게 되는데 주역은 곧 64비트 컴퓨터라고 할수 잇다.

또 遺傳工學(유전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명제인  DNA는 이중 나선구조로 되어있고 그 종류는 주역의 64괘인 64종류밖에 없는 것이다.

헤르만 햇세(독일)- 주역은 超科學的(초과학적)인 진리가 담겨저 있는 위대한 경전이다라고 극찬 하였으며

아인슈타인(미국)은 상대성원리로 노벨평화상을 탄 위대한 물리학자인 그가 중국에서 7년간이나 周易(주역)공부를 하였다고 한다.

  
4, 周易(주역)의 연구방법
우주대자연의 이치에 따라 우리 인간이 태어났고 또 그 이치에 따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周易은 自然學(자연학)이요, 人間學(인간학)이요, 事物學(사물학)이기 때문에

周易(주역)의 이치 속에 인생의 모든 이치가 들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주역을 공부하는데 2가지 방법이 있다.
1), 窮理工夫(궁리공부)- 흔히들 윤리학에서 말하는 演繹法(연역법)과 같다.

주역을 연구할 때 太極(태극)에서 兩儀(양의)에서 八卦(팔괘) 곧 道學(도학)의 방향으로 연구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周易 속에는 五行(오행)이란 말은 한군데도 찾아 볼 수가 없다. 그러나 道學(도학) 속에 오행이 들어 있다.

주역은 도학을 바탕으로 한 術(술) 즉 道術(도술)이라야만 하지

만일 그렇지 못하면 물욕에 흘러서 永久不變(영구불변)한 진리로 남을 수 없을 것이다.

옛날 連山易(연산역)이나 歸藏(귀장역)이 術數(술수)로 흘렀기 때문에 現存(현존)하지 못하게 되었는지 모른다.

2), 盡性工夫(진성공부)- 이는 歸納法(귀납법)과 같으며 우리가 말하는 敬(경), 觀(관)공부이고 4차원이상의 세계로 나가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불교에서 말하는 참선과 같은 것이다.

천갈래 만갈래 많은 잡된 생각을 하나로 뭉쳐 정신통일 하는 歸一法(귀일법)을 말한다.
사람은 태어날 때 至善(지선)의 性品(성품)을 타고났는데 이 至善(지선)의 경지로 들어가는 本性(본성)을 찾는 工夫(공부)를 말한다.
 
이상과 같은 이 두 가지 방법에서 우리는 어느 한가지라도 소홀이 해서는 아니되며 함께 병행하여야 하나

아마도 窮理工夫(궁리공부)가 先行(선행)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窮理(궁리)의 바탕 위에 盡性(진성)이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陰陽(음양)이 상호 맞물고 돌아가는 것과 같은 것이다.

聖賢(성현)들이 공부하는 방법을 살펴보건대 우선 宋朝六賢(송조육현)의 한사람인 朱子에 대해서 알아보면

그는 半日(반일)은 讀書(독서)하고 半日은 危坐(위좌)하였다니 이말은 반나절은 독서공부와 窮理工夫를 하였다는 말이고

나머지 반나절은 盡性工夫를 하였다는 뜻이다.

또 한분 우리 한국사람을 소개하면 舊韓末(구한말) 純祖(순조)때 李書九(이서구)라는 분이 있었는데

本貫(본관)은 全州(전주)이며 雅號(아호)를  齋(척재)이고 임금님이 내리신 諡號(시호)는 文簡公(문간공)이다.

이 분은 蔡沈(채침)이 지은 書經序文(서경서문)을 9만 번이나 읽었다고 이름을 書九(서구)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미래를 豫知(예지)할만한 어떤 경지에 이르렀다고 하니 과연 아무리 짧은 문장이라고 하나 9만 번을 읽었다고 하는 것은

後世(후세)에 길이길이 남을만한 일이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소학(四字小學)  (0) 2012.12.28
행복한 가정이란  (0) 2012.12.21
보다 건강하고 오래살려면   (0) 2012.11.24
명언 모음  (0) 2012.09.14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만남입니다.  (0) 2012.09.11

 

中庸 인간의 맛 (도올 김용옥)

 

도올. 과거에 TV 채널 돌리면 가끔 만났던 분.
노무현 정부때 송유관에 대해 이야기하며 정부 정책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한 내용 외엔

중 같은 노인네..그저 쇳소리 나는 유명한 노인네 정도로 생각했는데...
나꼼수에서 들은 시원시원한 발언에서 호감을 얻어 그의 책을 읽어 보자고 덤벼 들었다

그런데 해석을 잘 해 놓았는데도 어렵다.


 

내가 서구적 개념으로서의 진보주의자이기를 거부하는 이유는

"진보"라는 말의 배면에는 역사 정칙주의의 극심한 빈곤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나는 역사를 "진보"라는 관점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나는 역사를 "중용"의 관점에서만 바라본다.

역사 정칙주의라는 것은 인류 역사의 미래를 확정적으로 예견할 수 있다는 모든 망상을 의미한다.

물론 맑시즘이나 공산주의도 그러한 망상의 한 전형이다.

기독교 종말론의 사관이나 헤겔의 변증법적 사관 또한 그러한 망상의 전형임에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중용"이 자유와 평등의 "가운데"일 수는 없다.

"중용"은 오직 자유와 평등을 포섭하는 가치로서만 우리의 심성에서 꽃을 피운다.

미국은 땅이 텅텅 비어있는데 반해 중국은 전 땅 덩어리가 사람들로 꽉 차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꽉 차있는 것은 사람뿐 아니라 역사라는 것이다. <중략> 그런데 비하면 미국은 신생국가이다.

어디에든지 위대한 자연은 있는데 위대한 역사의 흔적은 찾을 길이 없다.

 


안타깝게도 지구상의 인류는 행복의 기준을 자율적 결단 하에 묶어두지 못하고

주어지는 외재적 대세에 맡겨버리는 뜬구름의 세상을 살고 있다.

미국이나 한국의 경우, 정치권력의 최고지도자를 최대공약수로서의

자유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하는 민주제도를 정착시킨 나라들이지만,

그 결과로 선출된 리더십의 질이 끊임없이 하락하고 있다는 현실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는 데 반하여,

오히려 그러한 민주제도의 소모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주기적인 리더십을 교체하는 방식을 채택한

중국의 경우 리더십의 일정한 퀄리티가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시인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더구나 최고의 권력자라 할지라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9명의 집단지도체제의 견제를 무시할 수는 없다. <중략>

우리나라 사람들이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은,

중국의 "공산당"은 "당"이라는 명사가 붙어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본질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당Party"과는 전혀 차원을 달리하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중략>

중국 공산당은 국가권력을 초월하는 권력이며 이념이며 당위이다.

따라서 재미있는 사실은 중국의 군대는 "당군"이지 "국군"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개혁과 개방에 의하여 경제발전이 진행되고, 일정소득수준 이상의 계층이 의미있는 비율로 증가하고,

다양한 사회집단간의 관용의 요구가 고조되면, 다수의 참여에 의한 정책결정을 선호하는 방식으로

비권위주의적 지향성이 생겨날 수밖에 없다.

