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마(靑馬) 이야기
인류가 지상에 나타났을 때 말의 조상은 이미 사라지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쪽에 조금 남아 있었는데,
오늘날 가축화된 말의 시조는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던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광주와 경북 문경지방에서 석기시대 말의 치아가 발견되긴 했으나,
말이 가축으로 길러진 것은 청동기시대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토종말은 제주도 조랑말로서 비록 체구는 작지만 강인한 체질이며 순하고 영리하다.
토종말 외에도 고려시대에는 몽고가 한동안 제주도에서 말을 사육하여 군마로 쓰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김만일이라는 사람이 있어서 우리 말의 좋은 혈통을 보존키 위해
우수한 숫말의 귀를 잘라 표시하거나 한쪽 눈을 보지 못하게 했다는 기록도 있다.
우리 문헌에 말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신라의 박혁거세 탄생설화를 보면,
백마(白馬)의 울음소리를 듣고 가보니, 백마가 알을 품고 있다가 승천하면서 큰 알을 하나 두고 갔는데,
그 알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밖에도 후백제의 견훤 탄생설화 등 신성한 탄생을 주제로 한 설화에는 백마가 곧잘 등장한다.
여기서 말은 지상과 천상을 이어주는 신령스러운 교촌자 역할을 맡고 있다.
말은 십이지 동물 가운데 조류인 닭과 상상의 동물인 용과 함께 하늘을 날 수 있는 신성한 서수(瑞獸)로 그려졌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신라 고분인 천마총 벽화이다.
벽화의 주인공은 날개 달린 천마(天馬)다. 천마는 지상에서 이룰 수 없는 희구(希求)를 담고 있다.
천마는 하늘의 옥황상제가 타고 다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지상의 말에 날개를 달아 천상을 날게 한 상상은 우리 민족의 말에 대한 신앙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소나 돼지, 심지어 개고기까지 먹으면서도 말고기는 먹지 않았으며,
말이 죽으면 따로 무덤까지 만들어 주었다.
경기도 파주 윤관 장군 묘역을 비롯하여 전국 여러 곳에 말 무덤이 있다.
말은 십이지 동물 가운데 용호과 함께 튼튼한 육체와 활기 넘치는 정력의 화신으로서
희망과 밝은 미래를 약속해주는 존재로도 자리잡았다.
속담에 '말 가는데 소도 간다'는 말이 있듯이, 말은 우두머리요, 지도자요, 선구자를 상징한다.
실제로 우리의 민속놀이인 윷놀이에서도 말은 으뜸이다.
도는 돼지, 개는 개, 윷은 소를 상징하고, 가장 점수가 많은 모는 말을 상징한다.
즉 단순한 뜀박질이 아니라 말은 힘과 능력을 의미한다.
그래서 옛날 사대부 집안에서는 자손들의 출세가도를 위해 높은 기상과 청정함을 상징하는 백말 그림을 걸어놓았다.
부부의 인연을 맺는 혼례에서도 말은 빠질 수 없는 동물이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에도 혼례를 치르는 신랑이 백말을 타고 신부집으로 가고 있다.
정조가 한 가난한 신랑이 돈이 없어 혼례를 못 치르는 딱한 사정을 알고
말 한 필을 하사하여 혼례시켰다는 이야기도 같은 맥락이다.
말은 또한 신의(信義)의 상징이다.
즉 나라 사이의 공물에서 빠진 적이 없는데, 두 나라 사이의 신의의 상징이었던 것이다.
단군 왕검의 아들이 중국의 우왕에게 홍수를 다스리는 법을 전수할 때에도 그 신의를 저버리지 않겠다는 맹세로
우왕이 백마 피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고전 《홍길동》에도 도적들이 홍길동을 우두머리로 받드는 과정에서 백마 피를 올려 충성을 맹세하는 대목이 나온다.
이렇듯 동물 중에 말을 상수(上水)로 치는 것은 우리 민족의 말에 대한 신앙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토속신앙인 무당의 굿거리에는 군마대왕(軍馬大王)이 등장하는데, 이는 곧 힘을 다스리는 무신(武神)이다.
그래서 당골들은 제단에 짚이나 나무로 말 모양을 만들어 올려놓고 있다.
