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水地比(수지비)
比吉(비길) : 비는 길하니
原筮(원서) : 처음 점을 하되
元永貞無咎(원영정무구) : 크고 장구하고 정도들 얻게 될 때허물이 없으리라.
不寧方來(불녕방래) : 편하지 못하여야 바야흐로 돌아오니,
後夫凶(후부흉) : 뒤에 돌아오면 대장부라도 흉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比吉也(비길야) : 비는 길한것이며,
比輔也(비보야) : 비는 돕는 것이니,
下順從也(하순종야) : 아래가 순종한다.
原筮元永貞無咎(원서원영정무구) : 처음 점을 침에 크고 장구하고 바른 도로써 친애흘 때 탈을 면할 수 있다고 함은
以剛中也(이강중야) : 강양과 중정의 도로 임하기 때문이다
不寧方來(불녕방래) : 에워싼 무리들이 찾아드는 것은
上下應也(상하응야) : 윗사람과 아랫 사람이 서로 호응하고 있기 때문이요
後夫凶(후부흉) : 기회를 놓친 자가 아무리 강한 기상을 지니고 있어도 흉하다 함은
其道窮也(기도궁야) : 그 길이 막히기 때문이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地上有水比(지상유수비) : 땅위에 물이 있는 것이 비괘다
先王以建萬國親諸侯(선왕이건만국친제후) : 선왕이 이로써 만국을 세우고 제후를 친애한다.
初六(초륙) : 초육은
有孚比之(유부비지) : 믿음을 두고 친화하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니
有孚盈缶(유부영부) : 믿음을 둠이 그릇에 가득하면
終來有它吉(종래유타길) : 마침내 뜻밖의 다른 데에서 길함이 나타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初六(비지초륙) : '비의 초육'은
有它吉也(유타길야) : 다른 데에서 길함이 나타난다.
六二(육이) : 육이는
比之自內(비지자내) : 돕는 것을 안으로부터 하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自內(비지자내) : '지지자내'는
不自失也(불자실야) : 스스로 잃지 아니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比之匪人(비지비인) : 친화할 수 없는 자와 친화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匪人(비지비인) : 친화할 수 없는 자와 친화하니
不亦傷乎(불역상호) : 또한 잃지 않겠는가.
六四(륙사) : 육사는
外比之(외비지) : 외부에서 도우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리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外比於賢(외비어현) : 밖으로 어진 이를 돕는 것은
以從上也(이종상야) : 위를 좇기 때문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顯比(현비) : 나타나게 돕는 것이니,
王用三驅(왕용삼구) : 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失前禽(실전금) : 옆의 새를 달아나게 하여
邑人不誡吉(읍인불계길) : 읍 사람을 경계하지 아니하니 길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顯比之吉(현비지길) : '현비지길'은
位正中也(위정중야) : 위가 정히 가운데 함이요,
舍逆取順(사역취순) : 거역하는 자를 버리고 순종하는 자를 취하고
失前禽也(실전금야) : 달아 나는 짐승을 버려두는 것이다
邑人不誡(읍인불계) : 나라의 백성을 경계하지 않음은
上使中也(상사중야) : 위에서 부림이 정당하기 때문이다
上六(상륙) : 상육은
比之無首凶(비지무수흉) : 돕는데 상대가 없으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比之無首(비지무수) : 친화의 길을 모색하나 상대가 없음은
無所終也(무소종야) : 친화의 대열에서 끝까지 할 사람이 때문이다
【傳】比, 序卦, 衆必有所比, 故受之以比, 親輔也, 人之類, 必相親輔然後, 能安, 故旣有衆則必有所比, 比所以次師也, 爲卦,
上坎下坤, 以二體言之, 水在地上, 物之相切比无間, 莫如水之在地上, 故爲比也, 又衆爻, 皆陰, 獨五, 以陽剛, 居君位, 衆所親附而上亦親下, 故爲比也.
比, 吉하니 元筮호대 元永貞이면 无咎리라.
【傳】比, 吉道也, 人相親比, 自爲吉道, 故雜卦, 云比樂師憂, 人相親比, 必有其道, 苟非其道則, 有悔咎, 故必推原占決其可比者而比之, 筮, 謂占決卜度,
非謂以蓍龜也, 所比, 得元永貞則无咎, 元, 謂有君長之道, 永, 謂可以常久, 貞, 謂得正道, 上之比下, 必有此三者, 下之從上, 必求此三者則无咎也.
