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1구(第81句)

             

악   수   귀   천(1.樂  2.殊  3.貴  4.賤)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81句~92句 까지는 和睦에 關함 풍류는 귀천이 다르니 천자는 8일, 제후는 6일, 사대부는 4일, 선일은 1일이다.

 

1. (樂) 풍류에는 3. (貴) 귀하고 높음에 따라

2. (어조사 수(殊)인용) 文武舞人 數을 다르게 정하고 4. (賤)흔히 구분했다.

즉 신분에 따라 크게 貴와 賤의 구분을 분명히 했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천자(天子)를 비롯하여 8일, 6일, 4일, 2일, 운운과,

춤 일(佾)字에 따르는  문무무인(文武舞人)수자(數字)에서 풀이 되었다.   

팔인 무(八人舞) ; <무용> 원구단(圓丘壇). 종묘. 문묘 제(文廟祭) 같은 나라의 큰 의식 때에 추는 춤.

악 생(樂生)64인(열*행=8*8=64인)을 각각 팔열(八列) 로 정열 시켜서

아악에 맞추어 문 무(文舞)와 무 무(武舞)로 규모가 매우 큼. 

풍류 악(樂), 樂(락) 樂(락). 樂(요)] 팔음(八音). 총명(總名) 풍류, 喜也에 즐길 락(樂),

好也에 좋아할 요(樂), 欲也에 하고자 할 요(樂),

다를 수(殊), 끊어질 수(殊), 죽을 수(殊), 목 베일 수(殊), 상할 수(殊), 어조사 수(殊),

귀할 귀(貴), 높을 귀(貴), 高位尊也 귀할 귀(貴), 物不賤 귀할 귀(貴),

(천할 천(賤), 흔할 천(賤), 첩 천(賤)), 흔할 천(賤)ㅣ 첨 천(賤)했다.

 

學習考:

여기서 분명히 할 것이 있다면 천자문 第81句~第92句 까지는 화목(和睦)에 關한 것으로

풍류 악(樂)字를 정확히 이해를 해야 하는 점이다.

즉 풍류(風流)는 풍치가 있고 멋있게 노는 일. 이는 품위 있는 우아한 뜻에서 예스럽게 일컫는 말.

화조풍월(花鳥風月); 품위와 우아함을 추구;(elegant pursuits)

한석봉 千字文 내용에서 풍류는 귀천이 다르니 天子는 8일(佾), 제후는 6일(佾), 사대부는 4일(佾) 선일은 1일(佾)이다. 하는 것과 (八人舞)의 위의 내용을 본 것을 대조하며,

우리나라 종묘, 문묘제의 행사내용은 상당한 중국 문화를 옮겨 온 것으로 엿보인다.

이러한 내용이 현세에 와서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과연 어떻게 비추어 질는지? 지금에도 가무악단이 있다.

이의 규모를 귀와 천의 현상으로 비추어 지는지?

 

學習者가 생각을 할 때 귀와 천이라 인식하기보다 현실화 규모의 차이로 보는 시각이 바르지 않을까.

나라의 대전은 국민의 대전으로 보며 올림픽 같은 것이 例이자 국민간의 和睦인걸.

(악수귀천(樂     殊    貴     賤)은 행하는 방법에 따라 화목(和睦)을 깰 수도 있으니 유념

극락조화

극락조 국태민안(國泰民安)하여 만물지중(萬物之衆)이 태평하다면 그것이 극락이로다.

하여 극락조화를 상징으로 표기해본다.  

 

 

제82구(第82句)

             

례   별   존   비(1.禮  2.別  3.尊  4.卑)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예도(禮道)에 준비의 분별이 있으니 군신. 부자. 부부. 장유. 붕우의 차별이 있다.

 

1. 예와 3. 높음이 2. 달라 4. 낮음과 분별한다.

예도 례(禮), 다를 별(別), 높을 존(尊), 낮을 비(卑)

여기에서 귀천과 존비(尊卑)의 구분으로 예우가 다른 점을 열거하며,

묘제(廟祭) 구분을 신분에 따라 법도로 정한 것 등은 계급주의적 봉건제도의 예로 보이나

현실적 감각에서 맞지 아니하다. 로 끝이기보다 옛 미풍양속의 한 부분임을 지적해본다.

다만 위계질서(位階秩序)제도를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은 지금이나 예나 별로 다를 바가 없다.

 

學習考:

옛날에는 나라의 질서를 세우는 데 귀천의 구별을 엄히 했고, 심지어 음악이나 묘(廟)에 까지도 제도가 분명하였다.

