我:나 아. 是:바를 시. 他:다를 타. 非:아닐비. 아시타비의 뜻은 '나는 옳고, 타인은 그르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로남불과 같은 의미로서 같은 상황을 두고 자신에 해당되는 경우는 관용하고, 타인이 하는 것은 비판 혹은 비난하는 태도를 말하는데요. 아시타비와 또다른 비슷한 사자성어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 그것은 반구저신(反求諸身)인데요. 중용을 자신에게 먼저 물으라고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동일한 잣대를 가지고 타인과 자신의 상황을 내비춰보라는 의미가 될거고 먼 과거 먼 나라에 살았던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라는 느낌까지 주는 군요.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는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뜻의 ‘아시타비’(我是他非)였다. 교수신문은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교수 906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아시타비가 588표(32.4%·2개씩 선정)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아시타비는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을 한문으로 옮긴 신조어로, 올 한해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발생한 이중 잣대가 이번 설문 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시타비를 추천한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는 “모든 잘못을 남 탓으로 돌리고 서로를 상스럽게 비난하고 헐뜯는 소모적 싸움만 무성할 뿐 협업해서 건설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도 “여야, 진보와 보수,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 사이는 물론 코로나19 바이러스 발생을 두고서도 사회 도처에서 ‘내로남불 사태’가 불거졌다”고 했다. 아시타비에 이어 ‘후안무치’(厚顔無恥)가 396표(21.8%)로 2위에 올랐다. ‘낯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으로, 아시타비와도 뜻이 통한다.
2위
후안무치(厚顏無恥)
厚:두터울 후. 顏:얼굴 안 . 無:없을 무. 恥:부끄러울 치 얼굴이 두꺼워서 부끄러움이 없다라는 뜻의 한자성어. 중국 하나라 계(啓)왕의 아들 태강은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가 이웃나라 유궁국의 왕 후예에게 귀로를 끊기고 결국 쫒겨나 비참하게 죽었다. 이에 그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 번갈아가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 중 막내가 불렀다고 하는 노래에는 이러한 대목이 보인다. "만백성들은 우리를 원수라 하니 우린 장차 누굴 의지할꼬. 답답하고 서글프다. 이 마음,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구나."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얼굴에 철판 깔았다'. 철면피보다 더욱 심한 경우에 사용하며, 흑심을 품었다가 뻔뻔하게 나온다는 점에서는 인면수심과 약간 상통한다. 다만 인면수심은 대체로 '인간의 탈을 쓴 악마' 혹은 '악마같은 성격을 지닌 사람'를 뜻하므로 차이가 꽤 크다.
3위
격화소양(隔靴搔癢)
隔:떨어질 격. 靴:가죽신 화. 搔:긁다 소. 痒:가렵다 양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일이 성에 차지 않는 안타까움을 이르는 말. 중국 고문서 속 전등록에 나온다. 우리 속담의 ‘수박 겉핥기’와 같다. 무슨 일이나 작업따위가 애써 하기는 하나 효과나 성과를 얻지 못하거나 지지부진하는 말을 말한다. 隔鞋搔癢(격혜소양), 隔靴爬癢(격화파양)이라고도 합니다. 신을 신은채로 가려운 발바닥을 긁어 보아도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뜻에서 , 무슨일을 애써 하기는 하나 요긴한 곳에 미치지 못하는 감질나는 마음을 비유한 말입니다. <속전등록(續傳燈錄)>의 (上堂更或拈帚敲牀 大似隔靴搔痒) 상당경혹념추고상 대사격화소양. "당에 올라 비를 잡고 침상을 두드리니 ,신을 신고 가려운 곳을 긁는것과 같다"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입니다. 이와 같이 요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헛수고만 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입니다.
4위
첩첩산중(疊疊山中)
疊:거듭 첩. 疊:거듭 첩. 山:메 산. 中:가운데 중 '여러 산이 겹치고 겹친 산속.'이라는 뜻의 고사성어
5위
천학지어(泉涸之魚)
泉:샘 천. 涸:물마를 학. 之:갈 지. 魚:물고기 어 말라가는 샘에서 물고기들이 서로를 돕는다. 천학지어(泉涸之魚)란 장자 대종사에 나오는 말로 샘물이 마르자 물고기들이 서로 모여 침으로 서로를 적셔주는 모습을 나타내며, 같이 곤경에 처하여 미력한 힘이나마 서로를 돕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6위
중구삭금(衆口鑠金)
衆:무리 중 . 口:입 구 . 鑠:녹일 삭 . 金:쇠 금 여러 사람이 합해 말하면 굳은 쇠도 녹인다는 뜻 나혼자 할 수 없는 일을 여럿이 함께 하면 크게 이룰 수 있다. 서로 조금만 밀어주고 배려하고 도와주면서 감사하고 사랑하며 믿으며 한발씩 나아간다면 못할 게 없다. 이기적인 마음이 이타적인 마음으로 방향을 틀고 한 마음으로 함께 한다면 '같이의 가치'를 실현할 것이다. 오늘도 함께 하면 큰 힘이 된다는 것을 믿으며 한발 나아간다.
