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통 설(統說)

 
신이 살피건대, 성현의 말씀이 횡(橫)으로 말하기도 하고 종(縱)으로 말하기도 하여,
한 마디 말로 체(體)와 용(用)을 다한 것도 있고, 여러 가지 말로 한 실마리만 말한 것도 있사옵니다.
이제 체(體)와 용(用)이 총괄된 말씀만을 취하여 머리 편[首篇]을 말들었사옵니다.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성을 따른 것을 도(道)라 하고, 도를 닦은 것을 교(敎)라 한다.(「중용」 하동)

주자는 말하기를, “하늘이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으로 만물을 화생(化生)함에
기(氣)로써 형체를 이루고, 이(理)를 또 부여하니(이(理)와 기(氣)는 원래 서로 떠나지 못하는 것이니,
기에 나아가서 이가 그 가운데서 있습니다.
이것은 음양 화생이라는 말을 이었기 때문에, 기로 형태를 이루고 이를 또 부여한다고 한 것이요,
기가 있은 뒤에 이가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말로써 뜻을 해치지 않아야 될 것입니다.) 명령함과 같다.
이에 사람과 물(物)이 날 적에 각각 그 부여한 바 이(理)를 얻어서, 건순(健順)과, 오상(五常)의 덕(德)이 되니 이른바 성(性)이다.
(건(健)은 양(陽)의 이(理)이고 순(順)은 음(陰)의 이(理)입니다. 오상의 덕(德)은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이니,
이것은 오행(五行)의 이(理)입니다.) 솔(率)은 따른다는 뜻이요, 도(道)는 길과 같은 것이다.
사람이나 물(物)이 각각 그 본성의 자연을 따르면, 그 일용하는 사물 사이에 모두 각각 마땅히 행할 길이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도(道)이다.(주자는 말하기를, "솔성(率性)은 사람이 솔(率)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나의 본연(本然)의 성품을 따르면 스스로 허다한 도리가 있게 된다.
혹 솔성으로써 성명(性命)의 이를 순하는 것이라고 하니, 그렇다면 이는 도가 사람으로 인하여 비로소 있게 된다.”하였습니다.)
수(修)는 품절(品節)하는 것이다. 성(性)과 도(道)는 비록 같으나 기품(氣稟)이 혹시 다르다.
그러므로 능히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하는 차이가 생기게 되는 것이니,
성인이 인·물(人物)의 마땅히 행할 바를 인하여 품절해서 천하의 법으로 삼았다.
이것을 교(敎)라 하는 것인데, 예(禮)·악(樂)·형(刑)·정(政) 따위가 이것이다.
대개 사람들은 자기의 성(性)이 있는 것만을 알고, 그것이 하늘에서 나온 줄을 알지 못하며,
일에 도(道)가 있는 것만을 알고, 그것이 성품에서 나온 줄을 알지 못하며, 성인(聖人)의 교(敎)가 있는 것만을 알고,
그것이 나의 고유(固有)한 것으로 인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지 못한다.
그러기 때문에 자사(子思)가 여기에 맨 처음에 밝힌 것이요,
동자(董子)의 이른바, ‘도(道)의 큰 근원이 하늘에서 나왔다.’ 한 것이 또한 이 뜻이다.”하였사옵니다.

도(道)라는 것은 잠시도 떠나지 못할 것이니 만일 떠날 수 있는 것이라면 도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바에도 경계하며, 남들이 듣지 못하는 바에도 두려워한다.