도대체 순대까지 대기업이 독점하는 사회, 거기서 우리 국민이 얻을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제 몸 버려가면서 물건 싸게 사서 무엇하겠다는 것인가?

'중용'을 읽고 "일상적 삶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사람은 결코 '중용'을 읽지 않은 것이다.

과연 그런가 아니 한가? 이 책을 다 읽은 후에 다시 한 번 자기의 삶을 반추해보라!

 



제 1 장 천명장 天命章

天이 命하는 것, 그것을 일컬어 性이라 하고,
性을 따르는 것, 그것을 일컬어 道라도 하고,
道를 닦는 것, 그것을 일컬어 敎라고  한다.

도라는 것은 잠시라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
도를 만약 떠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君子는 보이지 않는 데서 계신(戒愼)하고 들리지 않는데서 공구(恐懼)한다.

숨은 것처럼 드러나는 것이 없으며, 미세한 것처럼 잘 나타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있음을 삼가는 것이다.
喜努哀樂이 아직 발현되지 않는 상태를 中이라 일컫고,
그것이 발현되어 상황의 절도에 들어맞는 것을 和라고 일컫는다.
中이라는 것은 天下의 큰 근본이요, 和라는 것은 천하사람들이 달성해야만 할 길이다.

中과 和를 지극한 경지에까지 밀고 나가면 天과 地가 바르게 자리를 잡을 수 있고,
그 사이에 있는 만물이 잘 자라게 된다.

 

"중용"에 대한 가장 큰 일반인들의 오해는

그것이 우리의 삶의 자세에 있어서 어떤 행동규범상의 "가운데"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는

근거없는 통념관한 것이다.

나는 좌파도 아니고 우파도 아닌 중용의 길을 걸어가겠다고 호언하는 것은

결국 회색분자도 안 되는 소인배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중용"은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 문제의 핵심을 도피하거나,

적당한 타협을 유도하거나, 이것도 저것도 아닌 우유부단한 머뭇거림의 비겁한 방평을 제시하는

그런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공자나 자사는 그러한 "중용"을 말한 적이 없다.

대개 그러한 "중용"의 개념은 서양철학에서 온 것이며,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Ethica Nicomachea'을

가득 메우고 있는 언어에 대한 피상적 이해로부터 온 것이다.

 

서구인들이 말하는 삶의 의미는 진정한 삶의 의미가 아닐 수도 있다.

인간을 순수하게 방치하지 못하고

그것에 반드시 어떤 의미를 부여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논의는 기실 알고보면 인간을 체제나 신화의 질곡 속에 예속시키기 위한 음모이다.

 

우리는 '니코마코스윤리학'을 읽을 때도 "행복 eudaimonia"이라는 말을

현대인들의 심리적 개념으로 전적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행복"은 "기분좋게 몽롱한 심적 상태 a mental state of euphoria"가 아니다.

대개 현대인이 "행복하다"는 말을 쓸 때는 애인을 만나 몽롱하게 기분좋거나,

상을 받아 흥분되었거나 하는 심리적 상태를 표현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유다이모니아"는

심적 상태가 아닌, "성공적 삶"을 말하는 것이다.

그것은 정적인 상태가 아닌 동적인 활동 dynamic activity이다.

 

인격적 훌륭함이란 습관 ethos의 축적된 결과로 생겨나는 것이다.

윤리적ethike이라는 말은 습관ethos이라는 말의 형용사형이다.

윤리와 습관은 같은 어원을 가지는 말이다. <중략>

용감한 사람이 되는 것은 용감한 행위를 계속해버릇함으로써

그러한 습성hexis이 생겨나고 그러한 성격상태가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중용"이란 이런 것이다.

용기는 비겁과 만용의 중용이며,

<중략 ... 이후 YY란 XX와 ZZ의 중용이며라는 식의 패턴 반복>

용기라는 덕목 자체가 우리가 삶의 체험 속에서 느낄 수도 있고,

사회적 공감 속에서 어느 정도의 개념적 공통성을 가질 수도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근본적으로 이렇게 실체적으로 취급될 수는 없는 것이다.

더구나 비겁과 만용의 중간항이라는 양적, 직선적 비교의 대상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중략>

어떤 때는 비겁한 듯이 보이는 행동이 용기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상황에서는 만용이 위대한 용기의 전범이 될 수도 있다. 


공자의 근원적 관심은 "인仁"에 있었으며,

"인"이란 주어진 삶의 상태를 감지하고 결단하는 심미적 감수성이며,

그것은 근원적으로 상황적이며 역동적인 것이다.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왕위를 전할 때 "윤집궐중允執厥中"이라는 이 한마디로써

치세의 모든 방편과 적통성을 부여하였다고 말한다.

그 뜻인즉 "진실로 그 중中을 잡아라!"라는 것이니,

그것은 중화민족의 대헌장과도 같은 것이다.

모세에게 배타적인 유일신관의 십계명을 내림으로써 살육적이고 복종강요적이며

독선적인 팔레스타인의 역사를 지어낸 야훼의 언설에 비하면

참으로 포용적이고 상황적이고 화평한 높은 격조의 인문세계 언설이라 할 것이다.

 


주희가 불교를 통하여 인도-유러피안어계의 사유구조를

부지불식간에 흡수한 결과로 명료하게 드러나는 것이지,

결코 중화민족의 본래적 사유 패턴으로 간주할 수는 없는 것이다.

주희의 배불排佛은 이미 불교적 사유의 바탕 위에 서있다.

주희의 도학은 "유교의 불교화"라고까지 혹평할 수도 있다.

 

 

"대大"는 분명하게 사람이 손발을 벌리고 있는 정면상임에 분명하다.

사람을 옆에서 본 측면상이 "인人"이라는 글자인데,

사람을 옆에서 본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거리를 두고 보는 것이기 때문에

위압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앞에서 정면으로 보면 그 사람에 대하여

위압감을 느끼게 되며, 더구나 북면하는 신하가 남면한 왕을 대할 때는

그의 마제스틱한 거대함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사람의 정면상이 "크다"는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맹자도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사람이 동물과 다를 바가 거의 없다."

인간중심의 편견을 벗어날 때,

대자연의 모든 개체는 무한한 성性의 깊이를 가지고 나에게 다가온다.

돌멩이 하나에도 매우 복잡한 성의 구조가 있다.

이것은 도道, 유儒의 차별적 세계관의 문제가 아니다. <중략>

서양언어는 예외없이 "휴먼 네이쳐human nature"가 된다.

다시 말해서 "성性"은 "nature" 이외에 다른 적당한 말이 없다.

