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9.6. 응봉산 산행기
덕구온천-원탕-응봉산정상-도계삼거리-제3용소폭포-덕풍산장-풍곡리주차장

 

 

서울에서 2009.9.5.밤11시를 넘은시간에 출발 한 차량은 덕구온천주차장에 도착한시간이
다음날 9.6.새벽 5시를 조금 넘은시간에 도착했다.
도착해서 아침식사를 백설기로 요기를 하고 날이 밝아지자 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덕구온천에서 산을 오르기 시작한 시간이 새벽 5시50분쯤 날이 밝아지면서 산을 올랐다.
덕구온천에서 온탕까지는 거의 평범한 트레킹코스로 가벼운 발걸음을 재촉하며 처지는 사람이
거의 없는 가운데 모두 원탕에 도착했다.
원탕에서 발을담그며 잠시 머물고 쉬었다가,원점회기 코스는 남고 풀코스 A코스로 산을 오르기로
예정한 사람들은 응봉산 정상을 향해 오르기 시작했다.
응봉산 정상까지는 험하지는 않았으나 계속해서 오르는 산행은 꽤나 힘들고 지친 코스였다.
우리는 쉬엄쉬엄 응봉산 정상에 올라 사진도 한컷하고 잠시 요기를 하고 용소골 계곡을 향해
하산길을 재촉했다. 얼마쯤 왔을까..
제3용소폭포를 만나서 쉬었고 아침겸 점심 식사를 하면서 풍경을 즐기는 시간이 10시를 넘은시간
우리는 점심을 만나게 먹고 하산을 서둘렀다.
하산길이 만만치 않을거라고 예상을 했기때문이다.
하산하는 길은 용소골 계곡으로 예상하기로는 정상에서 풍곡산장까지
5-6시간 정도면 도착할거라고 생각했는데 가도가도 끝은 안보이고 어떤 안내판도 하나도 없고
정말 지루하고 힘든 계곡 하산 길 이었다.
계곡에 흐르는 물과 아름다운 경치가 없었더라면 더 외롭고 힘든 코스였으나
철철 흐르는 맑고 깨끗한 물과 폭포들은 우리를 쉬어가게 만들었고 지루하지 않게 해 주었다.
계곡을 좌우로 건너며 하산하는 코스는 특별히 길이 있는것도 아니고 앞 전에 다녀갔던
발자욱을 보면서 내려 와야 했으며 군데 군데 위험한 코스들이 넘 많았었다.
남자들도 내려오기 힘든 코스를 여성분들이 함께 해서 아무런 탈 없이 무사히 하산 할 수
있었던 것은 조별로 묵어서 서로 협조하며 내려올수 있었던것이 아닌가 싶다.
기진맥진해서 덕풍산장에 도착한 시간이 오후4시를 넘는 시간으로 지칠데로 지쳤다.
덕풍산장에서 풍곡리 주차장까지는 걸어서 시간반이란다.
우리는 마을 어느분이 운영하는 W캡을 삼만원 15인이상승차 하는 화물차에 탑승 약15분정도
내려와 주차장에 도착했다.
후미가 도착한 시간이 오후5시가 다 된 시간이었다.
우리는 막걸리에 하산주를 맛나게 한잔씩 하고 서울로 향하는 상행길을 재촉했다.
서울에 도착한 시간이 밤11시를 조금 넘은시간..
우리는 간신히 마지막 전철을 탈 수 있었다.
응봉산과 용소골 계곡을 함께 동행한 님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Faust. idiots HanEunSeob

 

 

 

 

 

 

 

 

 

 

 

 

 

 

 

 

 

 

 

 

 

 

 

2009.7.26. 강촌 삼악산 산행사진

 

 

 

 

 

 

 

 

 

 

 

 

 

 

한은섭

2009.7.3-5.백두산을 다녀오다.

 

3일 새벽 3시30분에 집을나서 4시20분 석수역출발 6004번 리무진 버스

서부터미널 4시50분쯤 탑승 리무진 버스요금 8000원 인천공항에 5시40분경 도착

인천공항에서 8시30분에 출발하는 대한항공 KE831 편으로 약 1시간40분가량 소요

중국 심양공항에 도착 여행사에서 준비해놓은 차량을 타고 송강하로 이동

약 9시간 가량 이동하는 도중 통화라는 시가지에 조선족이 운영하는 식당에 들러

점심을 먹고 이동 송강하에 컴컴해서야 도착했다.도착후 바로 저녁 식사를 하고

송하강에 명주호텔이라는 숙소에 여장을 풀었다.

숙소가 우리나라에 여관수준보다 못했으며 기온은 우리나라와 비슷했다.

3일밤 몆몆 일행들과 공항에서 사간 씨바스 양주를 한잔씩 나눠마시고 타국에서

편안한 여행에 첫날밤 숙면을 취하고

다음날 아침 5시 기상 아침식사를 현지식이라는데 흰죽에 계란찐것과 빵을 먹고

차를타고 백두산을 오르기위해 한참을 이동해야만 했으며

약4-50분후 서파 산문이라는 매표소에 도착 표를 끈어 환경보호차량이라는 차를타고

다시 이동 백두산 5호 경계비주차장에 도착 천지를 향해 1,263개의 계단을 올랐다.

주차장에 도착 하니 안개가 쫙~덥었으며 천지를 못 볼것 갔았다.

