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주서-소고(召誥)
▣ 소고(召誥)
『左傳曰 武王克商하시고 遷九鼎于洛邑이라하고
史記에 載武王言호되 我南望三途하고 北望嶽鄙하고 顧詹有河하고
췺詹洛伊하니 『毋遠天室주:무원천실』이라하시고 營周하여 居于洛邑而後去라하니
則宅洛者는 武王之志를 周公成王이 成之요 召公이 實先經理之라
洛邑旣成에 成王始政하니 召公이 因周公之歸하여 作書致告하여 達之於王하니라
其書拳拳於歷年之久近하고 反覆乎夏商之廢興하니 究其歸하면 則以탂小民으로 爲祈天命之本하고
以疾敬德으로 爲탂小民之本하여 一篇之中에 屢致意焉하니 古之大臣이 其爲國家長遠慮 蓋如此라
以召公之書라하여 因以召誥名篇하니 今文古文皆有하니라』
『 《좌전(左傳)》에 “무왕(武王)이 상(商)나라를 이기고 구정(九鼎)을 낙읍(洛邑)으로 옮겼다.” 하였고,
《사기(史記)》에 무왕(武王)의 말씀을 기재(記載)하기를
“ ‘내 남쪽으로 삼도산(三途山)을 바라보고 북쪽으로 악비(嶽鄙)『[태행산(太行山)에 가까운 읍(邑)]』를 바라보며,
유하(有河)『[황하(黃河)]』를 돌아보고 낙수(洛水)와 이수(伊水)를 건너보니,
천실(天室)을 정하되 이곳에서 멀리하지 말라.’ 하고는 주(周)나라를 경영하여 낙읍(洛邑)에 거한 뒤에 떠나갔다.” 하였으니,
낙읍(洛邑)에 거한 것은 무왕(武王)의 뜻을 주공(周公)과 성왕(成王)이 이룬 것이며,
소공(召公)이 실로 먼저 경영하여 다스렸다.
낙읍(洛邑)이 이미 이루어지자 성왕(成王)이 처음 정사(政事)를 하니,
소공(召公)은 주공(周公)의 돌아감으로 인하여 글을 지어 아뢰어서 왕(王)에게 전달하게 하였다.
이 글은 역년(歷年)의 오래고 가까움에 권권(拳拳)하고, 하(夏)나라와 상(商)나라의 폐하고 흥함을 반복하였으니,
그 귀결을 연구해보면 소민(小民)을 화(和)하는 것으로 천명(天命)을 비는 근본을 삼고,
빨리 덕(德)을 공경하는 것으로 소민(小民)을 화(和)하는 근본을 삼아 한 편(篇) 가운데 여러 번 뜻을 지극히 하였다.
옛날 대신(大臣)들은 국가(國家)를 위하여 장원(長遠)하게 생각함이 이와 같았다.
소공(召公)의 글이라 하여 인하여 〈소고(召誥)〉라고 편명(篇名)을 하였으니, 금문(今文)과 고문(古文)에 모두 있다.』
▣ 제1장(第一章)
『 2월 기망(旣望)에서 6일이 지난 을미일(乙未日)에 왕(王)이 아침에 주(周)나라로부터 와서 풍(豊)에 이르셨다.』
『 해와 달이 서로 바라봄을 망(望)『[보름]』이라 하니 기망(旣望)은 16일이다. 을미일(乙未日)은 21일이다.
주(周)는 호경(鎬京)이니, 풍(豊)과 25리 떨어져 있으니, 문왕(文王)•무왕(武王)의 사당(祠堂)이 여기에 있다.
성왕(成王)이 풍(豊)에 이르러 낙읍(洛邑)에 거하는 일을 사당(祠堂)에 고(告)한 것이다.』
▣ 제2장(第二章)
『 태보(太保)가 주공(周公)보다 먼저 가서 집터를 보았다.
그리하여 월약래(越若來) 3월(月) 병오일(丙午日) 초사흘에서 3일이 지난 무신일(戊申日)에
태보(太保)가 아침에 낙읍(洛邑)에 이르러 집터를 점쳐 이미 길(吉)한 점괘(占卦)를 얻고서 경영(經營)하였다.』
『 성왕(成王)이 풍(豊)에 있으면서 소공(召公)으로 하여금 주공(周公)보다 먼저 가서 낙읍(洛邑)을 보게 하였다.