그런데 "nature"는 분명히 동시에 문명이 아닌 대자연 혹은 천연의 자연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nature"는 "본성"과 "자연"을 항상 동시에 의미한다. <중략>

희랍인들에게 있어서 자연이란 생명이 없는 무기물의 집합체가 아니라

생명원리로서의 혼(푸쉬케psyche)을 그 자체에 내포한 유기적 자연이었다. <중략>

"퓌지스"가 로마와 중세 그리스도교 세계에 와서 "나투라natura"로 번역되었는데,

그것도 "퓌지스"와 똑같이 "태어난다"는 의미의 "나스코르nascor"라는 동사에서

유래되었으며 "퓌지스"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기독교 세계관에 오게 되면

신과 인간과 자연은 완전히 계층적으로 분리된다.

신은 초월자로서 자연에 내재하지 않는다.

자연은 신의 창조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가 아닌 것으로 인식된다.

인간과 자연은 신에 의하여 따로 따로 창조된 것이며, 인간은 자연외적 존재로 소외된다.

 

 

공자는 '공자가어'의 '예운'에서 다음과 같은 유명한 얘기를 했다. 
"도대체 인정 즉, 사람의 감정이라는 게 무엇이냐?

그것은 기뻐하고, 노여워하고, 슬퍼하고, 두려워하고, 사랑하고, 증오하고, 욕심내고

하는 일곱 가지 감정인데, 이것은 인간이 배우지 않고서도 매우 잘하는 것이다." 
"불학이능弗學而能"이라는 말이 매우 중요하다. <중략>

희,노,애,구,애,오,욕,의 칠자야 말로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하늘이 명하는 것"의 진실이었던 것이다. <중략>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우리는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인간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제해온 서구적, 근대적 모든 인간관의 편견을 근원적으로

"메타노이아" 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중략>

공자-자사가 말하는 "인정人情"이라고 하는 것이

과연 칸트가 말하는 저급한 감각소여 수준의 감성Sinnlichkeit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중략>

이성은 오히려 인간 삶의 가장 초보적인 당위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중략>

경영수학의 도사라고 하는 자들 중에는 아마 나라를 말아먹고

세상을 미혹케 하는 그런 야망에 불타있는 광인이 무수히 많은 수도 있다. <중략>

이성이라는 것은 섬세한 인간의 감성적 판단에 구체적으로 관여하지 못하는

한에 있어서는 한낱 레토릭에 지나지 않는다. <중략>

공자-자사가 말하는 인정이란 칸트가 말하는 감성,오성,이성을 통섭하는

보다 포괄적이고 보다 능동적이며 보다 최종적인 판단의 기능일 수도 있다.

인간을 교육한다고 하는 문제는 이성만을 배양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을 포섭하는 심미적 감수성을 배양하는 것이다.

그 감수성을 공자-자사는 "인仁"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인"이란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말하는 것이다. <중략>

동방인이 말하는 "정"이란 개념은 반드시 "대의大義"와 관련이 있다.

정은 의를 구현치 못하면 온전한 정이 되지 못한다


"도라는 것은 정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며, 정이라는 것은 성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다.

도의 시작은 정에 가까운 것이다.

그러나 학습을 거쳐 완성되는 종착지는 의에 가까운 것이다." <중략>

"솔率"에는 선택의 의미가 들어가 있다.

"길"이라는 것은 반드시 선택되어 반복적인 습성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선택된 길은 계속 끊임없이 사람이 다니고 보수공사를 해야만 유지되는 것이다.

<중략>

"수도修道"의 과정을 자사는 "근정近精"에서 "근의近義"로 가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인간을 교육시킨다고 하는 문제는 결코 이성적 인간을 만드는 데만

그 목적이 있지 아니 한다. 이성은 상식이다.

우리가 배양해야 할 것은 정감精感의 윤리성과 심미성이다.

심미적 감성을 결여한 윤리는 독선적이고 맹목적일 수 있으며,

윤리적 당위를 결여한 심미는 나른하고 자기기만적일 수 있다. <중략>  

서양의 20세기에 유일하게 형이상학적 체계를 구축한 화이트해드가

'교육의 목적 The Aims of Education'이라는 일문을 어떻게 시작하고 있는지를 한번

살펴보는 것도 매우 유익할 것이다.

"문화라고 하는 것은 사유의 활동인 동시에 아름다움과 인간적 느낌에 대한 감수성이다.

평범한 이성적 정보의 더미들은 이 문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아주 정보에 밝기만 한 유식자는 하나님이 만든 이 지구상에서

가장 쓸모없는 지루키만 한 인간을 수도 있다.

우리가 교육을 통해 배양하고자 하는 목적은

특정한 방향으로 발양되는 문화와 전문적 지식을 동시에 소유하는

훌륭한 인간을 양육하는 데 있다."


성, 도, 교 중에서 도를 주어로 삼아 이야기한 것은,

성性을 자연Nature라 하고

교敎를 문명Culture이라 한다면

도道는 그 중간자적 위치에 있으면서 그 양자를 통섭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도라는 것은 자연과 문명을 매개하며, 존재Sein와 당위Sollen를 통합한다. <중략>

종교는 안 믿으면 그만이고, 교회는 안 나가면 그만이다.

"그만이다"라는 말은 곧 신앙의 대상은 항상 나를 떠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자사는 말한다: "도는 잠시라도 떠나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하나님은 잊을 수 있지만, 도는 잊을 수가 없다.

하나님은 떠나 있을 수 있지만 도는 떠나 있을 수가 없다.

왜냐? 떠나 있으면 그것은 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중략>

도는 수유라도 나에게로 떠날 수가 없다.

도가 곧 나이기 때문이다. 내가 나를 떠날 수 없듯이, 도는 도인 나를 떠날 수 없다.

도는 나의 삶의 밖에 있는 어떤 존재가 아니라,

나의 삶의 활동 그 모든 것에 내재하는 것이다.

도Dao를 영어로 "the Way"라고 번역하지만,

"웨이way"는 길인 동시에 "방법method"을 의미한다.

도는 나의 "삶의 길"인 동시에, 내가 "살아가는 방법"이다.

하나님은 믿음의 대상이지만 도는 믿음의 대상이 아니다. 나의 존재의 방식이다.

도는 내가 살아있는 한에 있어서는 나의 몸, 그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다.

하나님이나 예수님을 믿는 것은 쉴 수가 있고, 교회 나가는 것도 쉴 수가 있고,

기도나 성경공부도 쉴 수가 있는 것이지만, 도는 쉴 수가 없는 것이다.

삶의 모든 순간에 내재하는 것이다. <중략>

하나님은 요청의 대상이 아니라 내 몸에 내재한다. 아니 내 몸 그 자체이다.

내 몸의 모든 활동에 있어서 도를 구현할 때

하나님은 요청의 대상으로서의 필요가 없이 자연스럽게 내 몸에 구현되는 것이다.

차를 마실 때도 茶道가 있고 주먹질이나 발길질을 할 때에는 跆拳道가 있고,

먹을 때도 먹는 도食道가 있고, 잠잘 때도 수면의 도가 있으며,

섹스를 할 때도 색色道도가 있다. <중략>

하나님을 믿는 것보다 도를 실천하는 것이 훨씬 어렵다.

하나님은 기도라는 언어를 통하여 매개되지만 도는 언어를 매개로 하지 않는다.