풍류도 귀천에 따라 정도를 달리했고, 예의도 높고 낮음을 구별 하도록 했다.

이와 같은 질서를 엄하게 하는 것이 봉건제도(封建制度)의 특징인 것이다.

오늘날의 민주사회 제도는 봉건주의(封建主義)는 물러가고 민주주의(民主主義)로

나라의 질서를 국민의 뜻에 의하여 제도화(制度化)하며 국민은 그 제도(制度)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법 앞에는 만민이 평등함이다.

 

 

제83구(第83句)

              

상   화   하   목(1.上   2.和   3.下   4.睦)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서 공경하므로 써 화목이 된다.

 

1.위와 3.아래는 2. 서로가 중용정신을 지키면 4. 사랑하고, 공경하게 됨으로 상하간의 화목(和睦)은 이루어진다.

위 상(上); 높은 데. 존귀한 데. 오를 상(上);아래에서 위로 감. 

상천(上天). 화할 화(和)는 해야(諧也). 順也에 순할 화(和). 과불급(過不及)에서 알맞을 화(和).

睦也에 사이좋을 화(和). 加也에 더할 화(和). 調也에 곡조 화(和)는 가(歌)를 의미함.

아래 하(下)는 상과 대응하는 말. 두 사물 중에 낮거나 가벼운 것. 내릴 하(下)는 낮은 데로 내림 즉 하차(下車).

떨어질 하(下)는 낙하(落下). 낮을 하(下)는 아래. 미치지 못함. 하위(下位). 낮출 하(下)는 겸손함. 비하(卑下).

화목할 목(睦)은 친목함. 사이좋게 지냄. 목순(目順)하여 눈매고을 목(睦). 信也에 믿을 목(睦).

敬也에 공경할 목(睦). 姓也에 성 목(睦). 

 

學習考:

윗사람이나 아랫사람 모두가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중시해야하며

특히 중용정신(中庸精神)이 강조되는 것은 과불급(過不及)에서 알맞을 화(和)인 고로

이는 바로 중용정신에서 나온 것이다.

『過不及; 지나침과 미치지 못함이 없는 것,

사랑이란 눈매 곱고 믿음으로 공경할 목(睦)字의 참뜻을 지키는 것, 이는 상호관계(相互關係)이다』

 

 

제84구(第84句)

             

부  창  부  수(1.夫  2.唱   3.婦   4.隨)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지아비가 부르면 지어미가 따르니 즉 원만한 가정을 말함.

 

1. 지아비가 3. 지어미를 2. 인도하면 4. 따르니 이것은 상호 존중하는 원만한 가정이다.

지아비 부(夫); 남편. 남자 통칭. 男女 배필(配匹). 배필 부(夫). 사내 부(夫); 성인이 된 남자.

대저 부(夫). 발어사(發語辭); 의견을 진술하는 말. 저 부(夫); 官名 大 벼슬 부(夫). 語助辭 어조사 부(夫) ,

부를 창(唱). 發歌에 노래할 창(唱). 導也에 인도할 창(唱).  며느리 부(婦). 아내 부(婦). 처. 지어미 부(婦).

계집 부(婦).예쁠 부(婦). 따를 수(隨). 따라감. 함께 감. 수행함.

任也에 맡길 수(隨). 從也에 쫓을 수(隨). 卦 名에 괘 이름 수(隨). 國名에 나라이름 수(隨). 地名에 땅 이름 수(隨).

 

學習考:

對句關係 前句를 보면 화합과 화목을 군 신간에, 노소간에, 부부간에, 교 우간에, 형제간, 이웃 간

모두가 상하간의 관계가 있음을 뜻하고 이는 위계질서를 지키며 상호간 화합하고, 친목을 유지함으로서

평화와 사랑은 상호 존속함에 있음을 뜻한다. 

이 글句에서는 지아비가 지어미를 인도하며 서로가 서로를 따르니 상호존중 이것이 사랑이며,

서로 이끌고 뒤에서 후원하며, 어려울 때 서로 도우며, 합심하고 가정을 꾸려 나아가는 근본(根本)을 말함이다.

 

 

제85구(第85句)

              

외   수   부   훈(1.外   2.受   3.傅   4.訓)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8歲면 밖의 스승에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1. 밖의 3. 스승으로부터 2.새로운 것을 얻기 위한 「어조사 수(受)」4. 가르침에 따른다.

바깥 외(外); 내외(內外)대응하는 말. 어머님과 처의 친족을 외척(外戚)이라 한다.

받을 수(受). 얻을 수(受).

