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한씨의 유래(淸州韓氏의 由來)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유래(由來)는  후조선 (後朝鮮)인  기자조선(箕子朝鮮)에서 기원(起源)한다.

마한(馬韓) 원왕(元王)의 아들 3인이 있어 우평(友平),우량(友諒),우성(友誠)이니,

나라가 쇠(衰)하자 우평은 고구려(高句麗)에 입사(入仕)하여 북원선우씨(北元鮮于氏)가 되고,

우량은 신라 (新羅)에 입사하여 상당한씨(上黨韓氏) 즉 청주한씨가 되었고,

우성은 백제(百濟)에 입사하여 덕양기씨 (德陽奇氏)가 되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한씨는 모두 기자(箕子)의 휴예(後裔)가 되는 것이다.

기자는 은(殷)나라의 종실(宗室)로서 주왕(紂王)의 숙부(叔父)가 된다.

주왕((紂王)이  잔인하고 포악하여 국정(國政)이 쇠퇴함으로 주나라 무왕(周. 武王)이 이를 토멸하고

기자(箕子)에게 치국(治國)하는 대도(大道)를 청문하기로 홍범(洪範)을 자문하여 주고.

의리상 신복(臣僕)이 될수는 없다하여 고조선(古朝鮮)에 망명(亡命)하였는데

때마침 단군조선(檀君朝鮮)이 종말을 고하게 되자 백성들의 추대를 받아 후조선(後朝鮮)을 건국하고

예의(禮儀)로 교화(敎化)하여 예의군자국(禮義君子國)이 되었다고 한다.

 

청주한씨 시조 한 란(韓 蘭)은 지금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에서 탄생하여

향학(鄕學)을 일으키고 청주 방정리에 무농정(務農亭)을 세우고 농업을 권장하여

마침내 부농을 이루었는데 이때에 왕건(王建)이 고려을 창업하는 공(功)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되었으니 벼슬은 삼중대광 태위(三重大匡 太尉)이다

천지는 신묘(神妙)한  위광(威光)으로 강산의 기이(奇異)함을 만들고

영웅(英雄)의 자품을 타고나서 나라의 훈업을 이루었으니 한 란(韓 蘭) 그의 시호는 위양(威襄)이라 하였다.

속리산맥을 타고 내려와 황간(黃澗) 땅에 이르러 우뚝 솟은 지장영봉(芝庄靈峰)은

사위(四圍)를 거느리고 멀리 백리에 뻗쳐 영기(靈氣)가 모였으니

이곳에서 당대의 위인(偉人) 한 란(韓 蘭)이 탄생하셨다.

옛부터 전하는 말에 의하면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려 청주 고을에 당도하자

태위공께서 군례(軍禮)을 갖추고 이를 맞이하여 창고에 비축한 곡식을 풀어

10만 군사를 배불리 먹이고 참전하여 전공을 세워 고려 왕조의 터전을 다졌으니 참으로 위대한 분이다.

이세(二世) 영(穎)의 벼슬이 용호군 교위(龍虎軍 校尉) 이고

삼세(三世) 상휴(尙休)는 별장 동정(別將同正)이다.

그리하여 여음(餘蔭)이 후세까지 끼쳐 공경대부(公卿大父)가 이어 왔으니

묘(墓)는 충북 청원군 남일면 가산리에 안장하였고 묘비,신도비 (神道碑)와 청주시 방서동의 무농정(務農亭)과

방정(方井) 제단비(劑壇碑)는 후손들의 정성의 표상이다.

특히 충북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 입구(入口)에는 태위공의 탄생지 유허비(遺墟碑)가 세워졌으며

공(公)의 묘하(墓下)에는 세일재 (歲一齋)가 세워져 있다.
 

한씨는 한국의 최고(最古) 역사를 지닌 이른바 삼한갑족(三韓甲族)이다.

본관은 오늘날 한씨 거의가 청주(淸州) 단본을 내세우고 있는데,

문헌에는 청주 외에 평산(平山)·한양(漢陽)·안변(安邊)·양주(楊州)·곡산(谷山)·홍산(鴻山)·

대흥(大興)·부안(扶安)·개성(開城)·함흥(咸興)·금산(錦山)·단주(湍州) 등 10여 본이 기록되어 있으며,

모두 청주에서 분적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언제 어떻게 분적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한씨는 멀리 고조선시대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청주한씨세보》에 의하면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왕인 준왕(準王)의 후대에