작별을 뜻하는 스코틀랜드의 민요다. 작별(作別, Auld Lang Syne, 올드 랭 사인)은 스코틀랜드의 가곡이자 작자가 확실한 신 민요이다. 스코틀랜드의 시인인 로버트 번스가 1788년에 어떤 노인이 부르던 노래를 기록하여 그것을 가지고 지은 시를 가사로 하여 윌리엄 쉴드가 작곡한 곡이며 영미권에서는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면서 부르는 축가로 쓰인다. 올드 랭 사인은 스코트어로 '오랜 옛날부터(영어: old long since)'라는 뜻이다. 영화 '애수(원제:Waterloo Bridge→워털루 부리지(다리))'의 주제곡으로 쓰였다. 석별의 정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외세의 침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해 있던 1907년 즈음, 조국애와 충성심 그리고 자주의식을 북돋우기 위해 대한민국 애국가의 노랫말이 완성되었고 그 직후 올드 랭 사인의 곡조를 붙여 민중들에게 널리 불렸다. 1919년 3월 1일, 3·1 운동때의 한반도의 민중들도 올드 랭 사인의 멜로디를 라디오로 들으며 애국가를 부른 것이다. 안익태가 후에 애국가에 외국의 이별노래 곡조에 부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35년 현재의 애국가 곡을 작곡하였고, 1948년 대통령령에 따라 안익태가 작곡한 한국환상곡이 애국가의 멜로디로 정해지기 전까지는 '올드 랭 사인'이 애국가의 멜로디로 사용되었다. 1953년에, 영화 '애수'가 상영되면서 이 노래가 다시 소개되었고, 시인 강소천이 한국어 번역가사를 붙였다. 이후 졸업식에서 환송곡으로 많이 불리곤 했다. 2000년대에 들어선 가수 김장훈이 올드 랭 사인 곡조에 애국가 가사를 붙인 속칭 '독립군 애국가' 를 2012년 하계 올림픽 응원가로 리메이크하여 발표하였다. 개신교 측에서는 '천부여 의지 없어서' 라는 찬송가로 쓰는 중이다.
Mariah Carey - Auld Lang Syne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Ey, oh yeah, ey, ey, eh
Happy New Year baby, eh, oh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auld lang syne Does anybody really know the words Might as well sing along Happy New Year baby oh~oh Happy New Year baby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Happy New Year To you and your friends And have a drink on me Happy New Year To you the to And have a drink on me
Ten, night, eight, seven, six, five, four, three, two, one Happy new year
Celtic Woman - Auld Lang Syne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nd surely you'll buy your pint-cup And surely I'll buy mine And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nd here's a hand, my trusty friend And give me a hand of thine And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h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1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옛 친구들을 어찌 잊고 and never brought to mind? 다시 생각하지 않을까?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정든 친구들 어찌 잊으며 and days of auld lang syne? 그리운 시절 어찌 잊을까?
후렴 For auld lang syne, my dear, 지나간 그리운 시절위해 for auld lang syne, 이보게, 그리운 시절위해 we'll take a cup of kindness yet, 우리 우정의 잔을 함께 드세, for auld lang syne. 그리운 그 시절을 위하여.
2 And surely ye 'll be your pint' stowp 자네의 술은 자네가 사게나 And surely I 'll be mine, 당연히 내 술은 내가 사겠네, And we 'll take a cup o' kindness yet 자 이제 우리 우정의 잔을 함께 드세 For auld lang syne! 그리운 그 시절을 위하여
3
We twa hae run about the braes, 우리 둘은 언덕에서 뛰놀며 And pou'd the gowans fine, 예쁜 데이지 꽃을 따 모았지, But we've wander'd monie a weary fit, 하지만 우리는 오랫동안 지친 발로 여기저기 Sin auld lang syne. 헤매 다녔어 그 시절 이후 내내.
4
We twa hae paidl'd in the burn 우리 둘은 시냇물에서 노를 저었지 Frae morning sun till dine, 아침 해가 떠서부터 저녁 식사때까지 But seas between us braid hae roar'd 하지만 우리를 갈라놓은 넓은 바다는 큰소리로 우르렁거렸네 Sin' auld lang syne. 그리운 그 옛시절부터
5절 And there’s a hand, my trusty fiere !
내 사랑하는 친구야, 그 손이 저기 있으니 and gie's a hand o’ thine !
손을 뻗어 내 손을 잡게 And we’ll tak a right gude-willy wa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