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 상서 - 반경 중(盤庚中)


▣ 반경 중(盤庚 中)


 

▣ 제1장(第一章)

 

『 반경(盤庚)이 일어나 황하(黃河)를 건너 〈천도(遷都)하여〉
백성들을 옮길 적에 마침내 따르지 않는 백성들에게 말씀하여 크게 고(告)하기를 정성으로 하였다.
이에 무리들이 모두 나와서 설만(褻慢)하지 말자고 하며 왕정(王庭)에 있었는데, 반경(盤庚)이 곧 그 백성들을 올라와 나오게 하였다.』

『 작(作)은 일어나 장차 옮기는 말이다. 은(殷)이 황하(黃河)의 남쪽에 있으므로 황하(黃河)를 건넌 것이다.
탄(誕)은 큼이요, 단(亶)은 정성(精誠)이다. 함(咸)과 조(造)는 모두 이름이다.
물설(勿褻)은 설만(褻慢)하지 말자고 경계한 것이니, 이는 사신(史臣)의 말이다.
소씨(蘇氏)가 말하였다. “백성들이 따르지 않는 것을 정령(政令)으로 정제(整齊)하지 않고 말로 깨닫게 하였으니,

이는 반경(盤庚)의 인(仁)이다.”』

 


▣ 제2장(第二章)


『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분명히 내 말을 들어서 나의 명(命)을 폐하거나 잃지 말도록 하라.』

『 황(荒)은 폐함이다.』

 

 

▣ 제3장(第三章)


『 아! 옛날에 우리 전후(前后)『[선왕(先王)]』들이 백성을 공경하지 않음이 없으시자,
군주(君主)를 보존하여 서로 걱정하였기에 천시(天時)의 어려움을 이겨내지 못함이 적었다.』

『 승(承)은 공경함이다. 소씨(蘇氏)가 말하였다. “옛날에는 과(過)를 부(浮)라 하였으니, 부(浮)란 말은 이겨냄이다.
임금이 이미 백성들을 공경하지 않음이 없으므로 백성들 또한 임금을 보존하여 서로 그 걱정을 걱정해서 비록 천시(天時)의 재앙(災殃)이 있으나
인력(人力)으로 이겨내지 못함이 적었던 것이다.”』

『 임씨(林氏)가 말하였다. “백성들의 걱정을 걱정하는 군주(君主)는 백성들 또한 군주(君主)의 걱정을 걱정하니,
백성을 공경하지 않음이 없음은 백성의 걱정을 걱정함이요, 임금을 보존하여 서로 걱정함은 백성들 또한 그 걱정을 걱정하는 것이다.”』

 


▣ 제4장(第四章)


『 은(殷)나라에 큰 해로움이 내리거늘 선왕(先王)들이 편안히 여기지 않으시어

흥작(興作)함은 백성들의 이로움을 살펴보아 천도(遷都)하신 것이니,
너희들은 어찌 내가 들은바 고후(古后)의 일을 생각하게 하지 않는가.
너희들을 공경하고 너희들을 시키는 것은 편안함을 함께 함을 기뻐해서이니, 너희들에게 잘못이 있어서 형벌에 미치게 하려는 것이 아니다.』

『 선왕(先王)은 하늘이 큰 해로움을 내리므로 편안히 거처하지 못하였으니,
그 흥작(興作)한 것은 백성들의 이로움을 살펴보아 마땅히 천도(遷都)하여야 했을 뿐이었으니,
너희 백성들은 어찌하여 내가 들은바 선왕(先王)의 일을 생각하지 않는가.
무릇 내가 너희들을 공경하고 너희들을 시키는 까닭은 오직 너희들과 편안함을 함께 함을 기뻐해서이니,
너희들이 죄가 있어 형벌에 미치게 해서 너희들을 귀양보내려는 것이 아니다.』

 


▣ 제5장(第五章)


『 내 이와 같이 불러서 새 도읍에 오라 함은 또한 너희 백성들 때문이니, 너희들의 뜻을 크게 따르려 해서이다.』

『 내가 불러서 이 새 도읍에 오라 하는 까닭은 또한 너희 백성들이 탕석리거(蕩析離居)하는 연고 때문이니,
너희들을 공경하고 너희들을 부려서 편안함을 함께 하여 너희들의 뜻을 크게 따르고자 해서이다.』