不寧이어야 方來니 後면 夫라도 凶이리라.
【傳】人之不能自保其安寧, 方且來求親比, 得所比則能保其安, 當其不寧之時, 固宜汲汲以求比, 若獨立自恃, 求比之志, 不速而後則雖夫,
亦凶矣, 夫猶凶, 況柔弱者乎, 夫, 剛立之稱, 傳, 曰子南, 夫也, 又曰是謂我非夫, 凡生天地之間者, 夫有不相親比而能自存者也, 雖剛强之至,
未有能獨立者也, 比之道, 由兩志相求, 兩志不相求則睽矣, 君, 懷撫其下, 下, 親輔於上, 親戚朋友鄕黨, 皆然, 故當上下, 合志以相從, 苟无相求之意則離而凶矣,
大抵人情, 相求則合, 相持則睽, 相持, 相待莫先也, 人之相親, 固有道, 然而欲比之志, 不可緩也.
【本義】比, 親輔也, 九五, 以陽剛, 居上之中而得其正, 上下五陰, 比而從之, 以一人而撫萬邦, 以四海而仰一人之象, 故筮者,
得之則當爲人所親輔, 然, 必再筮以自審, 有元善長永正固之德然後, 可以當衆之歸而无咎, 其未比而有所不安者, 亦將皆來歸之,
若又遲而後至則此交, 已固, 彼來, 已晩而得凶矣, 若欲比人則亦以是而反觀之耳.
彖曰 比는 吉也며
【本義】此三字, 疑衍文.
比, 輔也니 下順從也라.
【傳】比, 吉也, 比者, 吉之道也, 物相親比, 乃吉道也, 五以陽, 居尊位, 群下, 順從以親輔之, 所以爲比也.
【本義】此, 以卦體, 釋卦名義.
原筮 元永貞 无咎는 以剛中也오.
【傳】推原筮決相比之道, 得元永貞而後, 可以无咎, 所謂元永貞, 如五, 是也, 以陽剛居中正, 盡比道之善者也, 以陽剛當尊位,
爲君德元也, 居中得正, 能永而貞也, 卦辭, 本泛言比道, 彖言元永貞者, 九五, 以剛處中正, 是也.
不寧方來는 上下 應也오.
【傳】人之生, 不能保其安寧, 方且來求附比, 民不能自保, 故戴君以求寧, 君不能獨立, 故保民以爲安, 不寧而來比者, 上下, 相應也, 以聖人之公,
言之, 固至誠求天下之比, 以安民也, 以後王之私, 言之, 不求下民之附則危亡, 至矣, 故上下之至, 必相應也, 在卦言之, 上下群陰, 比於五, 五比其衆,
乃上下應也. 後夫凶은 其道 窮也라.
【傳】衆必相比而後, 能遂其生, 天地之間, 未有不相親比而能遂者也, 若相從之志, 不疾而後則不能成比, 雖夫, 亦凶矣, 无所親比, 困屈以致凶, 窮之道也.
【本義】亦以卦體, 釋卦辭, 剛中, 謂五, 上下, 謂五陰.
象曰 地上有水 比니 先王이 以하야 建萬國하고 親諸侯하니라.
【傳】夫物相親比而无間者, 莫如水在地上, 所以爲比也, 先王, 親比之象, 以建萬國親諸侯, 建立萬國, 所以比民也, 親撫諸侯, 所以比天下也.
【本義】地上有水, 水比於地, 不容有間, 建國親侯, 亦先王所以比於天下而無間者也, 彖意, 人來比我, 此, 取我往比人.
初六, 有孚比之라아 无咎리니.
【傳】初六, 比之始也, 相比之道, 以誠信爲本, 不信而親人, 人誰與之, 故比之始, 必有孚誠, 乃无咎也, 孚, 信之在中也.
有孚 盈缶면 終에 來有他吉하리라.
【傳】誠信, 充實於內, 若物之盈滿於缶中也, 缶, 質素之器, 言若缶之盈實其中, 外不加文飾則終, 能來有他吉也, 他, 非此也,
外也, 若誠實, 充於內, 物无不信, 豈用飾外以求比乎, 誠信, 中實, 雖他外, 皆當感而來從, 孚信, 比之本也.
