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錦山] 681m(경남 남해)
 
남해 금산은 한려해상 국립공원중에 유일한 산악공원이다.
기암괴석의 절경과 남해를 한눈에 굽어보고 있어 전망도 장쾌하다.
한겨울에도 포근하여 겨울 등산 코스로도 좋다.
 
금산은 삼남 제일의 명산으로
온갖 전설을 담은 38경의 기암괴석이 금강산을 빼어 닮았다 하여
소금강 혹은 남해금강이라 불린다.
 
주봉인 망대(701m)를중심으로
왼편에 문장봉, 대장봉, 형사암, 오른편에 삼불암, 천구암등 암봉이 솟아 있다.
탑대(고제암)를 중심으로 가사굴, 쌍호문등 명소가 많다.
 
금산의  절경 38경 중에서 쌍홍문, 사선대, 상사암, 암불암 등이 대표적인 명소다.
쌍홍문은 여인의 눈동자 같기도 하고
커다란 해골에 두 눈이 뻥 뚫린 듯하기도 한 쌍굴로서 높이는 7~8m쯤이다.
 
굴이 둥근 모양이어서 ‘한 쌍의 무지개’라는 이름을 얻었다.
굴 속에 들어 뒤로 돌면 다도해의 풍광이 한 눈에 들어온다.
멀리 상주해수욕장의 쪽빛 바닷물이 반짝이고 크고 작은 섬들이 그림처럼 떠 있다.
삼남 제일의 명산이라 일컽는 금산은
보리암에서 바라보는 남해바다에 펼쳐지는 일출명소의 하나이기도 하다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유일한 산악공원으로 경관이 수려하고,
바다와 섬, 일출을 조망할 수 있으며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1974년) 산림청 선정 100 명산 선정사유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유일한 산악공원으로 경관이 수려하고,
바다와 섬, 일출을 조망할 수 있으며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1974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본래 보광산이라고 불리다가
조선 태조와 관련된 전설에 따라 금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함.
조선 태조가 기도했다는 이씨기단을 비롯하여,
사자암, 촉대봉, 향로봉 등 38경이 유명하며,
정상에는 우리나라 3대 기도처의 하나인 보리암이 소재
 
심정리산행기점-안부-566봉-금산정상-보리암-쌍홍문-상사바위-상주주차장(4시간)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년이라는 향기  (0) 2010.12.30
당신은 아름다운 멋쟁이 꽃중년  (0) 2010.12.30
그래 그렇게 사는거야..  (0) 2010.12.29
식품의 철분 함유량  (0) 2010.12.28
맑고 향기롭게-법정 스님  (0) 2010.12.09

표고버섯 요리 종류와 요리법


표고밥

재료=마른표고 6 ~ 7장, 쌀3컵, 간장1큰술, 소금 1작은술, 정종2큰술

만드는법

①쌀을 씻어 물을 빼둔다.
②표고는 물에 담가 불려서 꼭지를 제거하고 1cm 사각으로 썬다.
③표고담근물을 합쳐 3과 1/4컵 정도의 물에 표고, 간장, 정종을 넣고 이물로 밥을 짓는다.
④위와 같은 요령으로 만들어 유부 1장을 가늘게 썬 것과 닭고기 100g을 잘게 썬 것을 추가하여 밥을 짓는다.
⑤요령으로 만들되 밥을 다 지은 다음 오이1개를 가로로 얇게 썬 것과 계란2개로 지단을 만들어 완성된 표고밥위에 흩뿌린다.


표고튀김

재료=마른표고 12장, 풋고추 12개, 새우(작은것)300g, 밀가루 100g, 얼음냉수 1/2컵, 계란 1개, 식용유, 소금약간

만드는법

①마른표고는 물에담가 불려서 꼭지를 제거하고 1cm폭으로 썬다.
②풋고추는 가늘게 썰고 씨는 버린다.
③ 새우는 껍질을 벗기고 물에 씻어 소금기를 없앤다.
④그릇에 계란을 풀고 냉수 밀가루 소금을 넣어 튀김옷을 만든다.
⑤기름은 170° ~ 180°C정도 끓여 표고, 풋고추, 새우를 합쳐서 튀김옷을 입혀 튀긴다.
⑥ 튀김을 그릇에 담고 레몬을 곁들인다.
⑦ 표고 담근물 1컵에 간장, 미림을 첨가하여 무를 갈아넣어 양념장을 만든다.


표고국수

재료=마른표고 6장, 국수 200g, 돼지고기 200g, 파 1/2개, 콩나물 200g, 죽순 100g, 표고담근물 1컵, 다시물(멸치 또는 다시마 삶은물)4컵,
소금 1작은술, 미림 1큰술, 설탕1과 1/2작은술, 간장 1큰술, 식용유 2작은술, 후추약간

만드는법

①표고는 물에담가 불려서 가늘게 썬다. 돼지고기 죽순은 납작하게 썬다. 파는 비스듬하게 썬다. 콩나물은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친다.
②돼지고기, 야채는 식용유로 뽁아낸다. 표고, 다시물, 소금, 설탕, 간장, 후추를 넣어 중간불로 삶는다.
③국수는 열탕에 넣어 삶아내고 찬물에 식혀 ②의 국물에 넣는다.