몸으로만 전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는 믿는 것이 아니라 닦는 것이다.

도를 닦는다는 것은 곧 몸속에서 하나님을 배양하는 것이다. 하나님을 닦는 것이다.

하나님은 몸속에서 완성되어 가는 그 무엇이다.

하나님은 고정된 존재가 아니고 끊임없이 생성되어가는 과정이다.

하나님은 몸의 고정태가 아니며,

몸의 끊임없는 가치평가the valuation of Mom라고 할 수 있다. <중략>

나의 몸을 하나님화하는 과정은

일차적으로 나 자신에게 부여되는 천명을 홀로, 고독하게 구현하는 것이다.

독하게 구현한다는 것은 나의 존재의 책임을 나 홀로 걺어진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의존의 대상이 되면 하나님이 아니다.

하나님은 나의 몸의 비젼이며 이상태이다.

그것은 자기생성적이며 나의 몸의 과정에 끊임없이 참여하는 가치평가이며

새로움과 탈바꿈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이며 창진이다.

이 모든 과정이 홀로 있을 때,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고독속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중中은 천하의 대본大本이다.

여기 천하라는 것은 천지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인간세human society를 지칭한다.

중은 인간세의 큰 근본이다. <중략>

조화Harmony라는 것은 현실태이기보다는 끊임없이 지향되는 달성의 과정이다.

그것은 부조화의 현실을 인정함으로써만 가능해지는 것이다.

부조화가 없이는 조화가 없다. <중략>

문명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중용"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인간의 자질구레한 덕성태들의 중간항목을 찾아 행복해재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문명에 대한 절제를 통하여 천지와의 조화를 이룩해야만 한다는 당위성 때문이다.

<중략>

자사는 그들의 문명적 행위에 대하여 책임을 묻고 있는 것이다.

센다이 앞바다의 쯔나미도 후쿠시마 원전이 없었다면

그토록 큰 비극을 초래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자연재해보다 인위재해가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그렇다면 원전을 만들지 않고 사는 문명의 방식을 우리는 힘써야 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심성의 문제이며 정감의 문제이며 "중절中節"의 문제이다.


제 2 장 시중장 時中章

중니께서 말씀 하시었다.
"君子는 행위는 중용을 지킨다.
그러나 小人의 행위는 중용에서 어긋난다.
군자가 중용을 행함은 군자다웁게 때에 맞추어 中을 실현한다.
그러나 소인의 중용을 행함은 소인다웁게 기탄忌憚함이 없다.
 

우리가 조심해야 할 것은

공자는 군자와 소인을 치자와 피치자의 관계라든가, 신분의 차이라든가,

부의 소유의 차이에 의하여 외면적으로 구분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공자의 위대성은 인간을 보편적으로 바라보았다는 데에 있다. <중략>

고대사회의 사상가로서는 찾아보기 힘든 덕성이다.

희랍의 모든 사상가는 노예제를 긍정한 위에서 평범한 시민을 이야기한다. <중략>

서양의 보편적 인간관은 실제로 미국의 노예해방 이후에나 이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중략>

소인은 계급적으로 구분되는 특수 인간부류가 아니라,

군자가 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군자가 되지 못하는 인간일 뿐이다. <중략>

군자와 소인은 어디까지나 가변적인 통합개념이다.

군자가 소인이 될 수도 있고, 소인이 군자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군자도 중용을 하고, 소인도 중용을 한다.

그런데 군자의 중용은 무엇이고, 소인의 중용은 무엇이냐?

그 둘은 어떻게 다르냐? 어떻게 구별되는 것이냐?

공자는 말한다.

군자의 중용은 시중時中이고 소인의 중용은 무기탄無氣憚이다.

공자의 언급은 천하에 둘도 없는 명언이라 할 수 있다.


제 3 장 능구장 能久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중용이여,참으로 지극하도다.!
아~사람들이 거의 그 지극한 중용의 덕을 지속적으로 실천하지 못하는구나.!

핵심은 그의 인격에 우러나오는 능구에 있다. 지속할 수 있음에 있다.

지속하지 않으면 그것은 중용이 아니다.

인생의 목표는 영원이나 불멸이나 불사나 불변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언어들은 모두 종교적 언어이며 속임수에서 우러나온 방편적 픽션의 언어들이다.

인생의 진리에 영원불변은 없다. 인간은 죽으면 끝이다.

아니, 죽어도 이름을 역사에 남길 수 있다.

그러나 그것도 영원한 것은 아니다. 결국 잊혀지고 만다. <중략>

그럼 인간이 믿고 살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삶의 "지속태"일 뿐이라고 공자-자사는 말한다. <중략>

지속이란 불변의 아니라, 변화이며, 시간 속에서의 유지를 말하는 것이다. <중략>

공자의 말씀속에는

허황된 진리를 추구하지 말고 구체적인 삶의 지속을 추구하라는 당부가 들어있다.


제 4 장 지미장 知味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道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지,나는 알고 있도다.
지혜롭다 하는 자들은 道를 넘어서서 치달려 가려고만 하고
어리석은 자들은 마음이 천한 데로 쏠려 미치지 못한다.
道가 왜 이세상을 밝게 만들지 못하고 있는지,나는 알고 있다.
현명한 자들은 분수를 넘어가기를 잘하고 不肖한 자들은 아예 못미치고 만다.
사람이라면 누구든 마시고 먹지 않는 자는 없다.
그러나 맛을 제데로 아는 이는 드물다.

과, 불급은 도가 불행하고 불명한 사태에 대한 이유로서만 제시된 것이다.

중용에 대한 적극적인 규정성은 과, 불급이 없는 소극적인 상태가 아니라

바로 "맛을 아는 심미적 경지"에 있다고 본 것이다. <중략>

맛인 예술이나, 인품이나, 문학이나, 과학이나, 논리, 그 모든 것에 적용되는 것으로

매우 경제적인 스타일을 형성하는 심미적 감성이다.

맛을 아는 숙달된 문장가는, 맛을 아는 숙달된 요리사가 음식의 재료를 낭비함이 없이

곧바로 최상의 맛을 내듯이, 단어를 낭비하지 아니한다.

맛을 아는 의상 디자이너는 천을 허비하지 않는다.

맛을 아는 장인은 언제고 주어진 조건에서 최상의 작품을 만들어낸다. <중략>

따라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맛"에 있는 것이다.

어떻게 맛을 아는 인간을 배양하느냐에 문명의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맛"은 "멋"이며, "힘"이다. <중략>

절제없는 맛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중략>

맛은 인간의 몸과 마음의 궁극적 도덕성이다. <중략>

맛은 시중이다. 맛은 전문가의 특권이다.

다시 말해서 수신의 결과로서만 달성되는 것이다. <중략>

맛은 교육의 정점이며, 교육의 특수성과 일반성을 통합하는 것이다.

맛은 전문성을 문명에 제공하는 끊임없는 문화이다.


제 5 장 도기불행장 道基不行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아~진실로 道가 행하여지질 않는구나.!


