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1구(第221句) (제221句~제228句까지 雜事에 關함)
전 첩 간 요(1.牋 2.牒 3.簡 4.要)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글과 편지는 간략함을 요한다.
1. 문체는 3. 간략하고 2. 편지는 4. 요점만 쓴다.
文體;
1. 지은이의 사상이나 개성이 글의 문구 등에 표현된 독특한 성질.
지적내용이 같은 성질이면서도 언어 사용자의 성격적 발달로
그것이 부여하는 인상이 각각차이를 표시하는 상태를 가리킴, 즉 스타일 (style).
2. 글의 체제를 보면 구어체. 문어체. 논문체. 서한체. 서사체 따위.
편지 전(牋), 편지 첩(牒), 편지 간(簡), 구할 요)要.
전첩간요(牋牒簡要); 글과 편지(便紙)는 간략(簡略)함을 요한다.
牋翰; 종이와 붓, 상소 전(牋)하면 군주에게 올리는 문서, 전주(牋奏) 하면 천자에게 올리는 문서이다.
아뢸 주(奏). 중국(中國)문체(文體)의 하나 한(漢)위(魏)시대(時代)에는 天子. 태자(太子) 帝王(제왕)등(等)에 대한
상주문(上奏文)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었으며, 후세에는 황후(皇后)태자(太子)에 대한 것을 이르던 말임.
?문체이름 전(牋), (文體名)위의 文體에 關한 說明參考要望
제222구(第222句)
고 답 심 상(1.顧 2.答 3.審 4.詳)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편지의 회답도 자세히 살펴 써야 한다.
1. 돌아보고 3. 살펴야할 것은 2. 답장을 4. 상세히 간파해야 한다.
돌아볼 고(顧). 고시(顧視; 고개를 돌려 뒤를 돌아봄). 둘러본 지난 일을 생각해봄. 유의함.
고려(顧慮; 생각하고 헤아림), 돌보아줄 고(顧), 대답 답(答), 갚을 답(答). 상대방의 경의에 보답,
살필 심(審), 궁구할 실(悉)悉也에서는 알 심(審), 자세할 상(詳)
學習考:
221句같은 경우는 1.3.2.4 순으로 뜻풀이를 하지 아니 하고는 문체(文體)같은 깊은 뜻을 알아낼 수 없고
하나를 학습하면서 열(10)을 터득하는 방법을 찾기란 상상하기조차 어려울 것이다.
편지 전(牋)字를 문체이름 전(牋)字로 읽는 다는 사실규명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기도 한다.
이 문체이름 전(牋)字의 뜻은 바로 문체(文體)의 뜻 탐색에 이어 지는 길 자비가 된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전첩(牋牒); 다른 사람과의 사이에 왕래하는 서신. 전은편지라는 뜻 이외에
왕후. 태자에게 올리는 문서를 뜻하기도 한다.
간요(簡要); 간결하고 요령이 있다는 뜻.
편지와 글은 간명. 요약하여 번잡을 피하고 대답할 때에는 서두르지 말고 좌우를 살펴 상세히 해야 할 것이다.
제223구(第223句)
해 구 상 욕(1.骸 2.垢 3.想 4.浴)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몸에 때가 끼면 목욕하기를 생각하고
1. 몸3. 생각해서 2. 때 닦는 4. 목욕을 해야 하고.
뼈 해(骸), 몸 해(骸), 정강이뼈 해(骸), 때 구(垢), 수치 구(垢), 생각할 상(想).
몽상부도(夢想不到). 꿈에도 생각할 수 없다,
목욕할 욕(浴). 욕불(浴佛; 석가가 탄생한 4월8일에 불상에 향수를 뿌리는 행사.
學習考:
해구(骸垢); 몸에 낀 때. 상욕(想浴); 목욕할 것을 생각하다.
곧 <<禮記>> 내칙(內則)에 보면「부모의 침이나 콧물같은 더러운 것은 남에게 보이지 않고
닷새 마다 물을 데워서 목욕시키고 사흘마다 몸을 닦아 드린다.
그 중간에 라도 얼굴에 때가 있으면 물을 데워 닦기를 청하고,
발이 더러우면 역시 물을 데워다 드리고 닦기를 청한다.」 고했다.