어조사 수(受); 수동(受動)을 나타내는 조사(助詞; 체언이나 부사 따위의 아래에 붙어서

다른 말과 관계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는 의, 에게, 을, 도, 는 따위가 있다.

스승 부(傅); 좌우에 봉시(奉侍)하여 돌보는 사람. 전의 하여 선생.

스승. 돌볼 부(傅). 도울 부(傅). 보좌함. 가까이 할 부(傅). 접근함.

가르칠 훈(訓); 교화함. 주낼 훈(訓). 자구의 뜻을 해석함. 따를 훈(訓). 순종함

 

學習考:

여기에서 바깥가르침을 전해 받는다.

함은 집안을 떠나 바깥에서 일어나는 매사(每事)를 전수(傳受) 한다 함이요,

8세 미만까지는 바깥일을 잘 모르는 것으로 어머님중심의 가르침과 가족의 보호중심으로 지내 오다가

기발이 서서히 활발해짐으로서 내 집 밖의 대인 관계가 많은 학교생활과 함께 활발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밖에서 나에게 전해오는 모든 것이 스승이다.

이 말은 외수부훈(外受傅訓)에 근거한다.

어릴 때부터 외부에 나아가면 나를 낮추고 겸손할 줄 알아야 함을 훈계(訓戒)하고 있다.

밖에 나아가 外受傅訓에 착실한 자는 집에 들어서는 어머님을 도와서 종사함에 행동을 올바르게 행할 것이며

이는 어머님을 돕는다는 의미이다.  (1. 3. 2. 4)순의 뜻풀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제86구(第86句)                

 

입   봉    모   의(1.入  2.奉  3.母  4.儀)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집에 들어서는 어머니를 받들어 종사하라.

 

1. 집에 들어서는(入) 3.어머니를(母) 2. 받들고(奉) 4. 거동하기를 배워라. 

거동 의(儀)

거동(擧動:행동거지;behaviour) 들 입(入), 받들 봉(奉), 어미 모(母), 거동 의(儀)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많은 문물교류가 있었고 家錄도 중국과 연관하는 내용 많은 것은 사실이나

오늘날 우리글과 어우러져 중국 글을 사용하기보다는 중국을 알고

중국의 문물 중 우리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알 수 있어 한문 공부를 하는 이는

한문의 뜻을 우리에게 맞게 파악을 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을 한다.

여기에서 바깥가르침을 전해 받는다. 함은 집안을 떠나 바깥에서 일어나는 매사(每事)를 전수(傳受) 한다 함이요,

8세 미만까지는 바깥일을 잘 모르는 것으로 주로 어머니중심의 가르침과 가족의 보호중심으로 지내 오다가

기발이 서서히 활발해짐으로서 내 집 밖의 대인 관계가 많은 학교생활과 함께 활발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밖에서 나에게 전해오는 모든 것이 스승이다. 이 말은 외수부훈(外受傅訓)에 근거한다.

어릴 때부터 외부에 나아가면 나를 낮추고 겸손할 줄 알아야 함을 훈계(訓戒)하고 있다.

밖에 나아가 外受傅訓에 착실한 자는 집에 들어서는 어머니를 도와서 종사함에 행동을 올바르게 행할 것이며

어머니를 돕는다는 의미이다.

 

 

제87구(第87句)

             

제   고   백   숙(1.諸   2.姑   3.伯   4.叔)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고모. 백부. 숙부 등 집안내의 친척 등을  말함.

 

1.모들(든) 친척 중 할아버지 아래로는 3. 배부(伯父)가 수장(首長)이며

2. 고모는 아버지의 남매로서 4. 아재비(叔) 보다 위의 서열이다.

모들(두) 제(諸). 어조사 제(諸). 시어미고(姑); 남편의 어머니. 잠시 고(고); 잠시 동안.

고모 고(姑): 아버지의 자매.  맏 백(伯); 맏형. 백부 백(伯); 아버지의 맏형. 

백작 백(伯); 5등작의 하나로  백작(伯爵)은 그 중 제3위.

우두머리 백(伯); 그중 수장(首장). 아재비 숙(叔); 아버지의 아우.

 

學習考:

여기에서 친인척(親. 姻. 戚) 관계를 이해하는 상식이자 지식으로 생각을 하면

친척은 친족(親族)과 외척(外戚)을 말하고,

성이 다른 가까운 척분(戚分)은 고종(姑從), 외종(外從), 이종(姨從)등을 말한다.

인척(姻戚)은 혼인(婚姻)에 의하여 생긴 친족이며 배우자의 혈족을 말함이다.