주자는 말하기를, “도라는 것은 나날이 쓰이는 사물(事物)의 마땅히 행해야 할 이치인데,
모두 성품의 덕으로써 마음에 갖추었으니, 이 이치가 있지 않은 물건이 없고 이 이치가 있지 않을 때가 없다.
그런 까닭에, 잠간도 떠날 수가 없는 것이다. 만약 떠날 수가 있다고 한다면 어찌 솔성(率性)이라고 하겠는가.
이러므로 군자의 마음은 항상 경계하고 두려워하여, 비록 <남들이> 보고 듣지 않을 때라도 감히 소홀히 하지 아니하니,
이것이 천리(天理)의 본연(本然)의 성품을 내 마음에 두어서, 잠시라도 떠나지 않게 하는 까닭인 것이다.”하였습니다.
어두운 곳보다 더 나타나는 것이 없으며 미미한 것보다 더 드러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 혼자 있을 때에 삼간다.

주자는 말하기를, “은(隱)은 어두운 곳이고 미(微)는 미미한 일이요, 독(獨)은 남이 알지 못하고 자기 혼자만 아는 경지이다.
말하자면 깊숙한[幽暗] 곳과 미미한 일은 자취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나,
기틀은 이미 동하였고 남들은 아직 알지 못하나 자기 혼자만은 알고 있으니, 천하의 일이 드러나고 나타난 것에 이보다 더 지난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이미 항상 경계하고 조심하되 여기에 더욱 삼간다.
그래서 사람의 욕심이 싹트려고 할 적에 막아서 은미(隱微)한 가운데 가만히 자라나서 도를 멀리 떠나는데 이르지 않도록 한다.”하였습니다.

○도향 추씨(道鄕鄒氏)가 말하기를, “독(獨)을 삼가는 것이 가장 도에 들어가는 요령이 되는 것이니,
이른바 독(獨)이라는 것은 비단 한가하고 조용하게 거처(居處)하는 것만이 아니다.
마음에<한 생각>이 싹 트는 것도 독(獨)이라 한다. 능히 여기에 온 힘을 다 한다면 잘못이 있을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용」에 이 말로써 머리 편(篇)을 삼은 것이다.”하였습니다.

○정자는 말하기를,“천덕(天德)이 있으면 문득 왕도(王道)를 말할 수 있으니, 그 요긴한 것은 다만 신독(愼獨)하는데 있다.”하였습니다.
(천덕이라 함은 곧 몸을 닦은 공효(功效)이고, 왕도라 함은 곧 집을 바르게 하고 정치를 하는 법도이며,
신독(愼獨)은 이러한 몸을 닦고, 가정을 바루고, 정치를 하는 세 가지의 중요한 핵심[樞紐]이옵니다.)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이 발하지 않은 것을 중(中)이라 하고, 발하여 모두 절도(節度)에 맞는 것을 화(和)라고 하는 것이니,
중이라는 것은 천하의 큰 근본이요, 화라는 것은 천하의 통달한 도[達道]이다.

주자는 말하기를, “기뻐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것은 정(情)이요, 그것이 발하지 않은 것은 성(性)이다.
편벽되고 기울어짐이 없기 때문에 중(中)이라 이르고, 발하여 모두 절도(節度)에 맞는 것은 정(情)의 바른 것이니,
어긋나고 패려함이 없기 때문에 화(和)라고 이른다. 대본(大本)이라는 것은 하늘이 명한 성이다.
천하의 이치가 다 이것으로 말미암아 나오게 되니 도(道)의 체(體)이다.
달도(達道)라는 것은 성품을 따름을 말함이다. 천하고금에 같이 말미암는 바이므로 도의 용(用)이 된다.
이것은 성정(性情)의 덕(德)을 말하여 (중(中)은 성(性)의 덕이 되고 화는 정(情)의 덕이 됩니다.)
도는 떠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것은 성정의 덕의 체단(體段)이 이와 같은 것을 말한 것이고, 공부를 가리켜서 말한 것이 아닙니다.
위글의 계구(戒懼)와 신독(愼獨)이 독 아랫글의 중화(中和)를 이루는 것의 공부입니다.)하였사옵니다.