월약래(越若來)는 옛날의 어조사(語助辭)이니, 소공(召公)이 풍(豊)에서 돌아옴을 말한 것이다.
비(º?)는 맹강(孟康)이 말하기를 “달이 나오는 것이니, 초사흘에 밝은 달이 나옴을 이름함이다.” 하였다.
무신일(戊申日)은 3월 5일이다.
복택(卜宅)은 거북을 사용하여 도읍(都邑)할 땅을 점치는 것이니,
이미 길(吉)한 점괘를 얻었으므로 그 성곽(城郭)과 종묘(宗廟), 교사(郊社)와 조시(朝市)의 위치를 경영(經營)하고 헤아린 것이다.』
▣ 제3장(第三章)
『 3일이 지난 경술일(庚戌日)에 태보(太保)가 마침내 서은(庶殷)『[여러 은(殷)나라 백성들]』을 데리고
낙예(洛汭)에서 위치『[집터]』를 다스리게 하니, 5일이 지난 갑인일(甲寅日)에 위치가 완성되었다.』
『 서은(庶殷)은 은(殷)나라의 여러 백성들이니,
서은(庶殷)을 쓴 것은 짐작컨대 이 때에 은(殷)나라 백성들이 이미 낙읍(洛邑)으로 옮겨왔으므로 나아가 부역(賦役)하게 한 듯하다.
위치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왼쪽에는 선조(先祖)의 사당(祠堂)이 있고 오른쪽에는 사(社)가 있으며,
앞에는 조정(朝廷)이 있고 뒤에는 시장이 있는 위치가 이루어진 것이다.』
▣ 제4장(第四章)
『 다음날인 을묘일(乙卯日)에 주공(周公)이 아침에 낙읍(洛邑)에 이르러 새 도읍(都邑)에 경영(經營)한 위치를 두루 살펴보았다.』
『 주공(周公)이 이르러 새 도읍(都邑)에 경영(經營)한 위치를 두루 살펴본 것이다.』
▣ 제5장(第五章)
『 3일이 지난 정사일(丁巳日)에 교제(郊祭)에 희생(犧牲)을 쓰시니, 소 두 마리였다.
다음날인 무오일(戊午日)에 새 도읍에서 사제(社祭)를 지내시니, 소 한 마리, 양 한 마리, 돼지 한 마리였다.』
『 교제(郊祭)는 천지(天地)에 제사하는 것이므로 두 마리 소를 쓴 것이며 사제(社祭)에는 태뢰(太牢)를 사용하였으니,
예(禮)이니 모두 낙읍(洛邑)을 경영(經營)하는 일을 고(告)한 것이다.』
▣ 제6장(第六章)
『 7일이 지난 갑자일(甲子日)에 주공(周公)이 아침에 부역시키는 글로써
서은(庶殷)과 후복(侯服)•전복(甸服)•남복(男服)의 방백(邦伯)들에게 명(命)하였다.』
『 서(書)는 부역시키는 글이다.
《춘추전(春秋傳)》에 “사미모(士彌牟)가 성주(成周)를 경영(經營)할 적에 장수(丈數)를 계산하고 고저(高低)를 헤아리며,
후박(厚薄)을 헤아리고 구혁(溝탳)의 길이를 재며, 토지(土地)의 방위(方位)를 살펴보고 거리의 원근(遠近)을 의논하며,
사기(事期)『[공기(工期)]』를 헤아리고 도용(徒庸)『[인부]』을 계산하며,
재용(材用)을 생각하고 후량(텗糧)을 써서 제후(諸侯)들에게 부역(賦役)하게 했다.” 하였으니, 또한 이러한 뜻이다.』
『 왕씨(王氏)가 말하였다. “방백(邦伯)은 후복(侯服)•전복(甸服)•남복(男服)의 방백(邦伯)이다.