인간은 욕망의 주체이기 전에 도덕의 주체이며,

원죄의 불완전한 존재이기 전에

완전 즉 성聖의 가능성을 내포한 하학이상달의 위대한 존재이다. <중략>

우리가 재건해야 할 철학은 인간의 정면을 바라보는 것이다.

인간을 신성한 존재로서 재건설하는 것이다. <중략>

인간을 온전한 생명으로서 바라보는 것이다.


제 6 장 순기대지장 舜基大知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순임금은 크게 지혜로우신 분이실진저.!
순임금께서는 무엇이든 묻기를 좋아하셨고 비근한 말들을 살피기를 좋아하셨다.
사람들의 추한 면은 덮어주시고 좋은 면은 잘 드러내주시었다.
어느 상황이든지 그 양극단을 모두 고려하시어 그 中을 백성에게 적용하시었다.
이것이 바로 그분께서 舜이되신 까닭이로다. 

권력은 긍정적인 창조의 맥락에서 발휘되어야지

부정적인 콘트롤의 맥락에서 발현되면 안된다. <중략>

지라는 것은 인식론적 탐구라기보다는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실천적 앎이다.

앎이란 물론 나 이외의 환경세계에 대한 탐구를 내포한다.

앎은 나 자신에 대한 앎과 나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앎을 포섭하는 것이다.

그런데 앎의 방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덕성은 호문好問이다.

호문이란 앎이라는 행위에 있어서 나의 존재를 규정하는

모든 격식을 타파하고 겸손하게 가슴을 여는 것이다.

지식은 선험적인 것으로 다 충족되지 않는다.

서양사람들이 "선험적 형식"을 중시하게 된 것은

그들의 지식추구방식이 실천적 앎에 관한 것이 아니라

앎 그 자체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였기 때문이다.

"호문"이란 끊임없이 가슴을 열고 타인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다. <중략>

묻되 형이상학적 현리에 심취하지 말고

가깝고 비근한 실생활의 말들을 살피기를 좋아하라! <중략>

남들보다 대학교를 10년 더 먼저 나온다 한들,

10년 더 발리 학문이 성취되는 것도 아니요,

10년만큼 더 많이 이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1년 더 빨리 출세하는 것도 아니다. <중략>

어떤 질문 즉 태제가 제시되면 그것에 관련된 모든 양극적,

대척적 상황을 다 충분히 고려해본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중용이란 양단의 중앙이 아니라,

모든 극단의 상황들을 충분히 고려해보고 그 숙성된 상황변수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결단이라는 뜻이다.


제 7 장 개왈여지장 皆曰予知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세상사람들이 모두 나를 보고 순임금처럼 지혜롭다고 말하는데,
나를 휘몰아 그물이나 덫이나 함정 속으로 빠뜨려도
나는 그것을 피하는 방법도 알지 못한다.
세상 사람들이 나를 지혜롭다고 말하는데
나는 중용을 택하여 지키려고 노력해도
불과 1개월을 지켜내지 못하는구나. 

인간의 가치는 끊임없는 향상向上에 있다.

 

제8장 회지위인장回之爲人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안회의 사람됨이란,항상 중용을 택하되 하나의 善한 일이라도 깨닫게 되면,
그것을 진심으로 고뇌하면서 가슴에 품어 잃는 법이 없었다.

 

仁이란 감성적 섬세함Sensitivitv이다.

체험속에서 우러나오지 않는 원리는 원리의 자격이 없다.

그것은 공허한 형식으로 머물뿐이며,실천의 실체적 준거가 되지 못한다.

작은 선이라도 지나치지말자.

그리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시중을 발현하자.그리고 능구하자.

 

제9장 백인가도장白刃可蹈章

공자께서 말씀 하시었다.
천하국가란 평등하게 다스릴 수도 있는 것이다.
높은 벼슬이나 후한 봉록도 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서슬퍼런 칼날조차 밟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中庸은 能하기 어렵다.


제 10 장 자로문강장 子路問强章

子路가 强에 관하여 공자님께 여쭈었다.
공자께서 대답 하시었다.
그대가 묻는 것이 남방의 强을 가리키는가? 북방의 强을 가리키는가?
그렇지 않으면 그대 자신이 지향하는 强을 가리키는가?
너그러움과 유순함으로서써 가르쳐주고
無道함에 보복하지 않는 것이 남방의 强이니,
군자가 이에 居한다.
병기와 갑옷을 입고 전투에 임하여 죽더라도 싫어하지 않는것은 북방의 强이다.
네가 말하는 强者는 결국 여기에 居하겠지.
그러므로 군자는 화합하면서도 흐르지 않으니
아~그러한 强함이야말로 진정한 강함이로다.
가운데 우뚝서서 치우침이 없으니,
아~그러한 强함이야말로 진정한 강함이로다.
나라에 도가 있어도 궁색한 시절에 품었던 지조를 변하지 아니하니,
아~그러한 强이야말로 진정한 강함이로다.
나라에 도가 없어도 평소에 지녔던 절개를 죽음에 이를지언정 변치 아니 하니,
아~그러한 强이야말로 진정한 강함이로다.!

용기있는 사람들은 흐르는 경향이 있다.

용기도 반드시 화和를 전제로 해야만 진정한 용기가 된다는 것이다.

결국 공자는 용기를 중용의 맥락 속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제 11 장 색은행괴장 索隱行怪章

결국 상식적 일상언어로 환원되어야 하는 것이다.

마치 그 속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뛰어넘는 비밀이 들어있듯이

색은하는 것은 우매의 소치일 뿐이다. <중략>

자연스럽게 알려지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억지로 알리기 위하여 온갖 지랄발광을 하다보면

근원적으로 사회모랄을 파괴하는 짓까지 서슴치 않게 된다.


제 12 장 부부지우장 夫婦之愚章

사람은 단독자로서의 인人이 아니다.

인간人間일 수밖에 없다.

인이 되기 위해서는 수없는 간(사이)이 필요한데,

그 간을 요약하면 오륜의 간이 된다는 것이다.


제 13 장 도불원인장 道不遠人章

모든 존재에 관한 법칙이 그 존재 자체에 내재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중략>

우주의 법칙은 우주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지, 우주 밖에 있는 어떤 존재가

그 법칙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중략>

도끼자루를 자르는 법칙이 도끼자루 자체에 내재하듯이,

"사람을 다스린다"하는 그 모든 법칙이 사람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 안에 있는 것이다. <중략>

스스로 고치기만 하면 더 이상 다스리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스림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자발적 개선을 목표로 해야 한다. <중략>

공자는 서恕를 말했지 충忠을 말하지 않았다.

서라는 것은 문자 그대로 여심如心이며,

나의 마음을 타인의 마음에 이입하여 같이 느끼는 공감 상태를 의미한다.

공자는 인仁의 본질인 서에 있다고 보았다.

서라는 것은 실제로 요새말로 하자면,

인간에 대한 사랑이며, 보편적인 가치관이며, 인류애를 의미한다. <중략>

우리가 깨달아야만 할 중요한 인간학적 사실은

아가페를 빙자한 사랑의 폭력에 관한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타인도 좋아한다는 보장이 없다. <중략>

대부분의 기독교국가 제국주의가 개발도상 국가들에게 이런 짓을 해온 것이다.