이와 같은 문화는 자기의 부모는 말 할 것도 없거니와
이웃 노인에게까지 경로사상(敬老思想)을 잘 준수하고 있는 것이 우리사회에는 도처에서 볼 수가 있으며,
선행봉사단(善行奉使團)이 생겨나서 무의탁노인에게 선행을 하고 있는 사례(事例)도 흔히 불 수 있다.
이런 일들은 자식을 키우고 있는 부모들이 많은 봉사단체에 참여하고
이를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24구(第224句)
집 열 원 량(1.執 2.熱 3.願 4.凉)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
1. 아버지의 벗을3 .청을 할 테면 2. 더우면 4. 서늘하게 하라.
잡을 집(執); 손으로 쥠. 집필(執筆; 붓을 쥠), 벗 집(執).
부집(父執; 아버지의 벗. <執>은 아버지와 같은 뜻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
뜨거울 열(熱), 원할 원(願), 학자할 원(願), 바랄원(願), 부러워할 원(願), 생각할 원(願), 청할원(願),
서늘할 량(凉), 凉通에서는 바람이름 량(凉), 고을이름 량(凉),엷을 량(凉), 도울 량(凉), 믿을 량(凉); 諒通.
學習考:
위의 224句에서"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 한다" 라고 뜻풀이를 한다면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
敍事詩의 본질에 다소 멀어지는 너무나 가벼운 풀이가 될수도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다시 글자 뜻을 탐색 결과 잡을집(執)字를 벗집(執)字로 읽는 뜻이 있으며,
부집(父執)이라 하면 아버지의 벗하는 뜻을 볼 수 있어
本詩에서는 남의 어버이도 내 어버이 섬기듯 하는 정신이 담겨있다고 보아진다.
周興嗣의 千字文은 가벼운 뜻풀이보다는 내용면에서 무게 있는 쪽으로 보는 것이 千字文全文에 關하여 나타나고,
뜻풀이순서는 1. 3.2 .4順이 순조로운 학습으로 이어지고 있다.
제225구(第225句)
려 라 독 특(1.驢 2.騾 3.犢 4.特)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家畜)을 말한다.
1. 나귀와 3. 송아지 2. 노새와 4. 수소모두가 가축이다.
나귀 려(驪), 가라말려 하면 검은말, 나란히 할 려(驪). 수레에 두필의 말을 나란히 매고멍에를 에움,
노새 라(騾)는騎蓄驢 馬交生. 노새라 하면 수나귀와 암말사이에 혼혈 種(종).나려하면 노새와 나귀를 말함,
송아지 독(犢). 지독지애(舐犢之愛; 어미 소가송아지를 핥을 지(舐)핥아서 사랑 한다는 뜻으로
제 자식은 무조건 사랑한다는 것을 비유한말),
특별 특(特) 수소 특(特). 소의수컷. 동물의 수컷, 유다를 특(特), 독특(犢特;송아지와 황소).
學習考:
사람은 필요할 때에 사용하기 위해 집에서 여러가지 가축을 기르는데,
여러 가축 중에서도 소와 말 종류가 잘 번식해서 뛰고 노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 本句의 내용이다.
가축이 번성한다는 것은 그만큼 축산농민이 부(富)하고 통치자는 선정(善政)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러므로 <<예기>>에서는「백성들이 잘살고 못사는 것을 물으면 가축의 수효로서 이에 대답한다.
문서인지부수축이대(問庶人之富數畜以對)」라고 하였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농가에서는 가축이 차지하는 경제적할(割)이 상당한 비중순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제226구(第226句)
해 약 초 양(1.駭 2.躍 3.超 4.驤)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家畜)의 모습을 말한다.
1. 놀라서3. 뛰고 2. 뛰며 4. 달리는 그 모습을 말한다.
놀랄 해(駭). 뛸 약(躍). 뛸 초(超). 달릴 양(驤).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함
學習帳:
여기에 두 글句는 雜事로 前句는 가축의 種類(노새와 송아지)를 말함이요.
後句는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함이다.
이와 같은 광경은 부농정책으로 농가의 평화로움과 나라가 태평함을 표현을 한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근대적 세계(世界)의 실황을 잘 고찰을 해야 할 것이다.