표고 볶음밥

재료=건표고버섯 4장, 계란2개, 식용유(1) 2큰술, 돼지고기 100g, 대파1개, 밥800g, 식용유(2) 4큰술, 소금1작은술, 후추약간

만드는법

①마른버섯은 물에 불려 꼭지를 따내고 7mm정도 각으로 썬다.
②돼지고기는 작게 각으로 썰고 대파는 4등분하여 7mm폭으로 썬다.
③프라이펜에 식용유(1)를 붓고 가열한 다음 계란을 풀어넣어 커다란 쟁반형으로 만든다음 덜어내어둔다.
④같은 프라이펜에 식용유(2)를 1/2을 넣고 표고, 돼지고기, 파를 넣어 살짝 볶는다.

나머지 식용유를 붓고 밥을 넣어 바싹바싹할 정도로 볶은다음 소금, 후추를 넣어 간을 한다.

볶은밥을 그릇에 담고 그위에 ③을 덮는다.


표고 야채밥

재료=①마른표고 6장, 피망1개, 양파1/2, 당근1/4, ②다진파 1큰술, 다진마늘 1작은술, 참기름 1작은술, 깨소금 1/2큰술, 식용유 1큰술, 소금 1작은술, 후추조금

만드는법

①표고는 물에 불려 건져서 꼭지를 따내고 5mm두께로 썬다.
②피망은 씨를 털어내고 가로5mm 세로 4cm정도로 썰고 당근, 양파도 같은 크기로 썬다.
③프라이펜에 식용유를 붓고 재료①을 넣어 볶다가 재료②로 간을 맞춘다
④소고기나, 돼지고기 또는 물오징어를 얇게 포를 떠서 위에 재료에 추가하여 볶아도 좋다.


표고양념구이

재료=마른표고(큰 것)6장, 고추장3큰술, 다진파1큰술, 다진마늘2작은술, 소금약간, 통깨1큰술

만드는법

①표고는 물에 불려 건져서 꼭지를 따내고 꼭짜서 물기를 짜낸다.
②고추장, 다진파, 마늘, 통깨를 표고에 버무려 석쇠에 굽는다.
③너무오래 굽지 말고 알맞게 재빨리 굽는다.


표고한식조림

재료=마른표고 6장, 마늘 5쪽, 고추 3개, 물엿 2큰술, 간장 2큰술, 통깨 2작은술, 후추조금, 표고담근물 1컵

만드는법

①표고는 물에 불려 꼭지를 딴다음 물기를 짠다. 마늘은 나박나박하게 썰고 고추는 채썬다.
②남비에 표고를 담고 간장과 표고담근물을 1:2의 비율로 부어 센불로 한참 끓이다가 약한불로 서서히 조린다.
③국물이 거의 조려졌을 때 마늘, 고추, 물엿을 넣고 국물이 없어질 때까지 조린다.
④통깨와 후추를 친다.


표고전

재료=마른표고(직경 3cm크기로 갓이 오므라진 것) 50g, 쇠고기(또는 돼지고기) 200g, 다진파 2큰술, 다진마늘 1큰술,

계란 2개, 전분가루50g, 밀가루 2큰술, 식용유 2큰술, 간장 2큰술, 후추약간

만드는법

①마른표고는 물에 불려 꼭지를 따내고 꼭짜서 물기를 없앤다.
②쇠고기는 칼로 다지고 다진파, 마늘, 계란, 전분, 간장을 섞어 버무린다.
③표고버섯 안쪽에 밀가루를 바르고 다진 재료를 잘 다져 넣어 프라이펜에 식용유를 붓고 부쳐낸다.

 

표고덥밥

재료=마른표고 6장, 닭고기(또는 소고기) 100g, 달걀 3개, 양파 1/2개, 대파 1개, 당근 1/4개, 표고담근물 1/2큰컵, 간장 2큰술,

설탕 2큰술, 정종(또는 미림) 2큰술, 밥 2공기, 식용유 1큰술

만드는법

①마른표고는 물에 불려 꼭지를 따내고 5mm정도로 썬다.
②달걀은 노른자 2개만 터지지 않게 따로 놔두고 나머지는 살짝 저어푼다③닭고기, 양파, 당근 등은 채썰고 대파는 비스듬히 채썬다.
④남비에 식용유를 붓고 열을 가해 당근, 양파, 닭고기 순으로 볶다가 표고담근물, 간장, 설탕, 정종, 풀어논 계란을 넣어 5분정도 끓인다.
⑤그릇에 밥을 담고 ④의 국물을 끼어 얹은후 계란 노른자를가만히 얹는다.