『 혹자는 이르기를 “반경(盤庚)이 천도(遷都)함에 백성들이 원망하고 서로 비방하였는데,
여기에 그 뜻을 크게 따른다고 말함은 어째서입니까?” 하였다.
이에 소씨(蘇氏)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에 이른바 ‘여러 사람을 따른다’는 것은 그 입에 좋아하지 않는 바를 따르는 것이 아니요,
그 마음에 말하지 않으면서 똑같이 그렇게 생각함을 따르는 것이니, 이익을 따르고 해를 피하며,
위태로움을 버리고 편안함으로 나아가는 것은 민심(民心)에 똑같은 것이다.
은박(殷¨])으로 옮기는 것은 실로 이 백성들에게 이로운 것인데,
다만 일시적(一時的)인 부언(浮言)에 동요되어 원망하고 즐거워하지 않는 것이니,
가령 안위(安危)와 이해(利害)의 실제에 나아가 그 마음을 돌이켜 찾아본다면 진실로 크게 원하는 바인 것이다.”』

 

 

▣ 제6장(第六章)


『 이제 나는 장차 너희들 때문에 천도하여 이 나라를 안정시키려 하는데,
너희들은 내 마음의 곤궁한 바를 걱정하지 않고 모두 크게 너희들의 마음을 펴서 공경하여 생각하되

정성으로써 하여 나 한 사람을 감동시키지 않으니,
이는 너희들 스스로 곤궁하고 너희들 스스로 괴롭게 하는 것이다.
마치 배를 타는 것과 같으니, 너희들이 제 때에 건너가지 않으면 실로 물건을 부패시키고 말 것이다.
너희들의 정성이 이어지지 않으니, 서로 침몰할 뿐이다. 혹시라도 상고하지 않으니, 스스로 노여워한들 어찌 고통을 덜겠는가.』

『 상문(上文)에서는 선왕(先王)이 백성을 공경함에 백성들 또한 임금을 보존하여 서로 걱정함을 말하였고,
이제 나도 너희들 때문에 이 나라를 안정시키려 하는데, 너희들은 마침내 내 마음의 곤궁한 바를 걱정하지 않고
모두 속에 있는 마음을 펴서 공경하여 생각하기를 정성으로써 하여 나를 감동시키지 않으니,
너희들은 다만 이처럼 분분하여 스스로 곤궁함과 괴로움을 취할 뿐이다.
배를 타는 것에 비유하면 제때에 건너가지 않으면 반드시 그 싣고 있는 물자(物資)를 부패시키고 마는 것과 같다.
이제 너희들의 윗사람을 따르는 정성이 간단(間斷)하여 연결되지 않으니, 어찌 능히 구제함이 있겠는가.
오직 서로 더불어 침닉(沈溺)에 미칠 뿐이다. 《시경(詩經)》에 “그 어찌 선(善)하겠는가.
서로 더불어 빠질 뿐이다.” 하였으니, 바로 이 뜻이다.
이해(利害)가 이와 같은데도 너희 백성들이 혹시라도 상고(詳考)하고 살핌이 없으니,
이 비록 원망하고 미워하며 분노하나 어찌 곤고(困苦)함을 덜겠는가.』

 


▣ 제7장(第七章)


『 너희들은 장구(長久)한 계책을 도모하여 너희들의 재앙을 생각하지 않으니, 이는 너희들이 크게 우환(憂患)으로 권면(勸勉)하는 것이다.
지금은 비록 금일(今日)이 있으나 후일(後日)이 없을 것이니, 너희들이 무슨 삶이 하늘에 있겠는가.』

『 너희들은 장구(長久)한 계책을 하여 옮기지 않는데 따른 재앙을 생각하지 않으니, 이는 너희들이 크게 우환으로 스스로 권면하는 것이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위태로움을 편안하게 여기고 재앙을 이롭게 여겨서 그 망하게 되는 소이(所以)를 즐긴다.” 하였으니,
우환으로 권면함을 이른 것이다. 유금(有今)은 금일(今日)이 있다는 말과 같고, 망후(罔後)는 후일(後日)이 없다는 말과 같다.
상(上)은 하늘이다. ‘지금은 금일(今日)이 있으나 후일(後日)이 없다’는 것은 이는 하늘이 너희들의 명(命)을 끊어 버리는 것이니,
너희들이 무슨 살 이치가 하늘에 있겠는가. 하문(下文)에는 “나는 너희들의 명(命)을 하늘에서 맞이하여 이어주려 한다.”고 말했으니,
서로 머리와 꼬리가 되는 말이다.』

