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 상서 - 탕고(湯誥)


 

▣ 탕고(湯誥)

 

『湯伐夏歸¨]하시니 諸侯率職來朝어늘 湯作誥하사 以與天下更始하시니 今文無, 古文有하니라』

 

『 탕왕(湯王)이 하(夏)나라를 정벌하고 박읍(¨]邑)으로 돌아오니, 제후(諸侯)들이 직책을 받들어 내조(來朝)하였다.
탕왕(湯王)이 고(誥)를 지어 천하와 더불어 경시(更始)『[새 출발을 함]』하였으니, 금문(今文)에는 없고 고문(古文)에는 있다.』


 

▣ 제1장(第一章)


『 왕(王)이 하(夏)나라를 이기고 돌아와 박읍(¨]邑)에 이르시어 크게 만방(萬方)에 고하였다.』

『 탄(誕)은 큼이다. 박(¨])은 탕왕(湯王)이 도읍한 곳이니, 송주(宋州)의 곡숙현(穀熟縣)에 있다.』

 


▣ 제2장(第二章)


『 왕(王)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너희 만방(萬方)의 무리들아. 나 한 사람의 가르침을 분명히 들어라.
훌륭하신 상제(上帝)가 하민(下民)들에게 충(衷)을 내려주어 순히 하여 떳떳한 성(性)을 소유하였으니,
능히 그 도(道)에 편안하게 하는 이는 군주인 것이다.』

『 황(皇)은 위대함이요, 충(衷)은 중(中)이요, 약(若)은 순함이다.
하늘이 명(命)을 내릴 적에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이치를 갖추어 편벽되거나 치우친 바가 없으니 이른바 충(衷)이며,
사람이 명(命)을 받을 적에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이치를 얻어 마음과 함께 나오니 이른바 성(性)이다.
유(猷)는 도(道)이니, 이치의 자연을 따라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행실이 있으니 이른바 도(道)이다.
충(衷)을 내려준 입장에서 말하면 편벽되거나 치우친 바가 없으니,
자연을 순히 하여 본래 떳떳한 성(性)을 보유하고 있으나 품수(稟受)한 입장에서 말하면 청(淸)과 탁(濁), 순(純)과 잡(雜)의 다름이 없지 못하다.
그러므로 반드시 군주(君主)와 스승의 직책이 있은 뒤에야 도(道)에 편안하게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그 도(道)에 편안하게 하여야 군주(君主)라고 말한 것이다. 하늘이 내신 백성들이 욕망이 있음은 정(情)으로 말한 것이요,
상제(上帝)가 하민(下民)에게 충(衷)을 내려줌은 성(性)으로 말한 것이다.
중훼(仲텪)는 정(情)에 나아가 사람의 욕망을 말하였고, 성탕(成湯)은 성(性)에 근원하여 사람의 선(善)을 밝혔으니,
성현(聖賢)의 의논이 서로 발명된다. 그러나 그 뜻은 모두 군주(君主)의 도(道)가 천하(天下)에 관계됨이 이와 같이 중함을 말한 것이다.』

 


▣ 제3장(第三章)


『 하(夏)나라 왕(王)이 덕(德)을 멸하고 위엄을 부려 너희 만방(萬方)의 백성들에게 사나움을 펴니,
너희 만방(萬方)의 백성들이 그 흉해(凶害)에 걸려서 도독(»~毒)을 참지 못하여 모두 죄가 없음을 상하(上下)의 신기(神祗)에게 하소연하였다.
하늘의 도(道)는 선(善)한 자에게 복(福)을 내리고 음탕한 자에게 화(禍)를 내린다.
그리하여 하(夏)나라에 재앙(災殃)을 내려 그 죄(罪)를 드러내신 것이다.』

『 걸(桀)은 인애(仁愛)함이 없고 단지 살륙(殺戮)을 하여 천하(天下)가 그 흉해(凶害)를 입음이
마치 씀바귀의 쓴 것과 같고 독충의 독과 같아서 견디고 참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천지(天地)의 귀신(鬼神)에게 원통함을 말하여 자기를 구원해 주기를 바란 것이다.
굴원(屈原)이 말하기를 “사람이 궁해지면 근본으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사람이 수고롭고 괴로우며 피곤함이 지극하면 일찍이 하늘을 부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하였다.
하늘의 도(道)는 선(善)한 자에게 복(福)을 내리고 음탕한 자에게 화(禍)를 내리니,
걸왕(桀王)이 이미 음탕하고 사나우므로 하늘이 재앙을 내려서 그 죄를 밝힌 것이다.
짐작컨대 당시에 반드시 재이(災異)의 일이 있었을 것이니,
〈주어(周語)〉에 이른바 ‘이수(伊水)와 낙수(洛水)가 고갈됨에 하(夏)나라가 망했다.’는 따위와 같은 것이다.』

 


▣ 제4장(第四章)


『 이러므로 나 소자(小子)는 하늘이 명(命)하신 밝은 위엄을 받들어 감히 용서할 수가 없기에 검은 희생(犧牲)을 써서
상천(上天)과 신후(神后)에게 밝게 아뢰어 유하(有夏)에게 죄(罪)를 내릴 것을 청하고
마침내 원성(元聖)을 찾아서 그와 더불어 힘을 다해서 너희 무리들과 함께 명(命)을 청하였노라.』

