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23장 기차치곡장(基次致曲章)
其次는 致曲 曲能有誠이니 誠則形하고 形則著하고 著則明하고
기차는 치곡 곡능유성이니 성즉형하고 형즉저하고 저즉명하고
明則動하고 動則變하고 變則化니 唯天下至誠이아 爲能化니라.
명즉동하고 동즉변하고 변즉화니 유천하지성이아 위능화니라.
그 다음은 곡진함으로 이룸이니, 곡진하면 능히 성실함이 있으니,
성실하면 형체가 나오고, 형체가 나오면 나타나고, 나타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변하고, 변하면 화하니,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이어야 능히 화하느니라.
[본문 해설]
이 글은 주역 계사하전 제2장의
“역이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하니라
(易이 窮則變하고 變則通하고 通則久ㅣ라)”라는 이치에서 연유한 글임을 알 수 있다.
윗 글은 천도에 해당하는 ‘自誠明’ ‘天下至誠’이 첫째가 되는데, 지성으로 다할 수 없으면
그 다음에는 곡진함으로 이뤄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열심히 노력하고 차근차근 다져나가는 곡진함이 있으면 능히 성실해져 밖으로 드러난다.
『대학』성의장에 “誠於中이면 形於外라(속마음에 성실하면 밖으로 드러나니라)”는 귀절과 같은 의미이다.
또한 지극한 정성이면 하늘을 감동시킨다(至誠感天)는 말처럼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이어야 능히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주역 풍택중부(風澤中孚)괘의 어미학과 새끼 학의 믿음이 바로 이를 말한다.
其次는 通大賢以下凡誠有未至者而言也라 致는 推致也오
기차는 통대현이하범성유미지자이언야라 치는 추치야오
曲은 一偏也라 形者는 積中而發外오 著則又加顯矣오
곡은 일편야라 형자는 적중이발외오 저즉우가현의오
明則又有光輝發越之盛也라 動者는 誠能動物이오 變者는 物從
명즉우유광휘발월지성야라 동자는 성능동물이오 변자는 물종
變者는 物從而變이오 化則有不知其所以然者라 蓋人之性이 無不同이나
변자는 물종이변이오 화즉유부지기소이연자라 개인지성이 무부동이나
而氣則有異라 故로 惟聖人이아 能擧其性之全體而盡之하고
이기즉유이라 고로 유성인이아 능거기성지전체이진지하고
其次則必自其善端發見之偏而悉推致之하야 以各造其極也라
기차즉필자기선단발현지편이실추치지하야 이각조기극야라
曲無不致則德無不實하야 而形著動變之功이 自不能已이니
곡무불치즉덕무부실하야 이형저동변지공이 자불능이이니
積而至於能化하면 則其至誠之妙 亦不異於聖人矣리라.
적이지어능화하면 즉기지성지묘 역불이어성인의리라.
‘그 다음’이란 것은 대현 이하로(써 아래로) 통틀어 무릇 성실하고도 지극하지 못함이 있는 자를 말함이라.
‘치’는 미루어 이룸이오 ‘곡’은 한 편이라.
‘형’이라는 것은 중에 쌓아서 밖으로 나타남이오,
‘저’는 곧 또한 더욱 나타남이라, 밝으면 또한 광휘발월(빛남이 드러나 넘침)의 성함이 있음이라.
동하는 것은 성실함이 능히 물건을 움직임이오, 변한다는 것은 물건 따라 변하는 것이오,
화하면 그 소이연(연유)을 알지 못함이 있느니라.
대개 사람의 성품은 같지 않음이 없으나 기운이 곧 다름이 있느니라.
그러므로 오직 성인이라야 그 성품을 온전히 들어서 다하고,
그 다음은 곧 반드시 그 착한 단서가 발현되는 한쪽에서부터 모두 미루어 이루어 각각 그 극진함에 나아가느니라.
곡진함으로 이루지 않음이 없으면 덕이 실하지 않음이 없어 형체로 나타나 움직여 변하는
공이 스스로 능히 끝나지 못할 것이니, 쌓여서 능히 화하는 데까지 이르면
그 지극한 정성의 신묘함이 또한 성인과 다르지 않으리라.
右는 第二十三章이라
言人道也라
사람의 도를 말함이라.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제25장 성자자성장(誠者自成章) (0) | 2012.11.13 |
---|---|
중용 제24장 지성여신장(至誠如神章) (0) | 2012.11.13 |
중용 제22장 천하지성장(天下至誠章) (0) | 2012.11.12 |
중용 제21장 자성명장(自誠明章) (0) | 2012.11.12 |
중용 제20장 애공문정장(哀公問政章) (0) | 201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