여러 나라의 총군(¾4君)들이 모두 있었는데 유독 방백(邦伯)에게 명(命)한 것은
주공(周公)은 글로써 방백(邦伯)에게 명(命)하고 방백(邦伯)은 주공(周公)의 명령으로 제후(諸侯)들을 명한 것이다.”』
▣ 제7장(第七章)
『 이미 서은(庶殷)에게 명하시니, 서은(庶殷)이 크게 일하였다.』
『 비작(丕作)은 모두 사공(事功)에 달려감을 말한 것이다.
은(殷)나라의 완악한 백성들이 사역(使役)시키기 쉽지 않을 듯하나 소공(召公)이 거느리고 위치를 다스리게 하자 위치가 이루어졌고,
주공(周公)이 글로 명령하자 크게 일하였다.
교화(敎化)하기 어려운 은(殷)나라 백성들도 오히려 이와 같았으니, 기뻐함으로 백성을 부렸음을 알 수 있다.』
▣ 제8장(第八章)
『 태보(太保)가 서방(庶邦)의 총군(¾4君)들과 나가서 폐백(幣帛)을 취하여 다시 들어와 주공(周公)에게 주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배수계수(拜手稽首)하여 왕(王)과 및 공(公)『[주공(周公)]』에게 아뢰노니, 서은(庶殷)을 가르침은 당신의 어사(御事)로부터 시작하여야 합니다.』
『 여씨(呂氏)가 말하였다.
“낙읍(洛邑)의 일이 끝나자 주공(周公)이 장차 종주(宗周)로 돌아가려 하니,
소공(召公)이 인하여 성왕(成王)에게 경계(警戒)의 말을 올릴 적에
제후(諸侯)들의 지현(贄見)『[임금을 뵈올 때 바치는 예물]』의 폐백(幣帛)을 취하여 주공(周公)에게 주고,
또 배수계수(拜手稽首)하여 왕(王)과 주공(周公)에게 아뢴 뜻을 말한 것이다.”
이는 소공(召公)이 비록 주공(周公)에게 말한 것이나 주공(周公)이 제후들의 폐백(幣帛)과 소공(召公)의 가르침을 연하여 함께 왕(王)에게 전달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낙읍(洛邑)이 이미 정해짐에 은(殷)나라 백성들을 가르치고 고하려고 할진댄 그 근본은 바로 당신의 어사(御事)로부터 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감히 성왕(成王)을 가리켜 말하지 않고 어사(御事)라고 말한 것은 지금 사람을 칭할 적에 집사(執事)라고 하는 것과 같다.』
▣ 제9장(第九章)
『 아! 황천(皇天) 상제(上帝)가 그 원자(元子)와 이 대국(大國)인 은(殷)나라의 명(命)을 바꾸셨으니,
왕(王)께서 천명(天命)을 받은 것이 끝없는 아름다움이시나 또한 끝없는 근심이시니, 아! 어찌하여야 합니까.
어찌 공경(恭敬)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이 이하는 모두 성왕(成王)에게 고한 말이니, 주공(周公)에게 의탁하여 왕(王)에게 전달하게 한 것이다.
갈(曷)은 어찌이고 기(其)는 어조사이다. 상왕(商王) 수(受)가 천자(天子)의 지위를 이어 원자(元子)가 되었으니,
원자(元子)는 바꿀 수가 없는데도 하늘이 바꾸었고, 대국(大國)은 망하기가 쉽지 않은데도 하늘이 망하게 하였으니,
황천(皇天) 상제(上帝)의 명(命)을 믿을 수 없음이 이와 같다.
이제 왕(王)이 천명(天命)을 받음은 진실로 무궁한 아름다움이 있으나 또한 무궁한 걱정이 있다.
이에 탄식하여 말하기를 “왕(王)은 어찌하여야 합니까. 어찌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하였으니, 공경하지 않으면 안됨을 깊이 말한 것이다.』
『 또 살펴보건대 이 편(篇)은 오로지 경(敬)을 주장하여 말하였으니,
경(敬)하면 성실하고 망령됨이 없어서 보고 듣고 말하고 동함이 한결같이 이치를 따르고,
좋아하고 미워하고 쓰고 버림이 하늘을 어기지 아니하여 하늘과 덕(德)이 같아져서 진실로 하늘의 명명(明命)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인군(人君)이 천명(天命)을 보유함이 이보다 중요한 것이 있겠는가.
