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우(穀雨)
 
음력 3월, 양력 4월 20일경이 되며, 그때부터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 즉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다.

 

일 년 중 모심기에 필요한 비가 내린다는 날.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의 하나로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다.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이 황도(黃道)의 30도(度)에 이르는 때로 양력 4월 20일 경이다.
보통 이 무렵이 농사를 시작하는 때이다.
이 무렵에 비가 오면 곡식의 성장에 좋아 풍년이 들므로, 이 비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이 무렵에 가물면 땅이 석 자 깊이나 말라 농사에 좋지 않다고 한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이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하여 볍씨를 담갔는데,
이때 볍씨를 담가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며 밖에서 부정한 일을 당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는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다.
그래서 전라남도나 경상남북도·강원도 등지에서는 깊은 산이나 명산으로 곡우물을 먹으러 간다.
곡우물은 주로 산다래나 자작나무·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어
거기서 나오는 물을 말하는데, 그 물을 마시면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먹는다.
곡우물을 먹기 위해서는 곡우 전에 미리 상처낸 나무에 통을 달아두고 여러날 동안 수액(樹液)을 받는다.

 

강진이나 해남 등지에서는 곡우물을 먹으러 대흥사(大興寺)로 가고,
고흥 등지에서는 금산으로, 성주 등지에서는 가야산으로 가서 먹는다.
거자수(자작나무 수액)는 특히 지리산 아래 구례 등지에서 많이 나며,
그곳에서는 곡우 때 약수제까지 지낸다.
특히, 신병이 있는 사람이 병을 고치기 위하여 그 물을 마시는데, 그것은 외지 사람들에게 더 약이 된다고 한다.

 

경칩 무렵에 나오는 고로쇠물은 여자물이라 하여 남자들에게 더 좋고,
거자수는 남자물이라 하여 여자들에게 더 애용되고 있다.
또, 곡우 때가 되면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하여 격렬비열도 부근에 올라온다.
그때 잡는 조기를 특히 ‘곡우살이’라 한다.
곡우살이는 살은 아주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서 서해는 물론 남해의 어선들도 모여든다.

 

곡우(穀雨)는 24절기의 하나로, 3월의 중기이다.
봄비가 자주 내리고 곡식이 풍성해지는 절기이다.
태양 황경이 30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4월 20일경에 해당된다.

봄으로서 마지막 절기인 오늘 비가내린다

금년 농사는 풍년이 들라나 곡우날 비가내리니...

 

24절기
 황경    절기   양력
315° 입춘 2/4~5
330° 우수 2/18~19
345° 경칩 3/5~6
춘분 3/20~21
15° 청명 4/4~5
30° 곡우 4/20~21
여름
45° 입하 5/5~6
60° 소만 5/21~22
75° 망종 6/5~6
90° 하지 6/21~22
105° 소서 7/7~8
120° 대서 7/22~23
가을
135° 입추 8/7~8
150° 처서 8/23~24
165° 백로 9/7~8
180° 추분 9/22~23
195° 한로 10/8~9
210° 상강 10/23~24
겨울
225° 입동 11/7~8
240° 소설 11/22~23
255° 대설 12/7~8
270° 동지 12/21~22
285° 소한 1/5~6
300° 대한 1/2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