농가와 가축에 관하여 교역국가간에 상호의 수출과 수입에 관련한
각기자국(自國)의 이익과 상호번영(相互繁榮)의 명분으로 의견마찰은 물론
국가간의 호혜주의(互惠主義)에 입각한 마찰이 있기도 한다.
농산물과 축산물에 관하여 세계의 시장경제론에 이르기까지
국내문제를 뛰어넘어 타국과의 협상이라는 큰 정치적 관련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고려해야하는
시대적 인식을 해야 할 때이다.
제227구(第227句)
주 참 적 도(1.誅 2.斬 3.賊 4.盜)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역적과 도적을 베어 물리침.
1. 하늘이 치라 명한 3. 적자(賊子)는 2. 참하고 4.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벌함.
(賊과盜는斬할놈과罰할놈,輕重을가려서處罰한다로구분했다는점이주목된다)
벨 주(誅). 죄인을 죽임. 주륙(誅戮). 풀 같은 것을 베어 버림, 칠 주(誅). 죄인을 토벌함.
천명주지(天命誅之; 하늘이 치라 명함), 형벌 주(誅). 주상(誅賞; 악한사람을 벌하고 착한사람을 칭찬함),
벨 참(斬). 참수(斬首), 끊어질 참(斬). 다함. 없어짐,
참쇠[(斬衰; 거친 삼베로 지어 아랫단을 꿰매지 않은 상복). 도련하지 않은 상복 참(斬)],
도둑 적(賊). 남의물건을 훔치는 사람, 학대할 적(賊). 적자(賊子; 큰 불효자. 부모를 죽인 자),
도둑도(盜), 훔칠 도(盜).도용(盜用). 부당한 수단을 써서 분수에 넘치는 것을 탐내어 얻음. 도명(盜名); 도둑이름.
學習帳:
적(賊)은 아무거리 낌 없이 살인을 저지르는 자,도 (盜)는 남의물건을 훔치고 앗아간 자를 말한다.
또한 반(叛)은 임금을 배반하고 스스로왕위에 오르려고 하는 자,
망(亡)은 나쁜 일을 저지르고 달아난 자를 말하는데, 이들은 모두가 나라의 치안을 해치는 者이다.
제228구(第228句)
포 획 반 망(1.捕 2.獲 3.叛 4.亡)
1,3 먼저 1과3을 뜻풀이 한다
2,4 다음 2와4를 뜻풀이 한다
배반(背反)하고 도망(逃亡)하는 자를 잡아 죄를 다스린다.
1. 포박(捕縛)한 3. 반역자(叛逆者)는 2. 곤박(困迫)하므로 4. 망(亡)하게한다. (배반하고 도망함은 반역자로 규정)
잡을 포(捕). 포획(捕獲; 신용을 얻다), 포박(捕縛; 사로잡다),
얻을 획(獲). 획득(獲得; 얻고 또 얻으니 이는 사용),
곤박할 획(獲)事勢가 다급함, 붙잡을 획(獲)같이 쓰인다, 배반할 반(叛), 망할 망(亡), 죽을 망(亡).
學習考:
本句에서는 제227句에서 斬首云云關連對句로 當然코嚴斷의 措置가 따르는 것을 形容한다.
本學習에서1. 3. 2. 4 順의 뜻풀이를 하고보니 困迫할 획(獲)字로 뜻하고 있음을 探索하하게 되고
3권을 독점하고 있던 군주시대의 법리(法理)생각을 해보게 한다.
곤박(困迫)은 벌어진 일이다 급하고 사세(事勢)가 어렵다. 해서 이와 같은 후속조치로
긴급포획명령(緊急捕獲命令)하에 붙잡아서 망(亡)쳐버린다.
(이와 같은 단순형벌주의는 군주가 입법, 사법, 행정3권을 모두 장악하고 있을 때의 처벌주의로 보아야한다).
글을 學習하는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四言古體敍事詩文을 접근함에 있어서
폭넓은 접근방식과 사고력, 논술 역 을 동시에 염두에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닐는지?
'千字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제235구~제250구 경계를 말함 (0) | 2013.06.29 |
---|---|
천자문 제229구~제234구 기교를 말함 (0) | 2013.06.29 |
천자문 제217구~제220구 제사를 말함 (0) | 2013.06.29 |
천자문 제207구~제216구 안락을 말함 (0) | 2013.06.29 |
천자문 제201구~206구 식사를 말함 (0) | 201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