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양 #休休庵

 

 

 

강원도 양양 휴휴암

 

 

강원도 양양으로 가는 길목인 현남면 광진리 바닷가에는
4계절 관광버스가 길게 줄지어 서 있다.
근처에 이름난 명소가 있는 것도 아니고,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하조대를 찾아가려면
좀 더 북쪽으로 이동해야 할 위치인 그 곳에
뜬금없는 관광버스의 행렬은 무엇일까.
그런 의문은‘휴휴암,이라는 안내표시판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쉴‘휴’(休)가 두 개나 들어간 특이한 이름이 인상적이긴 하나,
이전까지 들어보지 못한 생소한 이름의 그 암자 하나가
관광버스들을 줄서게 만든다는 게 얼른 이해되지 않아서다.
 이런저런 호기심을 가진 이들이 산언덕으로 이어지는, 
편도에 가까운 좁은 진입로를 따라 휴휴암을 찾아가면 
입이 떠억 벌어지는 광경과 마주하게 된다. 
작은 암자쯤으로 생각되던 이름과 달리 
유명 사찰에 뒤지지 않는 큰 규모며, 거대한 불상에, 
번쩍거리는 황금색 범종이 놀라우면서도 생소한 풍경이다. 
절집이라면 으레 오랜 역사가 묻어나는 
고풍스런 분위기를 먼저 떠올리게 되고, 
그에 어울리는 빛바랜 단청이며 종루, 
이야기가 전해내려오는 문화재 한두 점쯤은 갖춰져 있는 게 아니던가.   

 

휴휴암 전경

 

 어쨌든 이전에 알고 있던 절집과는 거리가 좀 있지만, 
색다른 분위기의 휴휴암은 또 다른 호기심과 기대감을 부채질해준다. 
바다를 바라보는, 또 바다와 연결되는 기막힌 위치의 절집 여기저기를 누비며 
언제, 누구에 의해, 왜 세워진 절이며, 
무엇을 수도정진하는 곳인 지를 찾아보지만 
그 궁금증을 풀어주는 안내문은 얼른 보이지 않는다. 
그저 사람들 이야기를 귀동냥해 들은 바로는 
휴휴암은 1997년 세워진, 이제 10년 남짓된 짧은 연륜의 절이다. 
그런데도 관광버스가 몰려올 정도로 유명해지게 된 건 
천연 관음보살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쉼없이 파도가 밀려오는 해안가에 바위들이 
파도에 깎여 여러 형상을 하고 있는데, 
그 중 바위 하나가 마치 누워 있는 부처님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관음보살을 보기 위해 많은 불교신자들이 앞다퉈 이 곳을 찾으면서 일약 유명해진 것이다.

 과연 휴휴암 앞바다에는 
1,000여 명의 사람들도 들어설 수 있는 넓은 바위가 펼쳐져 있고, 
그 주변으로 특이한 모양의 기암괴석이 둘러싸고 있다. 
금방이라도 굴러떨어질 것 같은 알바위, 
발가락 모양의 바위, 손가락 바위, 달마바위…. 
그 중 누워 있는 모습의 관음보살바위를 얼른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큰 코에 두툼한 입술과 턱, 발치에 좌대석까지 갖췄고, 
머리맡에 연꽃 화관을 쓴 바위가 영락없는 관음보살이라는 설명을 들으면서도 
쉬 그 모습을 찾아내지 못하는 건 아마 불심이 모자라서이리라.  

 

황금빛 범종

오히려 그보다 더 인상적이었던 건 
방생한 물고기들이 탁 트인 바다로 나가지 않고 
먹이를 받아먹기 위해 너럭바위 주변에 오글거리며 모여 있는 모습이다. 
마치 양식장의 물고기처럼 바글거리는 그 모습에 왠지 측은지심이 든다.  

 

거북바위

 

 풍경소리보다 파도소리가 더 선명한 곳, 
황금빛 범종보다 아침 햇살이 더욱 눈부신 곳, 
법당을 나와 어디를 바라봐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풍경들이 펼쳐지는 곳…. 
휴휴암을 찾아가면 만날 수 있다. 