물론 이번 여행기간 날씨가 좋아 꼭 천지를 볼거라는 예감을 했지만

일년365일중 날씨가 좋아서 천지를 볼수 있는날은 불과 30일정도라는 가이드에 예기

그래도 안개가 비오듯 하니 걱정을 하면서 계단을 걸어서 천지를 향해 올랐다.

아니 이게 왠일일까..

천지에 도착하니 거짖말처럼 안개가 걷히면서 그 웅장한 천지를 보여주는게 아닌가.

대부분 백두산 관광객들은 계단을 올라 이곳 천지에서 구경을 하고 하산 하는데

현지 가이드와 함께 백두산 종주를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한국 사람들 뿐이었다.

우리는 서둘러 청석봉쪽으로 등산 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청석봉.백운봉.녹명봉.용문봉.을 거쳐 장백폭포.옥벽폭포를 보면서 소천지쪽으로

하산하는 코스였다.

산은 만만한 코스가 아니었다.

우리는 천지를 가운데두고 서쪽에서 남쪽으로 봉우리를 오르락 내리락하면서

산행을 했다.

산행을 하는가운데 천지는 계속해서 우리를 보여 주었으며 백운봉을 오를때는

비도 내렸고 비를 맞으며 가파른 힘든 2,695m의 백운봉을 오를때는 정말 힘들었다.

백운봉에서 만난 비와 약간에 진눈깨비를 맞으며 정상에 도착 너무 배가고파서

점심을 먹어야 했다.ㅋㅋ 한여름 7월에 추워서 손이 꽁꽁얼고 몸이 덜덜떨려

점심을 재데로 먹을수가 없었다면 누가 믿어줄까?

비를 맞으며 추위에 손가락이 아파서 밥을 제대로 먹을수 없었다.

우리는 대충 시장기를 면하고 다시 산행을 시작했다.

그런데 금방 또 날씨가 좋아졌다.

고지를 벗어나 약간 이동을하니 날씨는 했볏이 쨍쨍 우리를 따뜻하게 녹여 주었다.

변화무쌍한 백두산에 날씨를 우리는 다 경험 할 수가 있었다.

하산하면서 천지연폭포와 옥벽폭포 천지에서 나오는 자연온천물에 신발도 씻으며

무사히 하산을 했다.

하산을 하니 시간이 촉박하다.

선두로 내려온 사람들은 온천욕을 충분치는 않겠지만 그래도 즐겼으리라.

허나 우리가 북파 주차장에 도착하니 시간이 없단다 5시30분차가 막차란다.

백두산에서 제공하는 막차를 타고 나와야 한다.

우리는 20분만에 온천물로 샤워만하고 나와야 했다.

겨우 딱 우리까지만 온천욕을 할수가 있었다.15.16번째로

이날 백두산 온천에서 온천욕을 하는 사람은 16명뿐 나머지는 하산이늦어

온천물에 몸을 씻을수가 없었다.

우리는 북파 산문을 빠져나와 차를 타고 이도백하로 이동하는 중에

저녁식사를 하고 이도백하에 도착했다.

열차시간 까지는 3-4시간 공백이 있어 역 대합실에 자리를 잡고 않아

맥주를 마시며 시간을 보내다 시간이 되서 열차에 올랐다.

이도백하에서 통화 까지는 야간 열차를 타고 이동 해야했다.

이도백하에서 밤12시30분에 출발하는 3층 침대칸 열차에 몸을 싫고 통화로

이동했다.

통화에서 아침 식사를 하고 버스를 타고 비행기를 타기 위해 심양으로 향했다.

심양에 도착 점심을 삼계탕에 빼갈을 한잔씩 하고나서 비행기 시간이 있어

심양 시청앞 광장에 도착 자유시간을 즐기기도 했다.

심양에서 출발하는 KE834 6시45분 비행기를 타고 인천공항에 9시30분경 도착

2박3일동안에 백두산 산행을 무사히 마치고 귀가할수 있었다.

내생에 처음이자 마지막이될 백두산 산행 영원히 죽어서도 있지 못할것이다.

좋은사람들과 좋은산행.좋은여행 이로서 백두산.한라산.지리산.그외..

우리나라에서 높다는 산은 대부분 다 가볼수가 있어서 너무 좋았다.

 

 Faust .idiots HanEunSeob 

 

 

 

 

 

 

 

 

 

 

 

 

 

 

 

 

 

 

 

 

  

 

 

 

 

 

 

 

 

 

 

 

 

 

 

 

 

 

 

 

 

 

 

 

 

 

 

 

 

 

 

 

 

 

 

 

 

 

 

 

 

 

 

 

 

 

 

 

 

 

 

 

 

 

 

 

 

 

 

 

 

 

 

 

 

 

 

 

 

 

 

 

 

 

 

 

 

 

 

 

 

 

 

 

 

 

 

 

 

 

 

 

 

 

 

 

 

 

 

 

 

 

 

 

 

 

 

 

 

 

 

 

 

 

 

 

 

 

 

 

 

 

 

 

 

 

 

 

 

 

 

 

 

 

 

 

 

 

 

 

 

 

 

 

 

 

 

 

 

 

 

 

 

 

 

 

 

 

 

 

 

 

 

 

 

 

 

 

 

 

 

 

 

 

 

 

 

 

 

 

 

 

 

 

 

 

 

 

 

 

 

 

 

 

 

 

 

 

 

 

 

 

 

 

 

 

 

 

 

 

 

 

 

 

 아래 심양 방송국건물

 

 

 

 

 

 

 

 

 

 심양시청앞 광장에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