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26장 지성무식장(至誠無息章)

1.
故로 至誠은 無息이니
고로 지성은 무식이니

 

그러므로 지극한 정성은 쉼이 없으니

 

[본문 해설]
사람이 본래 타고난 성은 진실무망(眞實无妄)이나 形氣에 의해 가려져 있어 지극한 정성을 기울여야만 회복할 수 있다.
그 지극한 정성을 기울이려면 천도의 운행이 굳세어 자강불식하듯이 조금도 쉼이 없어야 한다.
주역 중천건(重天乾)괘 대상전에 “하늘의 운행이 굳건하니, 군자가 이로써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느니라
(天行이 健하니 君子ㅣ 以하야 自彊不息하나니라)”고 했다. 이와 같이 至誠은 조금도 쉼이 없는 것이다.

 

旣無虛假하니 自無間斷이라.
기무허가하니 자무간단이라.

 

이미 헛되고 거짓됨이 없으니 스스로 간단이 없느니라.

 

2.
不息則久하고 久則徵하고
불식즉구하고 구즉정하고

 

쉬지 않으면 오래하고 오래하면 증험하고

 

[본문 해설]
지극한 정성은 쉼이 없이 오래하고, 오래하면 증험이 나타나는데 오래할 수 있는 이유는 천지의 이치가 쉽기 때문이다.
『주역』 계사상전 제1장에서 천하의 이치가 모두 하늘과 땅의 이간(易簡)의 법칙에 들어 있으니
사람이 그것을 터득해 얻는다면 천지와 더불어 나란히 어깨할 수 있음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乾以易知오 坤以簡能이니 易則易知오 簡則易從이오 易知則有親이오 易從則有功이오

“건이이지오 곤이간능이니 이즉이지오 간즉이종이오 이지즉유친이오 이종즉유공이오

 

有親則可久오 有功則可大오 可久則賢人之德이오 可大則賢人之業이니
유친즉가구오 유공즉가대오 가구즉현인지덕이오 가대즉현인지업이니

 

易簡而天下之理 得矣니 天下之理 得而成位乎其中矣니라.

이간이천하지리 득의니 천하지리 득이성위호기중의니라.


(건은 쉬움으로써 주장하고, 곤은 간단함으로써 능하나니, 쉬우면 주장하기 쉽고,
간단하면 따르기 쉽고, 쉽게 주장하면 친함이 있고, 쉽게 따르면 공이 있고, 친함이 있으면 오래할 수 있고,
공이 있으면 클 수 있고, 오래갈 수 있으면 현인의 덕이요, 클 수 있으면 현인의 업이니,
쉽고 간단함에 천하의 이치를 얻으니, 천하의 이치를 얻음에 위를 그 가운데에 이루느니라)”

 

久는 常於中也이오 徵은 驗於外也이라.
구는 상어중야이오 징은 험어외야이라.

 

구는 가운데 떳떳함이오, 징은 바깥에 증험함이라.

 

[앞주 해설]
구는 내 마음 속에 늘 갖고 있고 지극한 정성 그대로 떳떳한 것을 말한다.
그 떳떳한 것이 오래가면 외적으로 모든 일을 하는데 하나하나가 증험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을 위 본문해설에서 볼 수 있듯이 『주역』에서는 현인의 덕으로 말하고 있다.

 

3.
徵則悠遠하고 悠遠則博厚하고 博厚則高明이니라.
정즉유원하고 유원즉박후하고 박후즉고명이니라.

 

증험하게 되면 아득하게 멀고, 아득하게 멀면 넓고 두텁고, 넓고 두터우면 높고 밝으니라.

 

[본문 해설]
자강불식하기에 오래하고 오래하다 보니 밖으로 증험이 나타난다.
그러면 시간적으로 유원(悠遠)해지고 공간적으로는 박후(博厚)해져

나중에는 시공을 가릴 것 없이 고명(高明)하게 된다.
천지의 고명함 그대로를 닮게 되는 것이다.

 

此는 皆以其驗於外者로 言之니 鄭氏所謂至誠之德이 著於四方者 是也라

차는 개이기험어외자로 언지니 정씨소위지성지덕이 저어사방자 시야라

存諸中者 旣久則驗於外者 益悠遠而無窮矣라

존제중자 기구즉험어외자 익유원이무궁의라


悠遠故로 其積也 廣博而深厚하고 博厚故로 其發也 高大而光明이라.

유원고로 기적야 광박이심후하고 박후고로 기발야 고대이광명이라.


이는 모두 그 밖에서 징험함으로써 말한 것이니 정씨가 이른바 지극한 정성의 덕이 사방에 나타난다는 것이 이것이라.
저 속에 존하는 자는 이미 오래가면 밖에 증험을 하는 것이 더욱 유원하여 끝이 없음이라.
유원하기 때문에 그 쌓인 것이 넓으며 심후하고, 박후하기 때문에 그 발함이 높고 크고 광명함이라.