우성(友誠)·우평(友平)·우량(友諒)의 3형제가 있어, 각각 기씨(奇氏)·선우씨(鮮于氏)·한씨(韓氏)가 되었다고 하며,

따라서 청주한씨의 시조 한란(韓蘭)은 기자의 후예인 우량의 원손(遠孫)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종래 '기씨조선(箕氏朝鮮)'으로 알려졌던 고조선사회는 실상 '한씨조선'이고,

준왕은 '기준(箕準)'이 아니라 '한준(韓準)'이며, 따라서 한씨는 기자의 후예가 아니라

한국의 고유한 씨족이라는 것이 사학계의 통설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조선의 한씨는 마치 부여의 해씨(解氏), 고구려의 고씨(高氏), 백제의 부여씨(扶餘氏),

신라의 박씨(朴氏)·김씨(金氏), 발해의 대씨(大氏), 고려의 왕씨(王氏),

조선의 이씨(李氏)와 마찬가지로 한국 고유의 대성(大姓)이었다.

고조선시대의 왕실이었던 한씨는 고려 후기에 이르러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는데,

우선 조선시대에 문과급제자 315명, 상신(相臣) 12명, 공신(功臣) 24명, 대제학 1명을 배출하였다.

한편, 왕비도 6명을 배출하였다. 오늘날 청주를 중심으로 한 충북 일대는 한씨의 동족부락이 적지 않아

신씨(申氏)와 함께 이 고장의 대성으로 꼽히고 있다.

 

청주한씨의 분포지역을 보면,

충간공파(忠簡公派)는 충남·경기,

문정공파(文靖公派)는 강원·경남,

몽계공파(夢溪公派)는 경상도 상주·합천,

관북파(關北派)는 평안북도 안변 및 함경도 함흥·영흥,

충성공파(忠成公派)는 충남·부산,

양절공파(襄節公派)는 전국 각처에 각각 분포되어 있다.

그밖에도 제주에 많이 살고 있는데, 이 일문(一門)은 고려 말기 예문관 대제학으로서

태조(太祖)를 섬기지 않아 유배된 천(蕆)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1960년도 국세조사에서는, 7만 1022가구에 인구 39만 7817명으로,

성별 순위는 258성 중 제11위였고, 1985년도 조사에서는 가구수 14만 9511가구,

인구수 62만 8388명으로 274성 중 제11위였다.

2000년 국세조사에서는 인구 70만 4365명, 가구수 21만 8821가구, 286성 중 제12위였다.

청주한씨의 세계(世系)는 시조 한란의 후대에서 30여 파로 나뉘는데,

그 중 후손이 많기로는 ① 양절공파, ② 문정공파, ③ 충간공파, ④ 몽계공파, ⑤ 관북파, ⑥ 충성공파 등

6파가 청주한씨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충성공파〉 한명회(韓明澮:충성공)는 시조 한란의 12대손 기(起)의 아들이다.

그의 조부 상질(尙質)은 고려 말기에 병마절도사를 역임하고

조선 개국 초기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나라에 들어가 '조선'이라는 국호를 정해 받고 돌아온 사람이다.

증조부 수(脩)는 공민왕 때 대언(代言)이 되어 신돈(辛旽)이 집권하자 이를 반대하였으며,

당대의 명필로서 특히 예서와 초서에 뛰어났다.

종조부 상경(尙敬)은 조선 개국공신이 되어 공조판서·우의정 등을 지내고 영의정에 올라 서원(西原)부원군에 봉해졌다.

이렇듯 빼어난 가문을 배경으로 한명회는 수양대군의 심복으로 단종 1년 '계유정난'에서

정난공신 1등에 올라 이조판서를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세조의 뒤를 이어 어린 예종이 즉위하여 세조비 윤씨가 수렴청정(역사상 첫 大妃聽政)을 하게 되자

신숙주 등과 그 일익을 담당하여 4차례의 공신이 되었다.

특히 한명회 일가의 혼인 관계는 당대 지배층 성격의 일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그에게는 아들 하나 딸 넷이 있었는데, 맏딸은 세종의 부마인 '파평윤씨' 윤사로(尹師路)의 며느리가 되고,

둘째딸은 영의정 신숙주의 맏아들에게 출가하였으며, 셋째 및 넷째딸은 각각 예종비와 성종비가 되었다.

또, 손자는 성종의 부마가 되었다.

이렇듯 한명회 일가는 왕실과 이중삼중의 인척관계를 맺음으로써 족세(族勢)를 더욱 강화시킨 본보기이다.

 

〈양절공파〉 한확(韓確:양절공)은 세종 때 병조·이조판서를 거쳐 단종 때 우의정을 지내고, 세조 때 좌의정을 지냈다.