○ 또 말하기를, “마음은 몸의 주재가 되어 동정(動靜)의 간격이 없다.
정(靜)할 때는 사물이 이르지 않고 생각이 싹트지 않아서, 일성(一性)이 혼연(渾然)하여 도의(道義)가 완전히 갖추니 이른바 중(中)이다.
이것은 마음의 체(體)로서 적연(寂然)히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동(動)하게 되면 사물이 서로 이르고 생각이 싹터서, 칠정(七情)이 서로 작용하여 각각 주(主)된 바가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화(和)이다. 이것은 마음의 용(用)으로서 감동하여 통하는 것이다.”하였습니다.

○호계수(胡季隨)는 말하기를, “계구(戒懼)라는 것은 희(喜)·노(怒)·애(哀)·낙(樂)이 발하기 전에 함양(涵養)하는 것이고,
신독(愼獨)이라는 것은 희·노·애·낙이 이미 발한 뒤에 성찰(省察)하는 것이다.”하였습니다.
(함양(涵養)과 성찰(省察)의 말이 비로소 이에 나타났는데, 아래 정심장(正心章)에 자세히 나옵니다.)

중(中)·화(和)를 이루면 천지(天地)가 안정되며 만물이 생육한다.

주자는 말하기를, “치(致)라는 것은 미루어서 지극하게 한 것이다.
위(位)라는 것은 <있는>그 곳에서 편안한 것이요, 육(育)이라는 것은 그 생(生)을 완수하는 것이다.
계구(戒懼)로부터 요약하여 지극히 정(靜)한 가운데에, 편벽되고 기울어진 바가 없고 그 지키는 것을 잃지 않는 데까지 이르면,
그 중을 극진히 하여서 천지가 안정될 것이요, 신독(愼獨)으로부터 정밀히 하여 사물에 응하는 곳에, 조금도 어긋나는 것이 없고,
가는 데마다 그렇지 않은 것이 없는 데까지 이르면, 그 화(和)가 지극하여서 만물이 <다> 생육할 것이다.
대개 천지와 만물은 본래 나와 한몸[一體]이니, 나의 마음이 바르면 천지의 마음도 또한 바루어지고,
나의 기(氣)가 순하면 천지의 기도 또한 순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효험이 이와 같은 데 이르는 것이니,
이것은 학문의 지극한 공효요, 성인의 가능한 일이다.
처음부터 외부의 도움은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서, 도를 닦는 교(敎)도 또한 이 가운데 있는 것이다.
이것이 비록 하나는 체(體)이고 하나는 용(用)이 되어 동정(動靜)의 다른 것은 있으나,
반드시 그 체가 선 뒤라야 용이 행하게 되는 것이니, 그 실제는 또한 두 가지 일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합쳐 말하여 윗글의 뜻을 맺은 것이다.”하였습니다.

○서산 진씨(西山眞氏)는 말하기를, “중화(中和)를 이루는 공부는 경(敬)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계구(戒懼)하는 것은 정(靜)한 때의 경이요, 신독(愼獨)하는 것은 동(動)한 대의 경이다.
정한 때 경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은 중(中)을 극진히 하는 것이요,
동한 때 경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은 화를 지극히 하는 것으로서, 자연히 천지가 안정되고 만물이 생육되는 것이다.
동중서(董仲舒)의 이른바, ‘임금이 마음을 바르게 하여 조정과 백관과 만민을 바르게 하면,
음양이 화하고 풍우(風雨)가 때에 맞춰서 모든 복이 이른다.’ 한 것은 이러한 이치이다.”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경(敬)을 맡으니, 실상은 몸을 닦고 사람을 다스리는 강령(綱領)입니다.)