 

표고전골

재료=마른표고 6장, 쇠고기(안심) 200g, 소기름(또는 사라다유) 1큰술, 배추 100g, 대파1개, 미나리(또는 쑥갓) 1/4단,

당근 60g, 두부 1/2모, 표고담근물 1컵,간장 3큰술, 설탕 1큰술,미림 2큰술

만드는법

①마른표고는 물에 불려 꼭지를 따내고 5mm정도로 썬다.
②쇠고기는 얇게 썬다.
③파는 비스듬히 썰고 당근은 채썬다.
④남비를 불에 얹어 뜨거워지면 기름을 두르고 고기를 넣고 재빨리 볶은후 야채를 넣어 볶으면서 간장, 설탕,

미림을 섞어 약간 익으면 표고 담근물을 붓고 두부를 큼직하게 썰어넣어 끓인다.
⑤당면을 삶아 같이 넣으면 좋다.

 

표고잡채

재료

마른표고 6장, 쇠고기 500g, 미나리 1/2단, 도라지 70g,양파50g, 당면 70g, 달걀1개, 조미료A : 설탕 1작은술,

다진파 1큰술, 다진마늘 1작은술, 참기름 1작은술, 간장 1큰술, 조미료B : 간장 1큰술, 설탕 1/2큰술, 깨소금 1/2큰술, 참기름 1/2큰술,표고담근물 1/4컵

만드는법

①표고는 물에 불려 꼭지를 따내고 5mm두께로 썬다. 쇠고기는 채썰어 조미료A로 양념하여 버섯과 함께 재운다.
②미나리는 5mm길이로 자르고 도라지는 살짝 데쳐 잘게 썰고 당근, 양파는 채썰어 프라이펜에 기름을 두르고 소금을 약간 뿌리면서 각각 뽁아낸다.
③달걀은 지단을 부쳐 채썬다.
④당면은 삶아서 냉수에 헹구어 건진다.
⑤프라이펜에 쇠고기와 표고를 볶다가 표고담근물을 붓고 끓으면 당면을 넣고 함께 볶는다.
⑥모든재료를 합쳐서 조미료B로 간을 맞추어 접시에 담고 그위에 달걀지단을 얹는다


죽순 표고버섯 장조림

죽순500g, 마른표고버섯10개, 다시마10g
조림장 ; 육수2C, 간장5T, 굴소스3T, 청주3T, 맛술3T, 생강1쪽, 마늘3쪽,
     
* 육수는 표고버섯 우린물을 사용하면 된답니다.
* 단걸 좋아하시는분은 물엿을 1~2T정도 추가해주세요. 취향껏~~~^^*

삶은 죽순은 적당한 크기로 썰어주세요.
마른표고버섯은 깨끗이 씻어 미지근한물 2C 정도에 불려 죽순과 같은크기로 썰어줍니다.
표고버섯 불린물은 조림육수로 사용할테니 버리시면 안된답니다.
다시마는 젖은 헹주로 깨끗이 닦아 같은크기로 잘라주세요.

생강과 마늘은 편썰기로 썰어줍니다.

냄비에 분량의 조림장과 육수(표고버섯우린물)를 붓고 생강과 마늘을 넣고 끓여줍니다

조림장이 끓어오르면 썰어둔 죽순, 표고버섯, 다시마를 넣고 센불에서 끓여주세요
끓어오르면 약불에서 뭉근히 조려줍니다.
바닥에 국물이 자작하게 남을때까지...
국물이 너무 없으면 조림이 마르니 조금 자작하게 남도록...
이때 단것을 좋아하시는 분은 물엿을 1~2T 정도 넣으시고
다시한번 살짝만 조려주세요.
그럼 더 윤기가 나고 달짝지근한 장조림이 되겠죠.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분 이야기.  (0) 2011.09.23
내가 직접 만든 요리들  (0) 2011.08.03
감자 채 볶음 요리  (0) 2011.08.03
소주나라 이야기  (0) 2011.07.04
김치.홍어.돼지고기 삼합 맛있는곳  (0) 2006.11.14
그래 그렇게 사는 거야  

나 혼자 버거워 껴안을 수 조차 없는
삶이라면 적당히 부대끼며 말 없이 사는 거야.

 
그냥 그렇게 흘러 가듯이 사는 게야
인생이 특별히 다르다고 생각하지 말자.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모두가 똑같다면 어떻게 살겠어
뭔지 모르게 조금은 다를 거라고
생각하면서 사는 게지.

 

단지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사는 게 또 우리네 인생이지.

 

숨가쁘게 오르막 길 오르다 보면
내리막 길도 나오고
어제 죽을 듯이 힘들어 아팠다가도
오늘은 그런대로 살만해.

 

어제의 일은 잊어버리며 사는게
우리네 인생이 아니겠어

 

더불어 사는 게 인생이지 나 혼자
동 떨어져 살 수 만은 없는 거잖아

누군가 나의 위로가 필요하다면 마음으로
그의 어깨가 되어줄 수도 있는 거잖아.

 

그래 그렇게 사는거야
누군가의 위로를 받고 싶어지면
마음속에 가두어둔 말 거짓없이
친구에게 말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거야.

 

그래 그렇게 살아가는거야.

 -좋은글-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은 아름다운 멋쟁이 꽃중년  (0) 2010.12.30
영상으로보는 남해 금산 보리암  (0) 2010.12.29
식품의 철분 함유량  (0) 2010.12.28
맑고 향기롭게-법정 스님  (0) 2010.12.09
참선하면 좋아지는 16가지  (0) 2010.1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