사랑은 나를 기준으로 하는 "베품"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중략>

공자-자사는 언행일치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단지 언은 행을 돌보고 행은 언을 돌보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중략>

언은 언 자체로 독자적 가치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행으로 연결될 때만이 참다운 의미를 지닌다고 보는 것이다.


 


제 14 장 불원불우장 不怨不尤章

군자는 그 자리에 처하여 그 자리에 합당한 행동에 최선을 다할 뿐,

그 자리를 벗어난 환상적 그 무엇에 욕심내지 않는다. <중략>

오직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할 뿐, 타인에게 나의 삶의 상황의 원인을

구하지 아니 하니 원망이 있을 수 없다. <중략>

군자는 평이한 현실에 거하면서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짓을 감행하면서 요행을 바란다. <중략>

문명의 주체인 인간은 "자기를 바르게 하면서

나의 삶의 모든 책임을 타인에게서 구하지 말아야 한다."


제 15 장 행원자이장 行遠自邇章

어찌하여 가까운 데, 낮은 데를 버리고 먼 곳과 높은 곳만을 바라본단 말인가?

하느님은 높은 데 있지 않고 낮은 데 있으며,

천국은 먼 곳에 있지 않고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것을 도대체 왜 모른단 말인가?


제 16 장 귀신장 鬼神章

귀신이란 음양의 소장消長일 뿐이다. <중략>

그렇다면 만물에 귀신이 없는 것이 어디 있을 수 있겠는가? <중략>

다음과 같은 주희의 말을 한 번 더 살펴보자!

귀신은 단지 기氣일 뿐이다.

그런데 기라는 것은 끊임없이 움추렸다가, 폈다, 갔다, 왔다 하는 것이다.

천지지간에 기가 아닌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러니까 하느님도 기일 뿐이다.

사람의 기와 천지의 기는 항상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사이에 단절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인데,

인간이 단지 그 연속성을 눈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살아갈 뿐이다. <중략>

대저 생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 이것은 모든 유기체의 운명이다.

죽게 되면 반드시 흙속으로 돌아간다. 이것을 일컬어 귀라고 한다.

그러나 혼기는 하늘로 돌아간다. 이것을 일컬어 신이라 한다.

그러기 때문에 귀와 신을 합하여 꼭 같이 제사지내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선왕의 가르침의 지극한 것이다.


제 17 장 순기대효장 舜基大孝章 

효를 자식이라는 약자의 부모라는 강자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으로 이해를 해왔고,

할고割股(허벅지 살을 베어 료친),

단지(손가락을 잘라 위독한 부모님 입에 피를 흘려드리고

남은 손가락은 죽을 끓여 드린다) 등의 터무니없는 자해행위를

효성의 극진한 행동으로 예찬하는 과거 형식주의 도덕의 유폐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중략>

귀신이란 인문세계의 역사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나라는 유기체는 어김없는 생멸의 과정을 거친다. 나라는 단위생명은 "단절"이다.

그러나 그 단절은 나의 단절로써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소생所生으로써 연속된다.

나의 소생은 일차적으로는 나의 자식이 될 것이요,

내가 역사 속에 남긴 유업일 수도 있다.

이 역사적 단절을 메워주는 "풀칠" 같은 것이 "귀신"일 수도 있다.

즉 내가 죽으면 나는 귀신이 되어 제사의 대상이 됨으로써

하대의 가족과 당분간 같이 머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략>

몸속 자궁에서 태아를 키우고, 몸 밖으로 태아가 성숙하여

나왔을 때부터 젖을 먹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젖을 먹인다"는 현상은 내 몸의 요소를 직접 자식에게 분유分有시킨다뜻이다.

<중략>

젖에 의존하는 것은 생존의 가능성을 높였지만,

또 그만큼 독립성이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 젖이라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포유류는 많은 개체를 일시에 탕생시킬 수는 없다. <중략>

젖을 통해 "한 몸"이라는 기나긴 의식적 체험기간을 거치는 포유류에 있어서

비로소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랑"의 감정이 시작된 것이 분명하다. <중략>

인간이 태어나서 엄마품에서 젖을 먹고 보호를 받는 기간이

최소한 3년은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3년상을 아니지내고 딴짓을 하면서

편히 살 수 있느냐고 반문하는 것이다. <중략>

절대적 의존의 체험이라 말할 수 있는 효의 시기를 거친다.

의식의 언어적 분화가 일어나가 전에 이미

갓난아기는 순결하게 "절대적 타자"를 체험한다.

이 절대적 타자는 나의 몸의 생명영양체계를 가동시켜주는 절대적 양육,

그리고 모든 위험으로부터 나를 지켜주는 절대적 보호의 비언어적 체험의 주체이다.

<중략>

지식이 사회화 과정을 완료하면 엄마는 자식을 떠난다. <중략>

종교의 본질을 신앙의 대상에서 찾지 않고,

다시 말해서 역사에 드러난 문명적 개념에서 찾지 않고,

인간의 심성에 내재하는 체험으로서 그것을 말할 때

우리는 반드시 효라는 의식의 원초적 기저에 도달하게 된다.

예수는 하나님 아버지의 이상적 효자였을 뿐이다.

예수를 닮음은 효의 구현이다.

효심이 강한 조선왕조의 사람들에게 기독교는

이러한 효기독론Xiao-Christology의 심층의식을 파고 들어왔다.

이것은 다석 유영모의 생각이다. <중략>

죽은자의 권위로써 산자를 제압하는 모든 원시적 형태의 제도가

다 종교라고 말할 수 있다.

종교의 존속은 사회적 연속성의 원리를 구현하는 것이다.

나는 말한다.

아가페적 사랑은 "태양"과 "엄마"밖에는 없다.

질투와 증오와 독선의 이기적 주체인 유대인 여호와는

아가페의 리스트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제18장 문왕무우장文王無憂章

18장은 17장의 테마를 그대로 승계한 것이다.

혁명의 과제에도 3대의 효가 필요하다는 이야기 (父作之,子述之)부작지 자술지

사례는 죽은자의 위로써 하고,제사는 제사를 받드는 자손의 위로써 사의 예로써 한다.

또 거꾸로 아버지가 사의 신분이고 아들이 대부의 신분일 경우에는,

장례는 사의 예로써 하고 제사는 대부의 예로써 하는 것이다.

장례는 흉례의 속한 것이고,제례는 길례에 속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5만원권 지페에 신사임당(1504~1551)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그 호는 문왕의 어머니 태임을 본받는 다는 뜻으로 신씨 자신이 지은 것이다.

율곡의 삶이 어머니의 뜻에 미치지 못했다고 말할수도 있다.

그 아호는 참으로 거대한 혁명과 창업의 뜻이 숨겨져 있다.