이윤(伊尹) 또한 “황천(皇天)은 친한 사람이 없어 능히 공경하는 사람을 친한다.”고 말했으니,
공경(恭敬)하면 하늘과 내가 하나가 되니, 어찌 소원함이 있겠는가.』
▣ 제10장(第十章)
『 하늘이 이미 대방(大邦)인 은(殷)나라의 명(命)을 크게 끊으셨습니다.
이에 은(殷)나라의 많은 선철왕(先哲王)의 영혼들도 하늘에 계시건만 후왕(後王)과 후민(後民)이 이 명(命)을 받아
종말에는 지혜로운 자가 숨고 백성을 괴롭히는 자가 지위에 있으므로 농부들이 그 부자(婦子)『[처자(妻子)]』를 안고 붙잡고는
슬피 하늘을 부르짖으며 나가 도망하다가 붙잡혔습니다.
아! 하늘 또한 사방(四方)의 백성을 불쌍히 여겨 돌아보아 명하심이 덕(德)을 힘쓰는 자에게 하셨으니, 왕(王)은 빨리 덕(德)을 공경하소서.』
『 후왕(後王)과 후민(後民)은 수(受)를 가리킨 것이다.
이 장(章)은 말이 난해한 것이 많으나 대의(大意)는 하늘이 이미 대방(大邦)인 은(殷)나라의 명(命)을 크게 끊고자 하였다.
이 은(殷)나라의 선철왕(先哲王)도 그 정상(精爽)『[영혼]』이 하늘에 계시니,
마땅히 믿을 만할 듯하나 상주(商紂)가 명(命)을 받아 끝내 어질고 지혜로운 자가 물러가 숨고 백성을 괴롭히는 자가 지위에 있게 하니,
백성들이 학정(虐政)에 곤궁하여 그 처자(妻子)들을 안고 붙잡고는 슬피 울부짖으며
하늘을 부르면서 나가 도망하다가 구집(拘執)을 당하여 스스로 용납할 데가 없었다.
그러므로 하늘 또한 백성들을 불쌍히 여겨 돌아보아 명(命)함이 덕(德)을 힘쓰는 자에게 돌아간 것이다.
천명(天命)의 무상(無常)함이 이와 같으니, 이제 왕(王)은 빨리 덕(德)을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제11장(第十一章)
『 옛 선민(先民)인 하(夏)나라를 살펴보건대 하늘이 인도해 주시고 아들까지 보호해 주시자,
천심(天心)을 향하여 상고해서 순히 하였건만 지금에는 이미 천명(天命)을 실추하였습니다.
이제 은(殷)나라를 살펴보건대 하늘이 인도하시고 바로잡아 보전해 주시자,
천심(天心)을 향하여 상고해서 순히 하였건만 지금에는 이미 천명(天命)을 실추하였습니다.』
『 종자보(從子保)는 그 아들까지 보호함이니, 우왕(禹王)이 아들에게 지위를 전함을 말한 것이다.
면(面)은 향함이다. 옛 선민(先民)인 하(夏)나라를 보건대 하늘이 진실로 인도해 주시고 또 그 아들까지 보우하셨으며,
우왕(禹王) 또한 천심(天心)을 향하여 상고해서 공경하고 순종하여 어김이 없었으니,
마땅히 후세에 빙자(憑藉)함이 될 만하나 지금에 이미 천명(天命)을 실추하였다.
지금 은(殷)나라를 보건대 하늘이 진실로 인도해 주시고 또 하(夏)나라의 명(命)을 바로잡아 보우하게 하였으며,
탕왕(湯王) 또한 천심(天心)을 향하여 상고해서 공경하고 순종하여 어김이 없었으니,
마땅히 후세에 빙자(憑藉)함이 될 만하나 지금에 이미 천명(天命)을 실추하였다.
이로써 천명(天命)은 진실로 믿고서 편안히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 제12장(第十二章)
『 이제 충자(沖子)『[소자(小子)]』가 지위를 이으셨으니, 수구(壽耉)『[노성(老成)]』한 사람들을 버리지 마소서.