소가족제도에서 아들 딸 가리지 말고 둘만 낳을 때는 친척 관계에서 인척 중에 척분(戚分)인 고종(姑從),

외종(外從), 이종(姨從)등 없어지는 것이 많이 생겼다. 

 

 

제88구(第88句)

             

유   자   비   아(1.猶  2.子  3.比  4.兒(아))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조카들도 자기의 아들과 같이 취급해야한다.

 

1. 오히려 3. 견주어 2. 자식보다 4. 생각하는 조카아이의 사랑은 곳 내형제의 사랑과 꼭 같기 때문이니라.

어미 원숭이 유(猶)似也에 같을 유(猶). 尙也에 오히려 유(猶). 同一하여 한 가지 유(猶).

아들 자(子). 견줄 비(比). 아이 아(兒)

 

學習考:

아버지의 형제자매는 백부, 숙부, 고모 요,

그들이 낳은 자녀들은 조카이니 자기 친자식처럼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기(禮記)단궁편(壇弓扁)에 보면

『형제의 아들을 자기의 자식과 같이 취급한 것은 대개 조카를 가장 가깝게 여겼기 때문이다.

상복형제지자 유자야 개인이근지야(喪服兄弟之子 猶子也 蓋引而近之也)라는 구절이다.

조카는 자기자식과 같은 혈연인 것이다』.

부부관계에서 발전한 형제 숙질간의 애정을 논술한 글이다.

근친(近親)이라 하여 고모(아버지의 여자형제). 백부(아버지의 맏형).

숙부(아버지의 맏형을 뺀 형제)등은 가장 가까운 친척이다.

그래서 조카를 자기의 아들과 같이 취급한다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돈독한 친인척관계유지는 물론 형제지간이라는 관계에 있어서

어린 우리아이들에게 어버이로서 선행하여 본보기를 실행하는 것 또한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을

솔선수범해야 할 것이다.

 

 

제89구(第89句)

              

공   회   형   제(1.孔  2.懷  3.兄  4.弟)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형제는 서로 사랑하여 의좋게 지내야 한다.

 

1. 같은 태반위치에서 생겨나 같은 통로를 거쳐 세상에 나온

3. 형을

2. 품은 곳과

4. 아우가 생겨나고 태어난 통로가 같으면 가장 가까운 혈육지간이며 형제는 사랑하여 의좋게 지내야 한다.

穴也에 구멍공(孔)했으니 여기에서는 태반(胎盤)이 위치한 곳, 생명이 태어나는 곳,

구멍이면 통로 음근(陰根)을 이름이다.

안공(眼孔). 매우 공(孔); 심히. 성 공(孔). 공자의 이름과 서은 공 구(丘)임. 빌 공(공). 공허함.

품을 회(懷) 잉태(孕胎;아이를 뱀). 한 생명과 아이를 품는 곳. 회춘(懷春); 청춘 남녀가 이성을 사모함.

따를 회(懷). 그리워하여 붙좇음. 회모(懷慕). 편안할 회(懷). 회재(懷哉). 

맏형(兄); 兄弟 中 먼저 태어난 남자. 아우 제(弟). 공경할 제(弟)

 

學習考:

이의 글句를 뜻풀이함에는 직언적인 표현이 오히려 인식하기가 빠른 점이 있다고 보아 직언을 기표해 본다.

▷형제는 어머니의 배속 태반이 위치한 똑같은 곳에서 생명이 태어나 자라며

어머니가 열(10) 달을 품고 길은 다음에 세상에 나오는 통로 또한 똑 같은 곳(孔)을 거처서 태어났다.

그러한 뜻으로 형제는 가장 가까운 사이로서 서로 사랑하고 서로 돕는 관계유지를 하는 것이다.

(생명의 원천은 아버지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가 나를 길으셨다)

 

 

제90구(第90句) 

              

동   기   연   지(1.同   2.氣   3.連   4.枝)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형제는 부모의 기운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다.

 

1. 함께 하는 3. 살붙이라면 2. 같은 기를 받은 4. 근본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마치 나무 가지에 비유된다.

한가지 동(同). 같은. 같이할 동(同). 함께 함. 기운 기(氣),

연할 연(連). 살 붙이 연(連). 친척(親戚). 이을 연(連). 연속함. 계속함. 열을 지어 늘어섬.

열나라 연(連)중국의 주대(周代)의 제도로서 10국을 한 구역으로 한 일컬음.

가지지(枝). 초목의 가지. 전의하여 근본에서 갈라져 나온 것. 팔다리 지(枝).