 

제 19 장 주공달효장 周公達孝章

이 장의 가장 중요한 메세지는 효라는 것이 특정한 나의 혈연적 부모에 대한 복종이나

추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보편적 인간의 선업을 계승하는 문화적 마인드야말로 진정한 효라고 천명하고 있다.

우리가 역사를 바르게 알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바로 그사람의 뜻과 일을 바르게 알고

계술하려는 데 있는 것이다. 

하나님이 역사를 만들어주지 않는다.역사는 시간이 만든다.

그들이 행하였던 예를 내가 행하고, 그들이 즐겼던 악을 내가 즐기고,

그들이 존중했던 것을 내가 공경하며, 그들이 가깝게 했던 사람들과

내가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중략>

우주생명의 창조적 가치를 인간이 문명 속에서 계속 계승하여 축적해나가는 것이야말로 이라는 뜻이다.


 


제 20 장 애공문정장 哀公問政章

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은 지知에 가깝고,

힘써 행하는 것은 인仁에 가깝고, 부끄러움을 아는 것은 용勇에 가깝습니다.

이 세 가지를 알면 과연 내 몸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를 알게 될 것입니다.

내 몸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를 알게 되면 타인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를 알게 될 것입니다. <중략>

공자도 "인능홍도人能弘道, 비도홍인非道弘人"이라고 말했다.

사람이 주체적으로 도를 넓혀갈 수는 있으나, 도가 사람을 넓혀줄 수는 없다는 뜻이다.

이것이 사람이 하나님이 하나님다웁게 만들어갈 수 있으나,

하나님이 사람을 사람다웁게 만들어주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중략>

세상을 다스리는 사람은 있으나, 세상을 다스리는 법이라는 것은 있어본 적이 없다.

<중략>

인간보편의 이해는 곧 하느님에 대한 앎에 포섭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즉 나의 몸속에서 나는 친親, 그리고 인人, 그리고 천天을 발견해야 하는 것이다.

즉 나의 몸은 나의 몸의 생물학적 근원인 효孝의 세계이며,

그 효의 세계에서 인간, 그 보편을 파악하며, 우리는 인간에 대한 진정한 앎을 통해

하느님,

즉 종교적 신앙의 근원인 모든 신성, 경건성, 성스러움, 신성함을 파지하는 것이다.

즉 나의 몸, 신은 친이요, 인이요, 천이요, 신이다.

모두 운을 밟고 있는 아름다운 말이다. <중략>

문제는 끊임없는 "노력"이요 "호학"이다.

이에 관하여 순자는 그의 책 수신편에서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하였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리를 간다고 뽐낸다.

그러나 조랑말이라도 열심히 가기만 하면 열흘이면

같은 목적지에 너끈히 도달할 수 있다."

문제는 가는 목적지가 명확히 있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중략>

배우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배울진대 능하지 못하면 중도에 포기하지 마십시오. <중략>

그 종착역에 도달할지 안 할지는 여기 질문의 대상이 되질 아니 한다. <중략>

인생은 과정이다. 인생의 목적이란 그 과정에 내재하는 것이다. 

 

 

제21장 자성명장自誠明章

이 장부터 자사의 성론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그러니까 21장은 자사성론子思誠論의 총론이라고 할 수 있다.

성性에서부터 명明으로 구현되어 나아가는 것을 성性이라 일컫고,

명明에서부터 성誠으로 구현되어 나아가는 것을 교敎라고 일컫는다.

성誠하면 곧 명明해지고 명明하면 곧 성誠해진다.


제22장 천하지성장天下至誠章

인류에게서 종교가 생겨난 것은 제1차적으로 "상진언어"덕분이다.

상징언어가 없고 싸인언어(sign language)만 있는 동물에게는 종교라는 것이 없다.

언어와 결부되어 있는 인간의 원초적 종교감정은 "공포""두려움Fear"이다.

서양의 삼위일체Trinity는 성부Holy Father, 성자Holy Son, 성신Holy Spirit인데

우리 전통속에 삼위일체는 하늘Heaven,땅Earth,인간Man,이라는 엄연한 사실도 기억하고 넘어가자.!

성부,성자,성신이 한몸이 되는 것이 좋을까.?

하늘,땅,인간이 한몸이 되는 것이 좋을까.?


제23장 기차치곡장基次致曲章
이 장은 誠이라는 가치를 化와 연결 시킴으로서 하나의 새로운 테마를 드러내고 있다.

맹자도 인간의 경지의 단계를 6단계로 설정하여

善人ㅡ信人ㅡ美人ㅡ大人ㅡ聖人ㅡ神人을 말하였는데

성인聖人의 덕성에는 반드시 화化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화라는 것은 우리가 보통 쓰는 감화感化라는 말과 상통하는 것인데,

그 "감화"의 본뜻은 "영향을 준다"는 정도의 의미가 아니라

근원적인 패러다임 쉬프트를 이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4장 지성여신장至誠如神章

至誠의 道를 구현한 사람은 세상 일을 그것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알 수가 있다.

국가가 장차 흥하려고 하면 반드시 상서로운 조짐이 나타나며,

국가가 장차 망하려고 하면 반드시 요망스러운 재앙의 싹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런 길흉의 조짐은 산대점이나 거북점에도 드러나고,

관여된 사람들의 사지 동작에도 드러나게 마련이다.

화禍나 복福이 장차 이르려고 할 때,

至誠의 道를 구현한자는 그 원인이 되는 좋은 것도 반드시 먼저 알며,

좋지 않은 것도 반드시 먼저 알아 계신戒愼한다.

그러므로 至誠은 하느님과 같다고 할 것이다.

 

제25장 성자자성장聖者自成章

誠은 스스로 이루어 가는 것이요,道는 스스로 길지워 나가는 것이다.

誠은 物의 끝과 시작이다.誠하지 못하면 物도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誠해질려고 노력하는 것을 삶의 가장 귀한 덕으로 삼는다.

誠이라는 것은 인간 스스로 자기를 이룰 뿐 아니라

동시에 반드시 자기 밖의 모든 물을 이루어 줌으로써 구현되는 것이다.

자기를 이룸을 인仁이라 하고 나 이외의 사물을 이룸을 지知라한다.

仁과 知는 인간의 性이 축척하여 가는 탁월한 덕성이며,

인간존재의 外와 內를 포섭하고 융합하는 道이다.

그러므로 誠은 어떠한 상황에 처하여지더라도 반드시 그 사물의 마땅함을 얻는다.


제 26 장 지성무식장 至誠無息章

천지天地는 기철학적 세계관을 전재하지 않으면 이해되지 않는다.

천은 무형자이며 형이상학자이며 도道이며 혼魂이며 신神이다.

지地는 유형자이며 형이하학자이며 기器이며 백魄이며 정精이다.

천지는 음양의 기의 다른 이름이다.


제 27 장 존덕성장 尊德性

도와 덕은 현대어(서양어)의 도덕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다.

도는 언어의 문제이며 지식의 문제이며 인식의 문제이다.

덕은, 도가 어디까지나 객곽적인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내면적, 주관적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는 인식의 문제이지만, 덕은 "몸의 축적"에 관한 것이다.