우리 고인(古人)들의 덕(德)을 상고한다고 말하더라도 버릴 수 없거늘 하물며 능히 꾀를 상고하되 하늘로부터 한다고 말함에 있어서이겠습니까.』
『 계(稽)는 상고(詳考)함이요, 신(쳳)은 하물며이다.
유충(幼沖)한 군주(君主)는 노성(老成)한 신하(臣下)에 대하여 더욱 소원해지기 쉽다.
그러므로 소공(召公)이 말씀하기를 “이제 왕(王)이 동자(童子)로서 지위를 이었으니, 노성한 사람을 버려서는 안됩니다.
능히 고인(古人)의 덕(德)을 상고한다고 말하더라도 이는 진실로 버릴 수 없거늘,
하물며 능히 상고하고 도모하기를 하늘로부터 한다고 말하면 이는 더욱 버릴 수 없습니다.” 한 것이다.
고인(古人)의 덕(德)을 상고하면 일에 증거하는 바가 있을 것이요, 꾀를 상고하되 하늘로부터 한다면 이치에 빠뜨린 바가 없을 것이다.
수구(壽耉)를 버리지 않는 것은 천하(天下)에 군주(君主)노릇 하는 자의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소공(召公)이 특별히 첫번째로 말씀한 것이다.』
▣ 제13장(第十三章)
『 아! 왕(王)은 비록 나이가 어리시나 하늘의 원자(元子)이시니, 크게 소민(小民)들을 화(和)하여 이제 아름답게 하소서.
왕(王)은 감히 뒤늦게 하지 마시어 백성들의 험함을 돌아보고 두려워하소서.』
『 소공(召公)이 탄식하고 말씀하기를 “왕(王)은 비록 나이가 어리나 하늘의 원자(元子)입니다.” 하였으니,
나이는 비록 어리나 그 임무가 큼을 말한 것이다.
기(其)는 기약(期約)하는 말이다. 함(탂)은 화함이요, 암(햽)은 험함이다.
왕(王)은 크게 소민(小民)들을 화하여 지금의 아름다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소민(小民)들이 비록 지극히 미천하나 지극히 두려울 만하니,
왕(王)은 마땅히 덕(德)을 공경함을 늦추지 아니하여 백성들의 험함을 돌아보고 두려워하여야 한다.』
▣ 제14장(第十四章)
『 왕(王)이 와서 상제(上帝)를 이으시어 스스로 토중(土中)에서 정사(政事)를 행하소서.
단(旦)『[주공(周公)]』도 말하기를 ‘대읍(大邑)을 만들어서 이로부터 황천(皇天)을 대하고 상하(上下)의 신(神)을 삼가 제사(祭祀)하며,
이로부터 중앙에서 다스린다.’ 하였으니, 왕(王)이 하늘의 이루어진 명을 소유하시면 백성을 다스림이 이제 아름다울 것입니다.』
『 낙읍(洛邑)은 천지(天地)의 중앙이므로 ‘토중(土中)’이라 이른 것이다.
왕(王)이 낙읍(洛邑)에 와서 하늘의 뜻을 이어 다스림을 내시니, 마땅히 토중(土中)에서 복행(服行)하여야 한다.
이 때 낙읍(洛邑)이 완성을 고하여 성왕(成王)이 처음 정사를 하였다.
그러므로 소공(召公)이 스스로 토중(土中)에서 행함을 말하였고,
또 주공(周公)이 일찍이 “이 대읍(大邑)을 만들어서 이로부터 상천(上天)을 대월(對越)하고 신기(神祗)에 제향(祭享)하여 답하며
이로부터 중앙에 머물러 정사를 도모한다.”고 한 말씀을 든 것이다.
성명(成命)은 하늘의 이루어진 명(命)이다.