【本義】比之初, 貴乎有信, 則可以无咎矣, 若其充實, 則又有他吉也.
象曰 比之初六은 有他吉也니라.
【傳】言比之初六者, 比之道, 在乎始也, 始能有孚則終, 致有他之吉, 其始不誠, 終焉得吉, 上六之凶, 由无首也.
六二, 比之自內니 貞하야 吉토다.
【傳】二與五, 爲正應, 皆得中正, 以中正之道, 相比者也, 二處於內, 自內, 謂由己也, 擇才而用, 雖在乎上而以身許國, 必由於己,
己以得君, 道合而進, 乃得正而吉也, 以中正之道, 應上之求, 乃自內也, 不自失也, 汲汲以求比者, 非君子自重之道, 乃自失也.
【本義】柔順中正, 上應九五, 自內比外而得其貞, 吉之道也, 占者, 如是則正而吉矣.
象曰 比之自內는 不自失也라.
【傳】守己中正之道, 以待上之求, 乃不自失也, 易之爲戒, 嚴密, 二雖中正, 質素體順, 故有貞吉自失之戒, 戒之自守, 以待上之求,
无乃涉後凶乎, 曰士之修己, 乃求上之道, 降志辱身, 非自重之道也, 故伊尹武侯, 救天下之心, 非不切, 必待禮至然後, 出也.
【本義】得正則不自失矣.
六三, 比之匪人이라.
【傳】三不中正而所比, 皆不中正, 四, 陰柔而不中, 二, 存應而比初, 皆不中正, 匪人也, 比於匪人,
其失, 可知, 悔吝, 不假言也, 故可傷, 二之中正而謂之匪人, 隨時取義, 各不同也.
【本義】陰柔不中正, 承乘應, 皆陰, 所比, 皆非其人之象, 其占, 大凶, 不言可知.
象曰 比之匪人이 不亦傷乎아.
【傳】人之相比, 求安吉也, 乃比於匪人, 必將反得悔吝, 其亦可傷矣, 深戒失所比也.
六四, 外比之하니 貞하야 吉토다.
【傳】四與初, 不相應而五比之, 外比於五, 乃得貞正而吉也, 君臣相比, 正也, 相比, 相與宜也, 五, 剛陽中正, 賢也, 居尊位, 在上也, 親賢從上,
比之正也, 故爲貞吉, 以六居四, 亦爲得正之義, 又陰柔不中之人, 能比於剛明中正之賢, 乃得正而吉也, 又比賢從上, 必以正道則吉也, 數說相須, 其義, 始備.
【本義】以柔居柔, 外比九五, 爲得其正, 吉之道也, 占者, 如是則正而吉矣.
象曰 外比於賢은 以從上也라.
【傳】外比, 謂從五也, 五, 剛明中正之賢, 又居君位, 四, 比之, 是, 比賢, 且從上, 所以吉也.
九五, 顯比니 王用三驅에 失前禽하며 邑人不誡니 吉토다.
【傳】五居君位, 處中得正, 盡比道之善者也, 人君比天下之道, 當顯明其比道而已, 如誠意以待物, 恕己以及人, 發政施仁, 使天下, 蒙其惠澤, 是人君親比天下之道也, 如是, 天下, 孰不親比於上, 若乃暴其小人, 違道干譽, 欲以求下之比, 其道, 亦狹矣, 其能得天下之比乎, 故聖人, 以九五, 盡比道之正, 取三驅爲喩曰王用三驅失前禽邑人不誡吉,
先王, 以四時之畋, 不可廢也, 故推其仁心, 爲三驅之禮, 乃禮所謂天子不合圍也, 成湯祝綱, 是其義也, 天子之畋, 圍合其三面, 前開一路, 使之可去, 不忍盡物,
好生之仁也, 只取其不用命者, 不出而反入者也, 禽獸前去者, 皆免矣, 故曰失前禽也, 王者, 顯明其比道, 天下, 自然來比, 來者, 撫之, 固不呴呴, 然求比於物, 若田之三驅,
禽之去者, 從而不追, 來者則, 取之也, 此, 王道之大, 所以其民, 皥皥而莫知爲之者也, 邑人不誡吉, 言其至公不私, 无遠邇親疎之別也, 邑者, 居邑, 易中所言邑, 皆同,
王者所都, 諸侯國中也, 誡, 期約也, 待物之一, 不期誡於居邑, 如是則吉也, 聖人, 以大公无私, 治天下, 於顯比, 見之矣, 非唯人君比天下之道, 如此, 大率人之相比,
莫不然, 以臣於君, 言之, 竭其忠誠, 致其才力, 乃顯其比君之道也, 用之與否, 在君而已, 不可阿諛逢迎, 求其比己也, 在朋友, 亦然, 修身誠意以待之, 親己與否,
在人而已, 不可巧言令色, 曲從苟合, 以求人之比己也, 於鄕黨親戚, 於衆人, 莫不皆然, 三驅失前禽之義也.