○주자(朱子)는 말하기를, “위는 자사가 도를 전수한 뜻을 서술하여(공자가 도를 증자에게 전하고, 증자는 <도를> 자사에게 전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전한 뜻을 기술한 것입니다.) 말을 세운것[立言]이니,
첫머리에는, 도의 본원은 하늘에서 나왔기 때문에 바꿀 수 없음과, 그 실은 몸에 갖추어졌기 때문에 떠날 수 없음을 밝힌 것이요,
다음은 존양(存養)하고 성찰(省察)하는 요령을 말한 것이요, 끝에는 성신(聖神)의 공화(功化)의 극진한 것을 말한 것이니,
대개 배우는 이들로 하여금 자신에 돌이켜 구하여, 스스로 체득해서 외부에서 유혹하는 사사로움을 버리고,
그 본연의 착한 것을 충만하게 하려는 것이다.”하였습니다.

○「대학」의 도(道)는 명덕(明德)을 밝히는 데 있으며, 백성을 새롭게하는 데 있으며, 지극히 착한 데에 그침에 있다.(「대학」하동)

정자는 말하기를, “친(親)자는 마땅히 신(新)자로 보아야 한다.”하였습니다.

○주자는 말하기를, “「대학」이라는 것은, 대인(大人)의 학문이다. 명(明)은 밝힌다는 뜻이요,
명덕(明德)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은 것으로 허령(虛靈)하여 어둡지 않아서[不], 모든 이치를 갖추어 만사에 응하는 것이다.
(주자는 말하기를, "허령(虛靈)해서 어둡지 않은 것은 마음이요,
이 이치가 마음에 갖추어 흡족해서 조금이라도 결함이 없는 것은 성(性)이요,
감촉하는 것을 따라 감동하는 것은 정(情)이다." 하였습니다.
옥계 노씨(玉溪盧氏)는 말하기를, "명덕(明德)이라는 것은 다만 이 본심(本心)이라." 하였습니다.)
다만 기품(氣)의 구애(拘碍)와 인욕(人欲)의 가린 바가 되어서 가끔 어두워지는 수가 있으나
그 본체(本體)의 밝은 것은 일찌기 쉴 때가 없다.
그러므로 배우는 이는 마땅히 그 발하는 바로 인하여 끝내 밝혀서 그 처음을 회복하여야 한다.
(주자는 말하기를, "명덕(明德)은 쉬지 않고 나날이 생활하는 사이에 때때로 나타난다.
가령,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는 것과, 의(義)가 아닌 것을 보고 부끄러워하는 것과,
어진 사람을 보고 공경하는 것과, 착한 일을 보고 기뻐해서 사모하는 것은 모두 명덕의 발현이다.
비록 아주 악한 사람이라도 또한 때로는 착한 생각이 발하는 수가 있으니,
마땅히 그 발한 실마리로 인하여 계속하여 그것을 빛나게 밝혀야 할 것이다." 하였습니다.)
신(新)이라는 것은 옛것을 개혁함을 이름인데, 말하자면 스스로 그 명덕(明德)을 밝혔으면
그것을 또 마땅히 미루어 남에게 미치게 해서, 그 사람으로 하여금 역시 옛날의 잘못을 버리게 하는 것이다.
지(止)라는 것은 반드시 이에 이르러 옮기지 않는다는 뜻이요, 지선(至善)이라는 것은 사리(事理)의 당연한 극치이다.
(주자는 말하기를, "지선(至善)이란 지극히 좋은 도리란 말과 같으니, 충분히 다한 <최상의> 선(善)이 그 속에 있다." 하였습니다.)
말하자면 명덕(明德)을 밝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을 다 마땅히 지극히 착한 경지에 그쳐서 옮기지 않는 것이니,
대개 반드시 그 천리(天理)의 지극한 것을 다하여 한 오라기만한 인욕(人欲)의 사사로움도 없게 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지선(至善) 이라는 것은 이 명덕(明德) 밖에 따로 선이 있다는 것이 아니고,
다만 명덕(明德) 가운데에서 극처(極處)에 이른 것이 바로 이것 아니겠습니까." 하니,
주자는 대답하기를, "명덕 가운데도 지선이 있고 신민(新民) 가운데도 지선이 있으니,
모두 그 극처에 이름을 요한다. 다만 이해하기를 극처에까지 이르러야 할 뿐 아니라,
역시 행하기를 극처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하였습니다.)
이 세 가지는 「대학」의 강령(綱領)이다." 하였습니다.