성왕(成王)이 상제(上帝)를 이어 토중(土中)에서 정사(政事)를 행하면 거의 하늘이 성명(成命)을 소유하여 백성을 다스림이 이제 곧 아름다울 것이다.』
『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성왕(成王)이 낙읍(洛邑)에 머물고자 한 것은 천사(天事)로 말하면 일동(日東)은 저녁에 그림자가 드리워져 바람이 많고,
일서(日西)는 아침에 그림자가 드리워져 음지(陰地)가 많고, 일남(日南)은 그림자가 짧아 더위가 많고,
일북(日北)은 그림자가 길어 추위가 많은데, 낙읍(洛邑)은 천지(天地)의 중앙이라서 풍우(風雨)가 모이고 음양(陰陽)이 조화로운 곳이다.
그리고 인사(人事)로 말하면 사방(四方)에서 조빙(朝聘)하고 공부(貢賦)함에 도로(道路)의 이수(里數)가 균등하다. 그러므로 토중(土中)이라고 말한 것이다.』
▣ 제15장(第十五章)
『 왕(王)이 먼저 은(殷)나라의 어사(御事)들을 복종시켜 우리 주(周)나라의 어사(御事)들을 친근히 하고 돕게 하시어
나쁜 성질을 절제시키시면 날로 선(善)에 매진할 것입니다.』
『 사람을 다스림에는 마땅히 먼저 신하를 복종시켜야 함을 말한 것이다.
왕(王)은 먼저 은(殷)나라의 어사(御事)들을 복종시켜 우리 주(周)나라의 어사(御事)들을 친근히 하고
부이(副貳)『[돕게 함]』해서 점점 물들게 하고 도야(陶冶)하여 이루어져서 서로 보고 선을 하여
교만하고 음탕한 성질을 절제하게 하면 날로 선(善)에 나아가고 그치지 않을 것이다.』
▣ 제16장(第十六章)
『 왕(王)은 공경을 처소로 삼아야 하니, 덕(德)을 공경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 신하를 교화함은 반드시 자신을 삼가야 함을 말한 것이다.
소(所)는 처소(處所)이니, 〈무일(無逸)〉의 “소기무일(所其無逸)『〔무일(無逸)을 처소(處所)로 삼음〕』”의 소(所)와 같다.
왕(王)이 공경(恭敬)을 처소(處所)로 삼으면 동정(動靜)과 어묵(語默), 출입(出入)과 기거(起居)가 가는 곳마다 경(敬)에 거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불가불경덕(不可不敬德)은 덕(德)을 공경(恭敬)하지 않으면 안됨을 심히 말한 것이다.』
▣ 제17장(第十七章)
『 나는 하(夏)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은(殷)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으니,
나는 감히 알지 못하노니 하(夏)나라가 천명(天命)을 간직하여 역년(歷年)을 둘 것인가?
나는 감히 알지 못하노니 연장하지 못할 것인가? 오직 덕(德)을 공경하지 아니하여 일찍 천명(天命)을 실추하였습니다.
나는 감히 알지 못하노니 은(殷)나라가 천명(天命)을 받아 역년(歷年)을 둘 것인가?
나는 감히 알지 못하노니 연장하지 못할 것인가? 오직 덕(德)을 공경하지 아니하여 일찍 천명(天命)을 실추하였습니다.』
『 하(夏)나라와 상(商)나라의 역년(歷年)의 길고 짧음은 감히 알 수 없고,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그 덕(德)을 공경하지 않으면 즉시 천명(天命)을 실추한다는 사실이다.
상장(上章)에 옛 선민(先民)을 본다는 뜻과 서로 출입이 있으나, 다만 상장(上章)에서는 하늘의 돌아봄을 족히 믿을 수 없음을 주로 말하였고,
여기서는 덕(德)을 공경하지 않으면 천명(天命)을 실추함을 곧바로 말한 것이다.』
▣ 제18장(第十八章)
『 이제 왕(王)이 이어서 천명(天命)을 받으셨으니,
나『[태보(太保)]』는 ‘또한 이 두 나라의 명(命)에 훌륭한 공(功)이 있는 자를 이을 것이다’ 하노니,
하물며 왕(王)이 처음 정사(政事)하여 교화(敎化)를 행함이겠습니까.』
『 이제 왕(王)이 이어서 천명(天命)을 받았으니,
나는 이르기를 “또한 하(夏)나라와 상(商)나라의 명(命)에 마땅히 그 공(功)이 있는 자를 이을 것이다.” 하노니,
이는 능히 덕(德)을 공경하여 역년(歷年)한 자를 이음을 말한 것이다.