그런가 하면, 말은 서낭신이 타고 다니는 승용차이며, 호랑이를 퇴치하는 사냥마이기도 했다.
남해안 충무지방이나 서산지방의 당집에서 흔히 본다.
그중에서 발가락이 하나 없는 것은 다른 말과의 차별성 때문이 아닌가 한다.
말은 양(陽)을 상징하는 동물로 일찌기 알려져 왔다.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양기가 가장 충만했을 때를 정오라고 한다.
왕성한 에너지와 정열적인 활동 역시 말의 몫이다.
그래서 우리의 전통적 가부장 사회에서는 일찌기 말을 남성적 동물로 여겨 왔다.
새해 들어 첫 오일(午日)을 '말의 날'이라 하여 말에게 일을 시키지 않고 좋은 음식으로 대접하였다.
상오일에는 장을 담그면 좋다고 했다.
안녕하십니까?
갑오년(甲午年) 새 해가 힘차게 떠올랐습니다.
저야 저 동해바다 정동진까지 달려가 해돋이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배란다’ 넓은 창밖으로 떠오르는 붉고 찬란한 ‘청마(靑馬)’ 한 마리를 품에 안았지요.
2014년은 ‘청마의 해’라고 합니다.
푸른 말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말띠 해에 청마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은 어떻게 해서 나오는지 한 번 알아봅니다.
우선 흑마가 12년 만에 청마가 된 것은 60갑자의 원리를 알면 이해가 쉽습니다.
간지(干支)는 갑(甲)ㆍ을(乙)ㆍ병(丙)ㆍ정(丁)ㆍ무(戊)ㆍ기(己)ㆍ경(庚)ㆍ신(申)ㆍ임(壬)ㆍ계(癸)라는 10간과
자(子 쥐)ㆍ축(丑 소)ㆍ인(寅 호랑이)ㆍ묘(卯 토끼)ㆍ진(辰 용)ㆍ사(巳 뱀)ㆍ오(午 말)ㆍ미(未 양)ㆍ
신(申 원숭이)ㆍ유(酉 닭)ㆍ술(戌 개)ㆍ해(亥 돼지)라는 12지가 순서대로 맞물리면서 그 해의 이름이 정해집니다.
이때 10간(干)을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따라 2개씩 묶어 5가지 색으로 나눕니다.
그러면 갑과 을은 나무를 상징하는 청색, 병과 정은 불을 상징하는 적색, 무와 기는 흙을 나타내는 황색이 되죠.
또 경과 신은 금을 상징하는 백색, 임과 계는 물을 상징하는 흑색입니다.
그리고 12동물(12支)의 해는 12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며 같은 색깔, 같은 동물의 해가 돌아오기까지는 60년이 걸리죠.
한 가지 동물은 12년마다 색깔이 바뀌면서 60년 동안 5가지 색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말은 상서로움과 희망, 정열과 믿음의 상징이라고 합니다.
말의 이미지는 박력과 생동감으로 표현됩니다.
싱싱한 생동감, 뛰어난 순발력, 탄력 있는 근육, 미끈하고 탄탄한 체형, 기름진 모발,
단단한 말굽과 거친 숨소리가 연상돼 강인한 인상을 주죠.
이러한 말은 고래로 원시미술ㆍ고분미술ㆍ토기ㆍ토우ㆍ벽화 등 예술의 소재로 사용됐으며,
신화ㆍ전설ㆍ민담ㆍ속담ㆍ시가(詩歌) 등의 이야기에도 자주 등장했죠.
그 말의 상징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것도 재미 있을 것 같네요.
첫째, 말은 정열과 양(陽)을 상징합니다.
예로부터 말은 양(陽)을 상징하는 동물로 알려져 왔습니다.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양기가 가장 충만했을 때를 정오(正午)라고 하지요.
왕성한 에너지와 정열적인 활동 역시 말의 몫이 아닌가요?
그래서 우리의 전통적 가부장 사회에서는 일찍이 말을 남성적 동물로 여겨온 것입니다.
둘째, 말은 지상과 천상(天上)을 잇는 동물입니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탄생설화를 보면, 말은 천상의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역할자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고허촌장 소벌공이 상서로운 빛이 하늘에서 나정(蘿井) 우물 옆 숲 사이로 드리웠기에 찾아갔습니다.