옛날에, 명덕을 천하에 밝히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나라를 다스리고,
그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가정을 다스리고, 그 가정을 다스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몸을 닦고,
그 몸을 닦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뜻을 성실하게 하고,
그 뜻을 성실하게 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지식을 극진히 하였으니, 지식을 극진히 함은 사물을 궁구하는 데에 있다.

주자는 말하기를, "명덕을 천하에 밝힌다는 것은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그 명덕을 밝히게 하는 것이다.
(주자는 말하기를, "그 체(體)와 용(用)의 전체를 극진히 하여 한 마디로 말한 것이다." 하였습니다.
신은 살피건대, 자기의 덕을 밝히는 것은 체요, 백성의 덕을 새롭게 하는 것은 용인데,
명덕을 천하에 밝힌다는 것은 체와 용을 합하여 말한 것입니다.) 마음이라는 것은 몸을 주재하는 것이다.
성(誠)은 진실한 것이요, 의(意)는 마음의 발하는 바인데,
그 마음의 발하는 바를 성실히 하는 것은 반드시 스스로 유쾌하여 속임이 없게 하려는 것이다.
치(致)는 미루어 극진히 함이요, 지(知)는 식(識)과 같은 것이니,
나의 지식을 미루어 극진히 하여 그 아는바가 다하지 않은 것이 없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격(格)은 이른다는 뜻이요, 물(物)은 일[事]과 같으니,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그 극진한 곳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없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격(格)자는 궁(窮)과 지(至)의 두 가지 뜻이 있는데, 격물(格物)의 격(格)은 궁(窮)자의 뜻이 많고
물격(物格)의 격(格)은 다만 이 지(至)자의 뜻입니다.) 이 여덟 가지는 「대학」의 조목(條目)이다." 하였습니다.
(위는 역(逆)으로 미룬 공부입니다.)

○ 또 말하기를, "격물(格物)은 몽(夢)과 각(覺)의 관문[關]이요,
성의(誠意)는 이 인(人)과 귀(鬼)의 관문[關]이니,
이 두 관문의 공부를 마치면 한 걸음 나아갈 때마다 더욱 쉬워져서,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에 이르러서는 그 걸음이 더욱 쉬워질 것이니,
모름지기 돌아보면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였습니다.

○ 또 말하기를, "치지(致知)와 격물(格物)은 이 이치를 궁구하는 것이요,
성의(誠意)와 정심(正心)과 수신(修身)은 이 이치를 체득하는 것이요,
제가(齊家)와 치국과 평천하는 이 이치를 미루어 나아가는 것이니, 3절로 나누어 보아야 한다." 하였습니다.

○ 또 말하기를 격물(格物)로부터 평천하(平天下)에 이르기까지는,
성인이 대략 선후를 나누어서 사람에게 주어 보게 한 것이요,
일건(一件)을 깨끗이 다하여 남음이 없는 뒤라야 비로소 일건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이렇게 하면 어느 때에 성취(成就)를 하겠는가." 하였습니다.

물(物)이 궁구된 뒤에 아는 것이 지극하고, 아는 것이 지극한 뒤에 뜻이 성실하고,
뜻이 성실한 뒤에 마음이 바루어지고, 마음이 바른 뒤에 몸이 닦아지고, 몸이 닦아진 뒤에 가정이 다스려지고,
가정이 다스려진 뒤에 나라가 다스려지고, 나라가 다스려진 뒤에 천하가 태평해진다.

주자는 말하기를, "물격(物格)이라는 것은 사물의 이치의 극진한 곳에 이르지 않은 것이 없는 것이고,

(이 구절은 아랫 구절과 상대하여 말한 것이기 때문에 글을 만든 것이 이와 같으나,

그 뜻은 사물의 이치가 그 지극한 곳에 이르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지지(至)라는 것은 나의 마음의 아는 바가 다하지 않은 것이 없는 것이다.