 

4.
博厚는 所以載物也이오 高明은 所以覆物也이오 悠久는 所以成物也니라.
바후는 소이제물야이오 고명은 소이부물야이오 유구는 소이성물야니라.

 

박후는 물건을 싣는 바요 고명은 물건을 덮는 바요 유구는 물건을 이루는 바이니라.

 

[본문 해설]
천부지재(天覆地載)라는 말처럼 박후는 땅의 덕이고, 고명은 하늘의 덕이며,
유구는 천지의 조화로운 덕으로, 이 모두가 사람에게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悠久는 卽悠遠이니 兼內外而言之也라 本以悠遠으로 致高厚하고
유구는 즉유원이니 겸내외이언지야라 본이유원으로 치고후하고

而高厚 又悠久也니 此는 言聖人이 與天地同用이라.

이고후 우유구야니 차는 언성인이 여천지동용이라.

 

유구는 즉 유원이니 내외를 겸해서 말함이라.
본래 유원으로써 고후해지고 고후가 또 유구해지니 이는 성인이 천지와 더불어 한가지로 씀이라.

 

5.
博厚는 配地하고 高明은 配天하고 悠久는 無疆이니라.
바후는 배지하고 고명은 배천하고 유구는 무강이니라.

 

박후는 땅과 배합되고, 고명은 하늘과 배합되고, 유구는 끝이 없느니라.

 

此는 言聖人이 與天地同體라

차는 언성인이 여천지동체라.

이는 성인이 천지와 더불어 체가 같음이라.

 

6.
如此者는 不見而章하며 不動而變하며 無爲而成이니라.
여차지는 불현이장하며 부동이변하며 무위이성이니라.

 

이와 같은 것은 보이지 않아도 빛나며, 움직이지 않아도 변하며, 함이 없어도 이루어지느니라.

 

[본문 해설]
윗글의 ‘不見而章’은 땅 속의 물건이 보이지 않아도 밖으로 생명체가 나와서 빛나듯이,
땅에 배합하여 말한 것으로
『주역』중지곤(重地坤) 육삼효 상전에 “含章可貞이나 以時發也ㅣ오
(빛남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하나 때로써 발함이라)는 데서 취한 글이다.
천지와 더불어 동체가 되면 천지와 더불어 그 덕을 합하고(與天地合其德),
일월과 더불어 그 밝음을 합하고(與日月合其明), 사시와 더불어 그 차례를 합하고(與四時合其序),
귀신과 더불어 그 길흉을 합하며(如鬼神合其吉凶), 빨리 아니 해도 빠르고(不疾而速),
행하지 아니해도 이르는(不行而至) 경지가 되고, 묵묵해도 이루며(?而成之),
말을 아니 해도 믿는(不言而信) 경지가 된다.
이렇게 저절로 빛나고 활동하지 않아도 저절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함이 없이도 이루어지니 이것이 무강(無疆)한 천지조화인 것이다.

 

見은 猶示也라 不見而章은 以配地而言也오 不動而變은 以配天而言也오 無爲而成은 以無疆而言也라.

현은 유시야라 불현이장은 이배지이언야오 부동이변은 이배천이언야오 무위이성은 이무강이언야라.

 

현은 ‘보일 시’와 같음이라. 보이지 않아도 빛난다는 것은 땅에 배합해서 말함이오,
움직이지 않아도 변한다는 것은 하늘에 배합해서 말함이오, 함이 없어도 이룸은 끝이 없음으로써 말함이라.

 

7.
天地之道는 可一言而盡也하니 其爲物이 不貳라 則其生物이 不測이니라.
천지지도는 가일언이진야하니 기위물이 불이라 즉기생물이 불측이니라.

 

천지의 도는 가히 한마디 말로 다하니 그 물건됨이 둘이 아니니라.
곧 그 물건을 생함이 헤아리지 못하느니라.

貳 : 둘 이, 의심할 이

 

[본문 해설]
『중용』을 ‘반(半)주역’이고 할 만큼 그 이치가 웅숭깊다.
천지의 도란 것이 한 말로 딱 짚어 말할 수 있으니 그 물건됨이 이것저것으로 나가지 않고 한결같아 의심할 바가 없다.
生生之易이듯이 태극 → 음양 → 사상 → 팔괘로 계속 낳고 진화해나가며 물건을 내고 있으니 헤아릴 수가 없다.

 

此以下는 復以天地로 明至誠無息之功用이라 天地之道 可一言而盡은 不過曰誠而已라

 차이하는 부이천지로 명지성무식지공용이라 천지지도 가일언지진은 불과왈성이이라  

不貳는 所以誠也라 誠故로 不息而生物之多 有莫知其所以然者라.

