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14장 불원불우장(不怨不尤章)
1.
君子는 素其位而行이오 不願乎其外니라
군자는 소기위이행이오 불원호기외니라
군자는 현재 그 위치에서 행하고 그 바깥을 원하지 않느니라
素 : 본디 소, 현재 소
2.
素富貴하얀 行乎富貴하며 素貧賤하얀 行乎貧賤하며 素夷狄하얀 行乎夷狄하며
소부귀하얀 행호부귀하며 소빈천하얀 행호빈천하며 소이적하얀 행호이적하며
素患難하얀 行乎患難이니 君子는 無入而不自得焉이니라
소환난하얀 행호환난이니 군자는 무입이불자득언이니라
부귀에 있어서는 부귀대로 행하며 빈천에 있어서는 빈천대로 행하며
오랑캐에 있어서는 오랑캐대로 행하고 환란에 있어서는 환란대로 행하니
군자는 들어가는 데마다 스스로 얻지 못함이 없느니라.
3.
在上位하야 不陵下하며 在下位하야 不援上이오
제상위하야 불릉하하며 제하위하야 불원상이오
正己而不求於人이면 則無怨이니 上不怨天하며 下不尤人이니라
정기이불구어인이면 즉무원이니 상불원천하며 하불우인이니라
윗자리에 있어서 아랫사람을 능멸하지 않으며,
아랫자리에 있어서 윗사람을 잡아당기지 않으며
자기 몸을 바로 하여 남에게 구하지 않으면 즉 원망이 없음이니,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아래로는 사람을 탓하지 아니 하나니라
陵 : 능멸(陵蔑, 凌蔑)할 릉 援 : 당길 원 怨 :원망할 원 尤 : 허물 우
4.
故로 君子는 居易以俟命하고 小人은 行險以徼幸이니라
고로 군자는 거이이사명하고 소인은 행험이요행이니라
그러므로 군자는 쉬운 데(평지)에 거하면서 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험한 곳을 다니면서 요행을 구하느니라.
易 : 쉬울 이 徼: 구할 요 幸 : 요행 행
5.
子曰 射 有似乎君子하니 失諸正鵠이오 反求諸其身이니라
자왈 사 유사호군자하니 실저정곡이오 반구저기신이니라
공자 이르길 활을 쏘니 군자와 같음이 있으니 정곡을 잃고 돌이켜 그 몸에서 구하느니라.
射 : 쏠 사 鵠 : 과녁 곡, 황새 곡
右는 第十四章이니라
자기책임의 논리는 상불원천 하불우인(上不怨天 下不尤人)이라는
중용에서 너무도 잘 인용되고 화자되는 명제로 발전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실존적 논리가 모든 종교적 심성의 근원을 포섭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매우 심오한 자사의 발언이다.
인간이 하나님을 믿는것은 실상 하나님을 사랑하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을 원망하기 때문에 믿는 것이다.
하나님의 대한 원망이라는 것은 자신의 불우한 처세상황이라든가
선업에도 불구하고 악연이 끊어지지 않을 때 일어나는 감정이다.
이러한 덕복불일치(德福不一致)에 대하여
칸트는 신의 존재를 요청하고
싯달타는 윤회를 요청한다.
그러나 자사는 인간실존의 대한 일체의 외재적 해결방안을 요청하지 않는다.
인간은 당대로 끝난다.
그것은 가혹한 유기체의 운명이다.
인간은 불멸하지도 불멸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하나님도 불멸하는 존재이어서는 아니된다.
하나님도 인간과함께 생멸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존재는 요청의 대상이 근원적으로 될 수 없다.
인간의 운명에 대한 주재적 불멸존재일 수가 없기 때문이다.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제16장 귀신장(鬼神章) (0) | 2012.10.26 |
---|---|
중용 제15장 행원자이장(行遠自邇章) (0) | 2012.10.26 |
중용 제13장 도불원인장(道不遠人章) (0) | 2012.09.26 |
중용 제 12장 부부지우장(夫婦之愚章) (0) | 2012.08.03 |
중용 제 11장 색은횡괴장(素隱行怪章) (0) | 201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