하물며 왕(王)이 새 도읍에서 처음 정사(政事)함에 교화(敎化)를 복행(服行)하는 처음이겠는가.』
▣ 제19장(第十九章)
『 아! 자식을 낳음에 처음 낳을 때에 달려 있어 스스로 밝은 명(命)을 받지 않음이 없음과 같으니,
이제 하늘이 우리에게 밝음을 명(命)할 것인가? 길흉(吉凶)을 명(命)할 것인가?
역년(歷年)을 명(命)할 것인가? 이것을 아는 것은 지금 우리가 처음 정사(政事)함에 달려 있습니다.』
『 탄식하고 말하기를 “왕(王)이 처음 정사(政事)를 행함이 자식을 낳음에 처음 낳을 때에 달려 있어
선(善)을 함을 익히면 선(善)해져서 스스로 밝은 명(命)을 받지 않음이 없음과 같으니, 정사(政事)를 다스리는 도리 또한 이와 같다.
이제 하늘이 왕(王)에게 밝음을 명(命)할 것인가? 길흉(吉凶)을 명(命)할 것인가? 역년(歷年)을 명(命)할 것인가?
모두가 알 수 없고, 알 수 있는 것은 지금 우리가 처음 정사(政事)를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다.” 하였다.
처음 정사(政事)함에 덕(德)을 공경하면 또한 스스로 밝은 명(命)을 받아 길(吉)하고 역년(歷年)할 것이다.』
▣ 제20장(第二十章)
『 새 도읍(都邑)에 머무시어 왕(王)께서는 빨리 덕(德)을 공경하소서.
왕(王)께서 덕(德)을 씀이 하늘의 영원한 명(命)을 비는 것입니다.』
『 새 도읍(都邑)에 머묾이 이른바 초복(初服)이라는 것이다.
왕(王)은 빨리 덕(德)을 공경하여야 하니, 어찌 늦출 수 있겠는가.
왕(王)은 덕(德)을 써서 하늘에게 역년(歷年)을 빌어야 할 것이다.』
▣ 제21장(第二十一章)
『 왕(王)께서는 소민(小民)들이 법(法)이 아닌 것을 지나치게 쓴다고 하여 또한 진륙(殄戮)을 과감하게 결단하여 다스리지 마소서.
백성들을 순히 하여야 공(功)이 있을 것입니다.』
『 형벌(刑罰)은 덕(德)의 반대이니, 덕(德)을 공경함을 빨리 하면 마땅히 형벌(刑罰)을 씀을 늦출 것이니,
소민(小民)들이 법이 아닌 것을 지나치게 쓴다는 이유로 또한 진륙(殄戮)을 과감하게 결단하여 다스리지 말 것이요,
오직 백성들을 순히 인도하면 공(功)이 있을 것이다. 백성은 물과 같으니,
물이 범람하여 멋대로 흐름은 물의 본성(本性)을 잃은 것이나 막아서 흐르지 못하게 하면 폐해가 더욱 심해지니,
오직 순히 하여 인도하면 공(功)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 제22장(第二十二章)
『 왕위(王位)가 덕(德)이 으뜸인 자에게 있으면 소민(小民)들이 이를 본받아 덕(德)을 천하(天下)에 써서 왕(王)의 덕(德)에 더욱 빛날 것입니다.』
『 원(元)은 수(首)『[으뜸]』이다. 천하(天下)의 위에 거하면 반드시 천하(天下)에 으뜸인 덕(德)이 있어야 하니,
왕위(王位)가 덕(德)이 으뜸인 자에게 있으면 소민(小民)들이 모두 의형(儀刑)『[본받음]』하여 아래에서 덕(德)을 쓸 것이니, 왕(王)의 덕(德)에 더욱 빛날 것이다.』
▣ 제23장(第二十三章)
『 상하(上下)가 근로하여 기약하여 말하기를
‘우리가 천명(天命)을 받음이 크게 하(夏)나라의 역년(歷年)과 같으며 은(殷)나라의 역년(歷年)을 폐하지 말라.’ 하니,
왕(王)께서는 소민(小民)들을 데리고 하늘의 영원한 명(命)을 받기를 바라옵니다.”』
『 기(其)는 또한 기약(期約)하는 말이다.