불이는 소이성야라 성고로 불식이생물지다 유막지기소이연자라.

 


이로써 아래로는 다시 천지로써 지극한 정성은 쉼이 없다는 성공적인 쓰임을 밝힘이라.
천지의 도를 가히 한마디로 말함은 ‘誠“을 말하는데 지나지 않을 뿐이라.
의심치 않는다는 것은 성실하다는 것이다.
정성스럽기 때문에 쉬지 않아 물건을 냄이 많아서 그 까닭을 알지 못함이 있느니라.

 

[앞주 해설]
『주역』을 음양불측의 ‘神’이라고 압축해 말한다면, 『중용』은 정성 ‘誠’으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중용의 천지의 도는 ‘정성’ 그 자체이고 의심할 나위없는(不貳) 성실함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성실함은 『주역』풍택중부괘에서 ‘중심으로 믿는 마음(中孚之心)’을 말하며,
돼지나 물고기까지도 믿게 하는 마음(中孚는 豚魚면 吉하니)을 말한다.
또한 九二爻의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자식이 화답하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서 내가 너와 더불어 얽히노라
(鳴鶴이 在陰이어늘 其子 和之로다 我有好爵하야 吾與爾靡之하노라)”와 같이
어미 학이 우니 새끼 학이 화답하고 임금과 신하가 중심(中心)으로 수작(酬酌)하듯이,
성인이 천지와 더불어 하는 도가 바로 지극한 정성이다.
이러한 정성이 있기에 쉬지 않는 것이고 천지가 쉬지 않으니 생물이 많아지는데 그 까닭(所以然)은 알 수가 없다.
오늘날 생명의 신비를 벗기기 위해 생명공학이 발달하며
일부 유전자의 비밀을 알아내어 치료 등의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대자연의 生生之易의 정미한 이치를 밝혀내기란 지극히 어렵다.
생명공학의 발달은 자칫 대자연의 질서를 그르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가운데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극한 믿음만이 자연을 더욱 조화롭게 보존할 수 있리라고 본다.

 

8.
天地之道는 博也 厚也 高也 明也 悠也 久也이니라.
천지지도는 박야 후야 고야 명지 유야 구지이니라.

 

천지의 도는 넓고 두텁고 높고 밝고 멀고 오래하느니라.

 

[본문 해설]
천지의 도는 博 厚 高 明 悠 久가 아니고는 말할 수가 없다.
‘박후’의 땅 ‘고명’의 하늘, ‘유구’의 무강으로, 이를 삼재지도(三才之道)로 말한다면,
천도(天道)는 고명, 지도(地道)는 박후, 인도(人道)는 유구인 것이다.

 

言天地之道는 誠一不貳라 故로 能各極其盛하야 而有下文生物之功이라.

언천지지도는 성일불이라 고로 능각극기성하야 이유하문생물지공이라.

천지의 도가 정성스럽고 한결같아서 둘이 아니니라(의심하지 않느니라).
그러므로 능히 각각 그 성함을 지극히 하여 아랫글의‘생물지공(물건을 내는 공)’이 있느니라.

 

9.
今夫天 斯昭昭之多니 及其無窮也하야난 日月星辰이 繫焉하며 萬物이 覆焉이니라.
금부천 사소소지다니 급기무궁야하야난 일월성신이 계언하며 만물이 부언이니라.

 

今夫地는 一撮土之多하니 及其廣厚하야난 載華嶽而不重하며 振河海而不洩하며 萬物이 載焉이니라.
금부지는 일촬토지다하니 급기광후하야나 재화악이부중하며 진하해이부설하며 만물이 재언이니라.

 

今夫山이 一卷石之多하니 及其廣大하야난 草木이 生之하며 禽獸는 居之하며 寶藏이 興焉이니라.
금부산이 일권석지다하니 급기광대하야난 초목이 생지하며 금수는 거지하며 보장이 흥언이니라.

 

今夫水는 一勺之多하니 及其不測하야난 원 타 蛟 龍 魚 鼈生焉하며 貨財殖焉이니라.
금부수는 일작지다하니 급기불측하야난 원 타 교 룡 어 별생언하며 화재식언이니라.

 

이제 무릇 하늘이 이 소소함이 많으니 그 무궁한데 미쳐서는
해와 달과 별이 매어 있으니 만물이 덮여 있느니라.
이제 무릇 땅이 한 줌 흙이 많으니 그 넓고 두터운데 미쳐서는
화악을 싣고서도 무겁지 아니하며 하해를 거두면서도 새지 아니하며 만물이 실려 있느니라.
이제 무릇 산이 한 주먹 돌이 많으니 그 광대함에 미쳐서는
초목이 나며 새와 짐승이 살며 보배가 감추어져 나오느니라.
이제 무릇 물은 한잔 물이 많으니 그 헤아릴 수 없음에 미쳐서는
큰 자라, 악어, 교룡, 물고기, 자라가 자라며 화재(貨財)가 번식하느니라.