 

불이문

*맛집

 양양 - 속초 경계지점인 장산리는 막국수마을로 유명하다. 
구 속초공항에서 진전사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띄엄띄엄 막국수집이 나타난다. 
시원한 동치미국물맛이 일품인 메밀국수와 수육이 대표 메뉴다. 
실로암메밀국수(033-671-5547), 진미동치미메밀국수(031-671-7931) 등. 
 가까운 주문진항으로 나가면 구이집이 즐비하다.
구이로는 도루묵과 양미리 구이가 별미다. 

 

묘적전

 

*가는요령 
영동고속도로 강릉 분기점에서 동해고속도로로 옮겨 타고 
주문진으로 향하면 주문진을 지나 종점인 현남 인터체인지로 빠진다. 
7번 국도를 타고 북쪽으로 향하면 바로 나타나는 남애리, 
남애항 지나 곧 도로변에 휴휴암을 알리는 간판이 보인다. 
간판을 보고 우회전해 좁은 진입로를 따라 들어가면 휴휴암 주차장이다. 
혹은 서울 - 홍천 - 한계령(구룡령) - 양양에서는 
강릉 방향으로 7번 국도를 따라 5분 정도 내려오면 
휴휴암을 알리는 간판이 보인다. 
좌회전해 진입로로 들어선다. 
 

 휴휴(休休)는 마음이 경계에 끌려 다니지 않아서 모든 악업 짓기를 그치는 것.
첫 번째 휴는 망념(妄念)을, 두 번째 휴는 망연(忘緣)을 뜻하는 것으로,
사심 잡념과 악연을 다 쉬어 버리라는 의미이기도 함.

 

2010.7.15. 한은섭

'산행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정호 여행사진  (0) 2010.10.14
인왕산-북악산  (0) 2010.09.28
2010.5.16.가리왕산  (0) 2010.05.16
2010.4.4.여수 향일암 영취산  (0) 2010.04.04
설악산 대청봉 산행기  (0) 2009.10.18

 2010.5.16. 우리나라에서 9번째로 높다는 가리왕산(1561M)을 다녀왔다.

 

 

 

 

 

 

 

2010.5.16.가리왕산을 댕겨와서 한은섭

지혜가 주는 인생길
 
지식이 많다고 지혜로운 사람은 아닙니다.
간혹 우리중의 어떤 사람은
많이 배운 지식으로 인해 오히려 오만하게 되어
지혜를 잃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혜의 첫 걸음은
자기가 미흡하다는 것을 아는 데 있다고 합니다.
지혜롭다는 건 우선 고개를 숙일 줄 안다는 것이지요.
유태인의 속담 중에
'태양은 당신이 없어도 뜨고 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광활한 우주와 오묘한 자연 속에서
우리 인간의 존재는 보잘 것 없는 작은 것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한껏 오만을 떠는 것은
지식만 있었지 지혜가 없는 까닭입니다.
 
아무리 많은 것을 알고 있다 해도
우리 인간은 결국 한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존재가 아닙니까.
그러나 지혜의 문만 열게 되면
인생의 많은 난관들을 비교적 슬기롭게 헤쳐 나갈 수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의 왕 솔로몬에게
무엇을 가장 원하느냐고 묻자, 그는 '지혜'를 원한다고 했습니다.
그리하여 지혜를 얻게 된 그는 바라던 모든 것을 갖게 되었으며,
다른 나라의 왕들이 그에게 찾아와
값진 보물을 바치고 지혜를 배웠습니다.
인생의 불빛이 되어 주는 지혜,
그 지혜로움으로 당신의 인생이 환히 밝혀졌으면 좋겠습니다.
 
- 좋은글 중에서  한은섭-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한 마음의 행복  (0) 2010.09.19
사랑과 우정  (0) 2010.09.10
천안함과 늑대  (0) 2010.04.13
계영배  (0) 2010.04.01
인과응보는 세상의 공리다.  (0) 2010.03.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