흰말 한 마리가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죠.
말이 울던 그 자리에 불그스름한 큰 알이 하나 있네요.
소벌공이 알을 깨뜨려 보니 총명한 사내아이가 들어있었습니다.
박만한 알에서 태어나 성을 박이라 하고 빛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에서 이름을 혁거세라 했습니다.
바로 그가 하늘의 뜻을 이은 신라의 시조이며 경주 박씨의 시조 박혁거세인 것입니다.
셋째, 말은 신령스러운 동물입니다.
말은 12지 동물 가운데 조류인 닭, 상상의 동물인 용과 함께 하늘을 날 수 있는 신성한 동물로 그려져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신라 고분 천마총 벽화이죠.
벽화의 주인공은 날개 달린 천마입니다.
천마는 하늘의 옥황상제가 타고 다니는 말이라고 합니다.
지상의 말에 날개를 달아 천상을 날게 한 상상은 우리 민족의 말에 대한 신앙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예입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소나 돼지, 심지어 개고기까지 먹으면서도 말고기는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말이 죽으면 따로 무덤까지 만들어 주었죠.
넷째, 말은 밝은 미래와 희망을 약속합니다.
말은 튼튼한 육체와 활기 넘치는 정력의 화신으로 밝은 미래와 희망을 약속해주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말은 우두머리요, 지도자요, 선구자를 상징합니다.
실제로 우리의 민속놀이인 윷놀이에서도 말이 으뜸입니다.
도는 돼지, 개는 개, 윷은 소를 상징하고, 가장 점수가 많은 모는 말을 상징한다고 하네요.
즉 단순히 뜀박질을 잘하는 동물을 넘어 말은 힘과 능력을 의미하죠.
다섯째, 말은 신의(信義)의 상징입니다.
나라와 나라 사이의 공물(供物)을 주고받을 때 말은 목록에서 빠진 적이 없습니다.
두 나라 사이의 신의를 상징하기 때문이죠.
단군 왕검의 아들이 중국의 우왕에게 홍수를 다스리는 법을 전수할 때에도
그 신의를 저버리지 않겠다는 맹세로 우왕이 백마 피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홍길동전〉에도 도적들이 홍길동을 우두머리로 받드는 과정에서 백마 피를 올려 충성을 맹세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이렇듯 동물 중에 말을 상수(上首)로 치는 것은 우리 민족의 말에 대한 신앙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죠.
여섯째, 말은 불교에서 여의륜(如意輪) 보살이라고 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회화(繪畵)로 표현한 탱화 가운데, 오신장(午神將)을 그린 탱화가 있습니다.
여의주를 만드는 여의륜(如意輪)보살의 화신인 오신장은 말 모습을 하고 있죠.
이름은 ‘마지라’이며 작살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엇인가 원하는 바가 있는 생명체들에게 여의주(如意珠)를 만들어 창고에 뒀다가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이 청마 예찬론!
갑오년 말띠해의 청마는 적어도 이 여섯 가지의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능히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동물이 아닌가요?
이런 말의 신령스런 기운을 받은 우리입니다.
어느 해나 다사다난하지 않은 해는 없었습니다.
올 한 해도 만만치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를 일러 난세(亂世)라 하죠.
기정진(奇正鎭 : 1798년∼1879년)의 난세를 무사히 살아가는 비결(秘訣)로 ‘청마의 해’를 맞이해 보면 어떨 까요!
「처세에는 부드러운 것이 제일 귀하고/ 강강함은 재앙의 근본이니라./
말하기는 어눌한 듯 조심히 하고/ 일 당하면 바보인 듯 삼가 행하라/
급할수록 그 마음 더욱 늦추고/ 편안할 때 위태한 것 잊지 말아라/
이 글대로 일생을 살아간다면/ 그 사람이 참으로 대장부니라.」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하족과 헬리콥터 엔젤족 (0) | 2014.03.14 |
---|---|
2014년 갑오년 토정비결 (0) | 2014.01.08 |
사랑하는 외손녀 김지유 사진모음 (0) | 2013.12.11 |
신의 (0) | 2013.12.02 |
인품의 품격 (0) | 201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