지(肢)와 같은 뜻의 글자. 공회형제(孔懷兄弟)라 하면 어머님의 배속공간을 거점으로,

열달 동안 자라난 연후에 같은 통로를 통해 우주공간에 위치한 지구표면에 나타나게 되는데

형제는 태어나 자라는 거점과, 같은 통로를 거쳐 태양의 빛과 공기와 물을 접하게 된다.

동기연지(同氣連枝)는 부모님의 기(氣)를 같이 이어받아 기운을 타고난다는 뜻이며

형제간을 동기간(同氣間)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마치 한 줄기의 나무에서 가지가 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부모로 하여금 동기(同氣), 같은 유전자를 이어받은 것으로 나무 가지와도 같다는 뜻이다.

(같은 나무의 가지는 유전자가 같은 것. 형제간도 그와 같다)

 

 

제91구(第91句)

                

교   우   투   분(1.交  2.友  3.投  4.分)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벗을 사귀는데 서로가 분에 맞는 사람끼리래야 한다.

 

1.사귀고 3. 맞는 2. 교우관계란 4. 분(分)字가 갖는 많은 뜻 이 있는 것처럼 사람끼리 맞아야 한다. 

사귈 교(交). 교우(交友)함. 합할 교(交). 합동(合同)함. 섞일 교(交). 섞여짐.

교류(交流). 엇갈릴 교(交). 교차(交叉). 서로 교(交). 상호(相互).

벗 우(友). 친구(親舊). 우애 있을 우(友). 형제간의 의가 좋음.

던질 투(投). 내던짐. 몸을 내어 던짐. 줄 투(投).증여함. 의탁할 투(投).

의탁하여 머무름. 투숙(投宿). 맞을 투(投). 의기투합(意氣投合).

나눌 분(分). 하나를 여러 개로 나눔. 분수 분(分). 분한(分限). 명분(名分). 지분 분(分).

마땅히 하여야 할 본분(本分). 몫 분(分). 배당(配當). 분명할 분(分). 변별(辨別)함. 반쪽 분(分).

푼 분(分). 척도. 중량의 단위. 춘분 분(分). 추분 분. 추분의 총칭. 

 

學習考:

의기투합(意氣投合)이란 "그들은 ~하여 일을 해 나갔다".

이것은 던질 투(投)로 내던짐. 몸을 내어 던짐. 이니

양자 혹은 다자간에 희생(犧牲)을 감수하고라도 합의점을 갖고 일을 진행한다. 라고 보아지는 것이다.

강변(强辯)을 하면 동고동락(同苦同樂)을 의미한다. (짝꿍 交友投分은 意氣投合이 잘 이루어진다.)

 

 

제92구(第92句)

              

절   마   잠  규(1.切   2.磨   3.箴   4.規)

 

1,3 먼저 1과 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 4를 뜻풀이 한다          

 

열심히 닥 고 배워서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지켜야 한다.

 

1. 정성스러운 3. 잠언(箴言)을 따르며 2. 마음과 지식을 갈고 닦아 4. 바로잡힌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할 야(割也)에 끊을 절(切). 각야(刻也에 새길 절(切). 곤(懇) 간절(懇切; 지성스럽고 간곡함) 정성스러울 절(切).

문한(門限) 문지방 절(切).  갈 마(磨). 옥, 돌 같은 것을 갈거나 마찰하여 광을 내거나, 작아지거나 없어짐.

고생할 마(磨). 석애(石애)에 맷돌 마(磨). 바늘 잠(箴). 침잠(針箴; 살에 꽂아 병을 고치게 하는 바늘).

경계 잠(箴). 잠언(箴言; 가르쳐서 훈계가 되는 깨우침 말).

법 규(規). 경계할 규(規). 바른길로 나가도록 신 칙(申飭; 단단히 일러서 경계함)함. 간할 규(規).

잘못한 일을 고치도록 아룀. 꾀할 규(規). 책략(策略). 바로잡을 규(規). 바른 길로 나가도록 함.

그릴 규(規). 그림을 그림. 그림 쇠 규(規). 원형을 그리는 제구(諸具), 製圖具.

 

學習考:

진정한 교우(交友)는 붕우지도(朋友之道)를 지킴이요

서로가 따뜻한 애정을 갖는 동시에 서로 살펴 잘못된 것은 바로 자바주고,

있는 데서 충고하고, 없는 데서는 칭찬하는 믿음의 마음씨가 서로 간직되어야한다.

이句는 第91句의 後句로 앞句를 의식하여 교우관계와 잠언(箴言)이 주요함을 강조하는 글로 보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