모든 덕은 나의 몸에 습관으로서 쌓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를 통하여 세계를 인식하고,

덕을 통하여 나의 내면적 도덕적 주체를 건설하는 것이다.

 

제 28 장 오종주장 吾從周章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어리석으면서도 자기 생각만을 고집하려 하고,

신분이 낮으면서도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려 하고,

지금 세상에 태어나 지금 세상의 법도로 살고 있으면서도

옛날의 도로만 돌아가려고 하는 자들이 많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재앙이 그 몸에 미칠 수박에 없다."

 

제 29장 왕천하장(王天下)
천하를 다스리는 왕이 되려면 반드시 3가지 중요한 일

(예악정의, 법도창제, 문자고정)을 해야 다스림에 과실이 적을것이다!
앞선대의 성왕이 제정한 예의제도가 아름다울지라도 그 연대가 오래되면 이미 검증할 수가 없게된다.
검증할 수가 없으면 사람들이 믿지 않는다. 사람들이 믿지 않으면 민중은 복종하지 않는다.
천자의 자리에 있지않은 성인이 주장하는 예악제도가 아무리 아름답고 좋을지라도 존귀한 지위가 없다.
존귀한 지위가 없으면 사람들이 신임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신임하지 않으면 민중이 복종하지 않는다.
그래서 군자가 천하를 다스리는 도리의 가장 근본은

먼저 자기자신으로 부터 시작하여 백성들이 검증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하,상,주 삼대의 예악제도를 조사하여 어떤 차이나 잘못이 없다면

이를 다시 사용해 하늘과 땅사이에 실시해도 객관규율에 위배됨이 없을것이다.
점을 쳐 물어본것을 귀신과 비교해도 어떠한 의문이 없고

백세대 이후에 성인이 나타나길 기다려도 미혹됨이 없을것이다.

귀신에게 물어 어떠한 의문도 없다면 하늘의 도리를 깨달은 것이다.
백세대이후에 성인이 나타나길 기다려도 미혹됨이 없다면 사람의 도리를 깨달은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의 움직임은 세대와 세대를 이어 천하의 법칙이 되고, 그의 행위는 대대로 세상사람의 규범이 되고,
그가 말하는 것은 세세토록 세상사람의 준칙이 된다.
그로부터 멀리있는 사람은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며, 가까운 사람은 한오라기의 싫어함도 없다.

“시경 주송 진로”편에서 말했다. “
(기,송 두나라는 하, 상 두왕조의 후대이다) 본 나라의 사람들은 증오가 없으며 주왕조대의 사람도 싫어함이 없도다.
정사를 돌봄에 아침부터 저녁까지 근면하여 영원토록 아름다운 명예를 지킨다.”
군자는 일찍부터 이런 일을 하여 아름다운 이름이 천하에 이르지 않는곳이 없다.

 

제 30 장 중니조술장 仲尼祖述章  

"소덕천류小德川流, 대덕돈화大德敦化"라는 명제도

같은 공존, 상생의 논리를 말해주고 있다.

소덕은 소덕 나름대로 유니크한 의미가 있으며,

대덕은 대덕 나름대로 포괄적인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소덕의 작은 천류와 같은 흐름이 없이는 대덕의 거대한 돈화가 있을 수 없다.

돈화에 화化라는 근원적인 변화의 의미가 들어있다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모세혈관의 충실한 작용들이 있어야

우리 몸의 대동맥의 대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유기체적 세계관에 있어서는 이러한 소덕과 대덕의 유기적 작용의 통합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서울 창덕궁의 대문의 이름도 "대덕돈화"에서 온 것이며,

남대문의 이름은

존덕성장(제27장)의 "돈후이숭례敦厚以崇禮"의 마지막 두 글자에서 온 것이다.

 

 

제 31장 총명예지장(聰明睿知)
오로지 천하의 가장 위대한 성인만이 그 총명과 지혜가 밝고 밝으며,
깊고 멀리 달할수 있어 하늘로 부터 부여 받은 군자의 위치에 거하면서 아래로는 민중들을 다스린다.
너그럽고 두텁고 온화하며 부드러운 인仁으로 천하만물을 포용한다.
노력하여 강해지기를 꾀하여 더욱 강하고 용맹하고 굳센 그 의義로써 세상의 큰일을 심사숙고하여 결정한다.
단정하고 장중하고 또 올바른 위치를 잘 지키는 그 예禮로써 타인의 존경을 받는다.
문장의 조리가 분명하고 생각이 주도면밀하고 밝게 살피는 그 지智로서 옳고 그름과 삿됨과 바름을 판별한다.

위대한 성인은 그 도덕이 넓고 또 자세 하고 깊다.
깊은 곳에서 흘러나오는 샘물과 같이 끊임이 없어 어떤곳 어떤시기라도 모두 드러난다.
그 넓은것으로는 경계가 없는 푸른 하늘과 같고, 그 세밀한 것으로는 아주 깊은 심연과 같다.
그가 위로 드러내면 존경을 표시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말을 하면 믿고 따르지 않을 사람이 없다.
행동을 하면 기뻐하지 않을 사람이 없다.

그러므로 그의 명성이 중국을 뛰어넘어 사방각지의 소수민족부락에 까지 미친다.
그래서 배와 마차가 닿을수 있는 곳, 사람이 다닐수 있는 곳, 푸른하늘이 덮을수 있는 곳, 대지가 능히 싣을수 있는 곳,
해와 달이 비추는 곳, 서리와 이슬이 떨어지는 곳과 무릇 피가 돌고 숨을 쉬는 사람이라면
그를 존경하지 않을 수 없으며 친하지 않을수 없다.
그래서 성인의 도덕은 가히 하늘과 짝하는 것이다.

 

 

제 32 장 성지천덕장 聖知天德

준준肫肫, 연연淵淵 , 호호浩浩는 천, 지, 인 삼재三才사상과 관련이 있다.

 인人 인仁  준준肫肫   
 지地 연淵 연연淵淵    
 천天 천天  호호浩浩     

공자를 인성의 구현자로서 준준하고(간곡하고 지극하다),

땅의 구현자로서 연연하고(그윽한 깊이가 있다),

하늘의 구현자로서 호호하다(드넓고 광대하다)고 말함으로써

천, 지, 인 삼재의 모든 덕성을 한 몸에 구현하고 있다고 말한 것이다.  


 


제 33 장 무성무취장 無聲無臭  

밤새 소리없이 소록소록 쌓이는 백설처럼

인간의 내면에 쌓이는 신독의 덕성이야말로

'중용'의 궁극적 주제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제사의 궁극적 의미는 참여하는 내가 조상의 삶의 자리를 밟아본다는 것이다.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제4장 지미장(知味章)  (0) 2012.07.31
중용 제3장 능구장(能久章)  (0) 2012.07.31
중용 제2장 시중장(時中章)  (0) 2012.07.31
중용 제1장 천명장(天命章)  (0) 2012.05.20
中庸 이란?  (0) 2012.05.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