그의 딸은 덕종(성종의 아버지)비가 되었으며, 누이 둘은 각각 명(明)나라의 태종비(太宗妃)·선종비(宣宗妃)가 되었다.

또, 그의 세 아들 치인(致仁)·치의(致義)·치례(致禮) 등도 모두 현달하였다.

선조 때의 명상(名相) 응인(應寅)은 확의 6대손이다.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익모(翼謨)와 그의 형 대사헌 현모(顯謨)는 응인의 6대손이고,

이조판서 광회(光會)는 7대손이다.

또, 순조 때 영의정을 지낸 용구(用龜)는 현모의 손자이고,

예조판서 정교(正敎)는 용구의 손자이며,

고종 때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내고 당대의 명문장으로 날렸던 장석(章錫)은 용구의 증손이다.

양절공파의 방계(傍系)로 확의 조카가 되는 치형(致亨)은 연산군 때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으나,

왕의 폭정을 충간하다가 참사를 당하였다.

 

〈문정공파〉 한계희(韓繼禧:문정공)는 관찰사 혜(惠)의 아들이다.

그는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세조 때에는 세자(世子)를 가르쳤으며, 성종 때에는 좌찬성에 이르렀다.

그는 '기내 훈구파(畿內勳舊派)'의 유학자로서 《경국대전(經國大典)》 《의방유취(醫方類聚)》 등을 편찬하였다.

형 계미(繼美), 아우 계순(繼純)도 모두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좌의정을 지낸 효순(孝純)은 계희의 현손이다.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실학에 선구적 업적을 남긴 백겸(百謙)은 효윤(孝胤)의 아들이다.

그리고 석학 원진(元震)은 계희의 9대손이다.

원진은 영조 때 가장 걸출했던 학자로, 당시 심성론(心性論) 논쟁에서 '낙론(洛論)'인 이간(李柬)의 주장을 반대,

인간의 성(性)이 같지 않음을 주장하여 '호론(湖論)'의 영수가 되었다.

그는 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로 이어지는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

송시열이 저술에 착수했던 《주서동이고(朱書同異考)》를 50년 만에 완성하였는데,

그 책은 한국 유학사상 괄목할 만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충간공파〉 고려 말기의 이부상서를 지낸 한리(韓理:충간공)를 시조로 한다.

그의 아들 승순(承舜)의 세 아들 서룡(瑞龍)·서봉(瑞鳳)·서구(瑞龜)의 후손에서 번창하였다.

특히 서룡의 아들 5형제 장손(長孫)·중손(仲孫)·종손(終孫)·천손(千孫)·만손(萬孫) 등이 빼어났다.

서구는 수양대군의 심복으로 계유정난에 공을 세워 정난공신에 오르고 중추원첨지사(中樞院僉知事)에 이르렀다.

 

〈몽계공파〉 세칭 보안한씨(保安韓氏)라 부르는 파로,

고려 말에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낸 한철충(韓哲沖:몽계공)을 시조로 한다.

그는 고려가 망하자 산 속에 은거하면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다.

그의 아버지 희적(希迪)은 예의판서·보문각 대제학을 지내고, 조부 연(璉)은 보문각 직제학을 지냈다.

그의 아들 진(珍)·염(廉)·겸(兼)·문(文)은 각각 목사와 예조판서·현감 등을 지냈다.

 

〈관북파〉 세칭 안변한씨라 한다. 이들은 함남 북청·안변·함흥 일대에 많이 살고 있다.

시조인 한련(韓漣)은 예빈윤(禮賓尹)을 지내고 아들 유(裕)는 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 말에 밀직부사를 지낸 경(卿)이 그의 손자이다.

경의 딸이 이성계(李成桂)의 부인으로 신의왕후(神懿王后)에 추봉되었다.

태조가 즉위하자 문하부영사(門下府領事)를 지내고 안천(安川) 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밖에 한씨의 인물로는 동방 제1의 명필로 이름난 호(濩:石峯),

인조 때의 학자 교(嶠), 정조 때 동제활자(銅製活字)인 '한구자(韓構字)'로 이름난 구(構) 등이 있다.

근세의 인물로는 한말 참정대신으로 을사조약을 끝까지 반대한 규설(圭卨), 시인이며

승려로 3·1운동 당시 33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한 용운(龍雲),

1936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함흥형무소에서 옥사한 한글학자 징(澄) 등이 역사상에 길이 빛날 인물들이다.

 

 

참고로 나는 문정공파 32世 燮자 를 쓰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