撮 : 한줌 촬, 잡을 촬. 洩 : 샐 설 .卷 : 작을 권 .勺 : 술잔 작
원 : 자라 원. 타 : 악어 타. 鼈 : 자라 별 .殖 : 번성할 식

 

[본문 해설]
박후고명한 땅과 하늘의 공효인 ‘생물지공’의 증거로, 天覆地載의 사례를 들고 있다.
참고로 화악이라 함은 천자문의 ‘악종항대(嶽宗恒岱)’에서 나왔듯이
중국의 대표적인 오악(五嶽)의 하나를 말한다. 동악인 태산(泰山, 岱山),
서악인 화산(華山), 남악인 형산(衡山), 북악인 항산(恒山), 중악인 숭산(崇山)이 바로 오악으로 일컬어진다.

 

昭昭는 猶耿耿이니 小明也라 此는 指其一處而言之라

   소소는 유경경이니 소명야라 차는 지기일처이언지라

   
及其無窮은 猶十二章及其至也之意니 蓋擧全體而言也라 振은 收也오 卷은 區也라

 급기무궁은 유십이장급기지야지의니 개거전체이언야라 진은 수야오 권은 구야라 

 

此四條는 皆以發明由其不貳不息하야 以致盛大而能生物之意라

차사조는 개이발명유기불이불식하야 이치성대이능생물지의라

 

然이나 天地山川은 實非由積累而後에 大하니 讀者 不以辭害意 可也니라.

연이나 천지산천은 실비유적루이후에 대하니 독자 불이사해의 가야니라.

소소는 경경(반짝거림)과 같으니 조금 밝으니라.
이것은 그 한 곳만을 가르켜 말함이라.
‘극기무궁’은 12장의 ‘及其至也’의 뜻과 같으니 대개 전체를 들어서 말함이라.
진은 거둠이요, 권은 구역이라.
이 네 가지는 모두 써 불이불식으로 말미암아 성대함을 이루어 능히 물건을 내는 뜻을 발명함이라.
그러나 천지산천은 실지로 쌓고 포갬으로 말미암은 뒤에 커진 것은 아니니,
읽는 자가 말로써 뜻을 해치지 않음이 가하니라.

耿 : 빛날 경. 區 : 구구할 구(작은 모양)

 

10.
詩云 維天之命이 於穆不已라 하니 蓋曰天之所以爲天也이오
시운 유천지명이 오목불이라 하니 개왈천지소이위천야이오

 

於乎不顯이 文王之德之純이여 하니 蓋曰文王之所以爲文也이니 純亦不已니라.
오호불현이 문왕지덕지순이여 하니 개왈문왕지소이위문야이니 순역불이니라.

 

『시경』에 이르길 “하늘의 명이 아! 심원하여 그치지 않느니라” 하니 대개 하늘이 써 하늘이 된 바를 말함이오.
“아! 나타나지 않는가. 문왕의 덕이 순전(純全)함이여”라 하니
대개 문왕이 써 문(文)이 된 바니 순전함이 또한 그치지 않느니라.

於 : 어조사 오(아름다움을 뜻하는 감탄사)

 

詩는 周公維天之命篇이라 於는 歎辭라 穆은 深遠也라 不顯은 猶言豈不顯也라
시는 주공유천지명편이라 오는 탄사라 목은 심원야라 불현은 유언기불현야라

純은 純一不雜也라 引此하야 以明至誠無息之意라

순은 순일부잡야라 인차하야 이명지성무식지의라

程子曰 天道 不已어늘 文王이 純於天道 亦不已하시니 純則無二無雜이오 不已則無間斷先後라.

정자왈 천도 불이어늘 문왕이 순어천도 역불이하시니 순즉무이무잡이오 불이즉무간단선후라.

 

시는 『시경』「주송 유천지명」이라. 오는 감탄한 말이라.
목은 심원(깊고 멀음)이라. 불현은 어찌 나타나지 아니하랴와 같음이라.
순은 순전하고 한결같아 섞이지 않음이라. 이를 인용해서 지성무식의 뜻을 밝힘이라.
정자 말씀하시길 “하늘의 도가 그치지 아니하거늘 문왕이 천도에 순전함이 또한 그치지 아니하니,
순전하면 둘이 없고 섞임이 없음이오 그치지 않으면 간단 선후가 없느니라.

 

右는 第二十六章이라

 

言天道也니라
천도를 말함이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