【本義】一陽, 居尊, 剛健中正, 卦之祥陰, 皆來比己, 顯其比而无私, 如天子, 不合圍, 開一面之綱, 來者, 不拒, 去者,
不追, 故爲用三驅失前禽而邑人不誡之象, 蓋雖私屬, 亦喩上意, 不相驚備, 以求必得也, 凡此, 皆吉之道, 占者, 如是則吉也.
象曰 顯比之吉은 位正中也오.
【傳】顯比所以吉者, 以其所居之位, 得正中也, 處正中之地, 乃由正中之道也, 比以不偏, 爲善, 故云正中,
凡言正中者, 其處正得中也, 比與隨, 是也, 言中正者, 得中與正也, 訟與需, 是也.
舍逆取順이 失前禽也오.
【傳】禮, 取不用命者, 乃是舍順取逆也, 順命而去者, 皆免矣, 比, 以向背而言, 謂去者爲逆, 來者爲順也, 故所失者, 前去之禽也, 言來者, 撫之, 去者, 不追也.
邑人不誡는 上使 中也일새라.
【傳】不期誡於親近, 上之使下, 中平不偏, 遠近, 如一也.
【本義】由上之德, 使不偏也.
上六, 比之无首니 凶하니라.
【傳】六, 居上, 比之終也, 首, 謂始也, 凡此之道, 其始, 善則其終, 善矣, 有其始而无其終者, 或有矣, 未有无其始而有終者也, 故比之无首,
至終則凶也, 此, 據比終而言, 然, 上六, 陰柔不中, 處險之極, 固非克終者也, 始比, 不以道, 隙於終者, 天下, 多矣.
【本義】陰柔, 居上, 无以比下, 凶之道也, 故爲无首之象而其占則凶也.
象曰 比之无首 无所終也니라.
【傳】比旣无首, 何所終乎, 相比有首, 猶或終違, 始不以道, 終復何保, 故曰无所終也.
【本義】以上下之象, 言之則爲无首, 以終始之象, 言之則爲无終, 无首則无終矣.
比는 吉하나 原筮하되 元永貞이면 无咎니라. 不寧方來니 後夫는 凶하다.
비 길 원서 원영정 무구 불녕방래 후부 흉
比는 吉하나 다시 점을 처서 크고 길고 곧으면 허물이 없을 것 이다.
편안치 않아야 오니 늦는자는 凶하리라. 서로 친하고 돕는다는것
彖曰, 比吉也며 比輔也니 下順從也라. 原筮 元永貞无咎는 以剛中也오. 不寧方來는 上下應
단왈 비길야 비보야 하순종야 원서 원영정무구 이강중야 불영방래 상하응
也오. 後夫凶은 其道窮也라.
야 후부흉 기도궁야
단에 이르기를 比는 길이다. 比는 돕는것이니 아랫사람이 순종하는 것이다.
다시 점처서 크고 길고 곧으면 허물이 없다함은 剛中하기 때문이다.
편하지 않아야 온다함은 위와 아래가 응하기 때문이다. 늦는자는 흉하다함은 그도가 궁하기 때문이다.
象曰, 地上有水比니 先王以建萬國하고 親諸侯하니라.
상왈 지상유수비 선왕이건만국 친제후
상에 이르기를 땅위에 물이 있는 것이 比이다. 선왕은 이로써 만국을 세우고 백성을 친애했다.
강 - 땅위에 물이 있다고 하네요....어디 한번 그려봅시다!~~~
물과 흙이 만나네요...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물질이 만나서 섞이고 융화 되기를 바라는 괘상이라 볼수 있겠 져....
