書經(서경)
1,書經(서경)의 편찬 배경과 發展過程(발전과정)
사서 오경중에 하나인 書經(서경)은 중국 상고시대의 정치 기록이다.
고대에도 제도상으로 史官(사관)이 있어서 나라안에 일어나는 모든 정치적 상황,
사회변동 문물제도 등을 낱낱이 문자로 기록 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옛 書(서)라 일컬었으며 때로는 王朝(왕조)를 앞에 붙여서 虞書(우서) 夏書(하서) 등으로 일컫기도 하였다.
공자는 이서를 대단히 중히 여겨 번잡한 것을 정리하여 다시 편찬했다는 설이 잇으며
詩(시)와 더불어 제자들의 교육에 핵심적인 교과과정으로 삼았던 것 같다.
漢代(한대)이후에는 尙書(상서)라 일컬었는데 尙(상)은 上(상)과 통하는 말이며
上代(상대)의 書(서)라는 뜻이라고도 한다.
宋代에 와서 다시 書經(서경)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經(경)은 經典(경전)이라는 뜻이고
聖人(성인)의 글 이라는 의미다.
후한의 班固(반고)가 지은 藝文志(예문지)에 의하면 書가생긴 기원은
周易(주역)의 河出圖(하출도)洛出書(낙출서)에 두었다고 하였으니
결국 書를 신의 의지로 돌려 신성화 시키고 있다.
王者(왕자)의 곁에는 좌우 두 史官(사관)이 있었는데 좌사관은 왕의 하신 말씀을 기록하였으니
이것을 일컬어 尙書(상서)라하며 우사관은 왕의 行事(행사)를 기록하렸는데 이것을 春秋(춘추)라고 한다.
孔子(공자)님께서 堯舜(요순)으로부터 秦穆公(진목공)에 이르기 까지
3,240편의 書(서)를 간추려서 編纂(편찬)하였으므로 이것을 높여 尙書(상서) 라고 한다.
여기에는 古文尙書(고문상서)와 今文尙書(금문상서)가 있으니 이는 다음과 같다.
古文(고문)이란 공자님께서 후세 秦始皇(진시황)時代(시대)에 焚書(분서)의 변이있을 것을 미리 예상하였음인지
벽을 뚫고 그 속에 冊(책)을 넣었다고 하는데 漢武帝(한무제)말에
공자의 舊宅(구택)을 헐고 벽속에 古文字(고문자)로 된 經典(경전)을 발견했다.
이것이 바로 古文尙書(고문상서)이다.
今文(금문)이란 秦始皇(진시황) 분서 사건이후에 산재해 있던 글을
한 대의 伏生(복생)이 한데 모아 전한 것을 今文尙書(금문상서)라고 한다.
古文尙書(고문상서)는 모두 58편, 今文尙書(금문상서)는 33편만을 담고 있으니
孔子(공자)님의 벽속에서 나온 古文尙書(고문상서)는 今文尙書(금문상서)에 앖는 25편이 더 담겨있다.
그래서 이것이 眞本(진본)이라고 할수 있으며 서경의 편명 앞에는 꼭 今文古文(금문고문)의 유무를 확실히 하고 있다.
2,書經(서경)의 構成(구성) 및 내용
書經(서경)은 전 6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수는 58편이다.
그러나 58편 중 상, 중, 하, 3편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실제로는 50 편으로 되어 있다.
원래 공자님께서 100 편을 選(선)하였으나 현제는 58 편밖에 전해지지 않고 있다.
書經(서경)의 文章構成(문장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典(전):기본이 되는 明政德治(명정덕치)가 어떤 것인가를 논한것이며 堯典(요전)舜典(순전) 속에서 찾아 볼수 있다.
謨(모):아름다운말 名言(명언)을 기록한 것으로 大禹謨(대우모),皐陶謨(고요모)가 있다.
誥(고):임금이 신하나 백성에게 지시하고 布告(포고)한 것으로 康誥(강고) 洛誥(락고) 酒誥(주고) 등이 있다.
訓(훈):신하가 임금에게 警戒(경계)하여 말한 충고로 伊訓篇(이훈편)이 있다.
誓(서):여러 사람에게 널리 알리고 뜻을 함께 하도록 공고하는 내용의 것이며
湯誓(탕서), 泰誓(태서), 牧誓(목서)등이 있다.
命(명):군왕이 중신에게 경계하여 말씀하신 것인데 說命(열명), 畢命(필명), 文候之命(문후지명)등이 있다.
이와 같이 書經(서경)은 虞(우), 夏(하), 殷(은), 周(주) 의 四代 나라의 정치제도 문물 등을 기록한 책으로
사회 전반적인 사항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로 활용된다.
文章(문장)구성은 天文(천문), 地理(지리), 圖書(도서), 倫理(윤리)의 네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六體(육체) 및 十例(례) 그리고 小序(소서), 大序(대서)로 편찬하여 설명하고 있다.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 하서 - 윤정(胤征) (0) | 2015.04.29 |
---|---|
서경 - 하서 - 오자지가(五子之歌) (0) | 2015.04.29 |
서경 - 하서 - 감서(甘誓) (0) | 2015.04.29 |
서경 - 하서 - 우공(禹貢) (0) | 2015.04.29 |
서경(書經)-우서(虞書) 전편 (0) | 201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