(물격(物格)과 지지(知至)는 다만 이 한 가지 일이지마는 사물의 이치로써 말하면 물격(物格)이라 하니,

사물의 이치가 각각 그 지극한 곳에 도달한 것을 말함이요, 나의 마음으로써 말하면 지지(知至)라 하니

나의 마음이 가는 바에 따라서 극진하지 않은 것이 없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아는 것이 이미 극진하면 곧 뜻이 성실하게 될 것이며,

뜻이 이미 성실하면 곧 마음이 바르게 될 것이니, 수신(修身) 이상은 명덕(明德)을 밝히는 일이요,

제가(齊家) 이하는 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이다." 하였습니다. (위는 순(順)으로 미룬 공효(功效)입니다.)

○ 정자는 말하기를, "치신(治身)과 제가(齊家)로부터 평천하(平天下)에 이르기까지는
다스리는 도(道)요, 치강(治綱)을 세우고 백 가지 직책을 나누어 바르게 하여 천시(天時)를 따라 일을 제재하고,
제도와 법도를 만들어서 천하의 일을 다하는 것은 다스리는 법(法)이니, 성인이 천하를 다스리는 도는 오직 이 두 가지뿐이다." 하였습니다.
(건안 섭씨(建安葉氏)는 말하기를, "도(道)라는 것은 다스리는 근본이요, 법이라는 것은 다스리는 도구이니 편벽되게 폐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또한 반드시 근본이[立] 뒤에 그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였습니다.)

신이 살피건대, 성현의 학문은 몸을 닦고 사람을 다스리는 데 지나지 않을 뿐입니다.
이제 「중용」과 「대학」 첫 장의 설을 모아 엮게 되니, 실제로 서로 표(表)가 되기도 하고 이(裏)가 되기도 하여,
몸을 닦고 사람을 다스리는 도가 갖추어 다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대개 천명(天命)의 성(性)은 명덕(明德)의 갖춘 바이요, 솔성(率性)의 도는 명덕의 행한 바이며,
수도(修道)의 교(敎)는 신민(新民)의 법도(法度)입니다.
계구(戒懼)라는 것은 정존(靜存)하여 마음을 바르게 하는 유요, 신독(愼獨)이라는 것은 동찰(動察)하여 뜻을 진실하게 하는 유이며,
중화(中和)를 이룩하여 위육(位育)한다는 것은 명덕(明德)·신민(新民)이 지극히 착한 데에 그쳐 명덕을 천하에 밝히는 것을 말함입니다.
다만 미치는 바가 많고 적음이 있으며, 공효(功效)가 넓고 좁음이 있습니다.
치중화(致中和)의 공이 한 가정에 그치면 곧 한 가정의 천지가 안정하고, 만물이 생육하여 명덕(明德)이 한 가정에서 밝을 것이고,
(한 가정에 어찌 따로 천지와 만물이 있겠습니까?
다만 이 부자(父子)와 부부(夫婦)와 형제(兄弟)가 각각 그 분수를 바르게 하면, 이것이 천지가 안정된 기상이며,
자효(慈孝)와 우공(友恭)과 창수(唱隨)하는 것이 각각 그 정(情)을 다하면 이것이 만물이 생육하는 기상입니다.)
한 나라에 그치면 한 나라의 천지가 안정되고 만물이 생육하여 명덕이 한 나라에 밝아질 것이며,
천하에 미친다면 곧 천하의 천지가 안정되고 만물이 생육하여, 명덕이 천하에 밝을 것입니다.

3대 이후에 한 집안이 위육(位育)한 것은 세상에 간혹 있었지마는,
한 나라와 천하가 위육했다는 것은 듣지 못하였으니, 그래서 깊이 전하께 바라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