이 앞에 괘에서 보셨듯이 물과 흙을 섞으면 뭉치고 건조시키면 딱딱한 벽돌도 만들 수 있듯이 지금 그러한 상황이 시작 되는거라 보시면 이해가 빠를듯 하네요
初六 有孚比之라야 无咎리니 有孚盈缶면 終來有他吉하리라.
유부비지 무구 유부영부 종래유타길
믿음(성실)을 가지고 친해야만 허물이 없을 것이다. 성실하되 물이 항아리에 차듯이 하면 마침내 다른 길함이 있을 것이다.
강 - 물은 서서히 스며드니까 땅의 바닥까지 오려면 기다려야 하겠져...기회가 오니 무조건 기다려라라고 풀이해주시면 정답입니다!~~~ㅎㅎ
六二 比之自內니 貞하면 吉하리라.
비지자내 정 길
친하는 것은 마음 속부터 해야한다. 곧으면 吉하리라.
강 - 친하다고 볼수도 있지만 도움이라 해석하시면 더 풀이가 쉬울수도 있겠네요......
2효 면 흙에 중간인데.....아직 물이 여기까지는 도착 못했나보네요.....아직 본격적인 運 이 시작 안됐다 보시면 되겠네요....
六三 比之匪人이로다.
비지비인
친하려 해도 사람이 아니다.
강 - 갑자기 이게 먼말인가 하시겠는데.......다른 말로는 도우려 해도 사람이 아니다라고 보셔두 돼고요...
흙위에 물을 부어 놓은 상태를 상상해보세요....엄청 혼탁함이 상상 되시나요????
흙 본연이 성질을 버리고 물속에 부유물, 또는 자신을 잃고 물을 따라 다 니는 먼지라고나 할까....
하여간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경계하는거라 볼수 있습니 다....吉凶으로 말하면 大凶이져.....
3효의 위치상으로도 보시면 4,5,상효는 물인데 큰 물가에 흙을 상상해보시면 휩쓸리는 흙의 모습이 그려지시나요???..
네 그상태를 상 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듯 하네요.
六四 外比之니 貞하면 吉하다.
외비지 정 길
밖에서 친하려 한다. 곧으면 吉하리라.
강 - 여기서 부터는 坎괘 물이네요...물가니 나는 물인데..흙이 가까이 있으니 나에게 흙이 달라붙는다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듯해요....
나(물)은 흘러갈뿐인데....흙이 자꾸 쓸려 나가니 흙이야 어찌하던간에 본연의 할 일만 하면 된다라 보시면 되겠져.....
나에게 부탁이 들어온다...나와 친하게 지내려는 사람이 있다...이렇게 보시면 되고요....
九五 顯比니 王用三驅에 失前禽하여 邑人不誡이면 吉하리라.
현비 왕용삼구 실전금 읍인불성 길
친함을 나타낸다.
왕이 사냥할 때 삼면에서 몰아 거꾸로 자기 한테 오는 짐승은 쏘지 않고 살려주며 반대로 달아나는 짐승은 쏘는 것과 같이 고을 사람도 경계 하지 않는 다. 吉하리라.
강 - 현재 주도권을 坎괘가 쥐고 있는 상황이라 볼 수 있져??
항복하면 살려주구 도망가면 사망에 이르게하라는 말을 묘~~하게 이렇게 글로 썼네요.....무혈입성...이라고 보셔 두 무방하겠네요..
上六 比之无首면 凶하리라.
비지무수 흉
친하려 해도 머리가 없다. 흉하다.
강 - 운이 다 갔다라고 보시면 되고요....막차 떠난 상황이라 보셔두 되고요...기회가 간거 져...
* 이괘는 主從이 분리되어 점을 칠때 어떠한 효가 걸렸는지에 따라서 나를 낮추고 기다려야 하는지
아니면 적극적으로 흡수, 합병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괘라 볼 수 있습니다.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天澤履(천택리) (0) | 2015.05.14 |
---|---|
9.風天小畜(풍천소축) (0) | 2015.05.14 |
7.地水師(지수사) (0) | 2015.05.14 |
6.天水訟(천수송) (0) | 2015.05.14 |
5.水天需(수천수) (0) | 201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