군신(君臣)이 근로(勤勞)하여 기약하기를
“우리가 천명(天命)을 받음이 크게 하(夏)나라의 역년(歷年)과 같으며 은(殷)나라의 역년(歷年)을 폐하지 말라.” 하니,
이는 하(夏)나라와 은(殷)나라의 역년(歷年)의 긺을 겸하고자 한 것이다.
소공(召公)은 또 이어서 왕(王)이 소민(小民)들을 데리고 하늘의 영원한 명(命)을 받기를 바랬으니,
소민(小民)들을 데리고 하는 것은 근휼(勤恤)의 실제이고, 하늘의 영명(永命)을 받는 것은 역년(歷年)의 실제이다.』
『 소씨(蘇氏)가 말하였다. “군신(君臣)이 한 마음이 되어서 백성들을 부지런히 구휼(救恤)하니,
거의 왕(王)이 천명(天命)을 받아 역년(歷年)함이 하(夏)•상(商)과 같을 것이요, 또 민심(民心)을 천심(天心)으로 삼을 것이다.”』
▣ 제24장(第二十四章)
『 〈소공(召公)이〉 배수계수(拜手稽首)하여 아뢰옵니다.
“나 소신(小臣)은 감히 왕(王)의 수민(讐民)『[원수 백성]』인 은(殷)나라 백성과 여러 군자(君子)와 우민(友民)들을 데리고
왕(王)의 위명(威命)과 명덕(明德)을 보존하고 받게 하노니, 왕(王)께서 마침내 이루어진 명(命)을 소유하시면 왕(王)이 또한 후세에 드러나실 것입니다.
내 감히 수고롭게 여기는 것이 아니오라 오직 공손히 폐백을 받들어 왕(王)께서 하늘의 영명(永命)을 기원함에 바치나이다.”』
『 수민(讐民)은 은(殷)나라의 완악한 백성으로 삼감(三監)과 더불어 배반한 자이고,
백군자(百君子)는 은(殷)나라의 일을 다스리는 서사(庶士)이며, 우민(友民)은 주(周)나라의 순종하는 백성이다.
보(保)는 보존하여 잃지 않음이요, 수(受)는 받아서 막지 않는 것이다.
위명(威命)과 명덕(明德)은 덕(德)의 위엄과 덕(德)의 밝음이다. 말(末)은 마침이다.』
『 소공(召公)이 편(篇)의 끝에 공경을 지극히 하여 말씀하기를
“나 소신(小臣)은 감히 은(殷)나라와 주(周)나라의 신민(臣民)들을 데리고 왕(王)의 위명(威命)과 명덕(明德)을 보존하고 받게 하노니,
왕(王)은 마침내 하늘의 이루어진 명(命)을 소유하여 후세에 드러나실 것이니,
내가 감히 이것을 수고롭게 여기는 것이 아니오라 오직 공손히 폐백을 받들어 왕(王)께서 하늘의 영명(永命)을 기원함에 바칠 뿐입니다.” 한 것이다.
폐백을 받드는 예(禮)는 신하(臣下)의 직분에 마땅히 공손히 해야 할 일이며, 하늘의 영명(永命)을 기원하는 실제는 왕(王)이 스스로 다함에 달려 있는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공손히 폐백을 받든다는 것은 짐작컨대 곧 상문(上文)에 ‘폐백을 취하여 주공(周公)에게 주고 왕(王)에게 아뢴 뜻을 말하게 한 것’이니,
아마도 당시에 성왕(成王)이 장차 새 도읍의 제사(祭祀)를 거행하려 하였으므로 소공(召公)이 받들어 제사를 도운 듯하다.』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주서-다사(多士) (0) | 2015.05.02 |
---|---|
서경-주서-낙고(洛誥) (0) | 2015.05.02 |
서경-주서-재재(梓材) (0) | 2015.05.02 |
서경-주서-주고(酒誥) (0) | 2015.04.29 |
서경-주서-강고(康誥) (0) | 201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