『 사(肆)는 고(故)이다. 그러므로 나 소자(小子)가 하늘이 명하신 밝은 위엄을 받들어서 감히 걸왕(桀王)의 죄를 용서하지 못하는 것이다.
현무(玄牡)는 하(夏)나라는 검은 색을 숭상하였으니, 아직 그 예(禮)를 바꾸지 않은 것이다.
신후(神后)는 후토(后土)이다. 율(聿)은 드디어이다. 원성(元聖)은 이윤(伊尹)이다.』

 


▣ 제5장(第五章)


『 상천(上天)이 진실로 하민(下民)들을 돕기에 죄인이 쫓겨나 굴복하니, 천명(天命)은 어긋나지 아니하여 찬란함이 초목(草木)과 같다.
그리하여 만백성들이 진실로 생식(生殖)되는 것이다.』

『 부(孚)와 윤(允)은 모두 진실로이다. 참(僭)은 어그러짐이다.
분(賁)는 문채(文采)가 드러남이다. 식(殖)은 낳음이다.
상천(上天)이 진실로 하민(下民)들을 돕는다.
그러므로 하걸(夏桀)이 도망하여 굴복하니, 천명(天命)이 어긋남이 없는 것이 초목(草木)이 찬란하게 잎이 피고 꽃이 피는 것과 같아서
조민(兆民)들이 진실로 생식되는 것이다.』

 

 

▣ 제6장(第六章)

 

『 나 한 사람으로 하여금 너희 국가를 화하고 편안하게 하시니,
이에 짐(朕)은 상하(上下)에 죄를 얻을까 알지 못하여 율률(慄慄)하며 위태롭게 여기고 두려워하여 장차 깊은 못에 빠질 것처럼 여기노라.』

『 집(輯)은 화함이요 여(戾)는 죄요 운(隕)은 떨어짐이다.
하늘이 나로 하여금 너희 국가를 화하고 편안하게 하시니, 그 맡겨 주신 중함을 감당하지 못할까 두려우며,
나는 천지에게 죄를 얻을지의 여부를 알지 못하여 놀라고 두려워하며 근심하고 조심하여 장차 깊은 못에 빠질 것처럼 여기니,
책임이 무거울수록 근심이 커지는 것이다.』

 

 

▣ 제7장(第七章)


『 무릇 우리 새로 출발하는 나라들은 법(法)이 아닌 것을 따르지 말며,
태만하고 음탕함에 나아가지 말아서 각각 너희의 떳떳함을 지켜 하늘의 아름다운 명령을 받들도록 하라.

『 하(夏)나라 명(命)이 이미 축출됨에 탕왕(湯王)의 명(命)이 새로워지니, 제후(諸侯)의 나라가 비록 오래되었으나 모두 다시 새롭게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조방(造邦)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彛)는 법(法)이요, 즉(卽)은 나아감이요, 도(쩹)는 태만함이다.
비이(匪彛)는 법도(法度)를 가리켜 말한 것이요, 도음(쩹淫)은 일락(逸樂)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전(典)은 떳떳함이니, 각기 그 전상(典常)의 도(道)를 지켜 하늘의 아름다운 명(命)을 받드는 것이다.』

 

 

▣ 제8장(第八章)


『 너희가 선(善)함이 있으면 내 감히 가리지 않을 것이요,
죄(罪)가 나의 몸에 당하면 감히 스스로 용서하지 않을 것이니,
간열(簡閱)함이 상제(上帝)의 마음에 달려 있다.
너희 만방(萬方)이 죄가 있음은 책임이 나 한 사람에게 있고, 나 한 사람이 죄가 있음은 너희 만방(萬方) 때문이 아니다.』

『 간(簡)은 간열(簡閱)함이다.
사람이 선행(善行)이 있으면 감히 현달하게 하지 않을 수 없고, 내 몸에 죄가 있으면 감히 스스로 용서할 수 없으니,
간열(簡閱)함에 한결같이 하늘을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하늘이 천하(天下)를 나에게 맡겨 주었으니, 백성들이 죄가 있음은 실로 군주(君主)의 소행(所行)이요,
군주(君主)가 죄가 있음은 백성들의 소치(所致)가 아니다.
이는 단지 성인(聖人)이 자기를 책함에 후하고 남을 책함에 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는 바로 이치가 있는 곳이니,
군주(君主)의 도리에 당연한 것이다.』

 

 

▣ 제9장(第九章)


『 아! 부디 이에 성실(誠實)하게 하여야 마침내 또한 종(終)이 있을 것이다.”』

『 침(´0)은 성실함이다. 탄식하고 말하기를 “거의 능히 이에 성실하여야 또한 종(終)이 있다.”고 한 것이다.
오씨(吳氏)가 말하였다. “이는 남과 자기를 겸하여 말씀한 것이다.”』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 상서 - 태갑 상(太甲上)  (0) 2015.04.29
서경 - 상서 - 이훈(伊訓)  (0) 2015.04.29
서경 - 상서 - 중훼지고(仲훼之誥)  (0) 2015.04.29
서경 - 상서 - 탕서(湯誓)  (0) 2015.04.29
서경 - 하서 - 윤정(胤征)  (0) 2015.04.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