 

 

▣ 제8장(第八章)


『 이제 나는 너희들에게 명(命)하노니, 한결같이 하여 더러움을 일으켜 스스로 부패하지 말도록 하라.
사람들이 너희들의 몸에 기대어 너희들의 마음을 굽게『[사곡(邪曲)]』할까 두렵다.』

『 너희 백성들은 마땅히 한 마음으로 윗사람을 따를 것이요 더러움과 악(惡)함을 일으켜 스스로 냄새나고 부패하지 말도록 하라.
부언(浮言)하는 사람들이 너희들의 몸에 기대어 너희들의 마음을 굽게 해서

너희들로 하여금 사벽(邪僻)하여 중정(中正)한 소견(所見)이 없게 할까 두렵다.』

 


▣ 제9장(第九章)


『 나는 너희들의 명(命)을 하늘에서 맞이하여 이어주려 하노니, 내가 어찌 너희들을 위협하겠는가. 너희들을 받들어 기르려고 하는 것이다.』

『 내가 천도(遷都)하는 까닭은 바로 너희들의 명(命)을 하늘에서 맞이하여 이어주고자 해서이니, 내 어찌 너희들을 위협하겠는가.
너희들을 봉양하려 할 뿐이다.』

 


▣ 제10장(第十章)


『 나는 우리 선신후(先神后)『[선왕(先王)]』께서 너희들의 선조(先祖)를 수고롭게 하였음을 생각하노니,
내가 크게 너희들을 길러줌은 너희들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 신후(神后)는 선왕(先王)이다. 수(羞)는 기름이니, 곧 상문(上文)의 휵양(畜養)의 뜻이다.
“나는 우리 선후(先后)께서 너희 선인(先人)들을 수고롭게 하였음을 사념(思念)하노니,
내가 크게 너희들을 길러줌은 너희들을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 제11장(第十一章)


『 정사(政事)를 잘못하여 천도(遷都)하지 않고 이곳에 오래 있으면 고후(高后)『[탕왕(湯王)]』께서는
나에게 크게 죄질(罪疾)을 많이 내리시며 말씀하기를 ‘어찌하여 나의 백성들을 포악히 하는가?’라고 하실 것이다.』

『 진(陳)은 오램이요, 숭(崇)은 큼이다.
경(耿)땅이 무너지는데도 천도(遷都)하지 않아 우리 백성들을 해롭게 하면 이는 정사(政事)를 잘못하여 이곳에 오래 있는 것이다.
고후(高后)는 탕왕(湯王)이다.
탕왕(湯王)은 반드시 크게 죄질(罪疾)을 내 몸에 내리며 말씀하시기를 “어찌하여 나의 백성들을 포악히 하고 해치는가?”라고 할 것이니,
인군(人君)이 백성을 위하여 편안함을 도모하지 못하면 이 또한 포악히 하는 것이다.』

 


▣ 제12장(第十二章)


『 너희 만민(萬民)들이 생생(生生)『[생업(生業)에 종사하며 즐겁게 살아감]』하지 못하여 나 한 사람의 계책과 마음을 함께 하지 않으면
선후(先后)께서는 너희들에게 죄질(罪疾)을 많이 내리시며 말씀하기를 ‘어찌하여 짐의 어린 손자와 더불어 친하지 않는가?’라고 하실 것이니,
그러므로 상덕(爽德)『[실덕(失德)]』이 있어 위로부터 너희들에게 벌을 내리실 것이니, 너희들은 면할 수가 없을 것이다.』

『 생업(生業)을 즐거워하고 일을 일으키면 생업(生業)이 후해질 것이니, 이것을 생생(生生)이라 이른다.
선후(先后)는 상(商)나라의 선왕(先王)을 범연(泛然)히 말한 것이요, 유손(幼孫)은 반경(盤庚)이 자칭(自稱)한 말이다.
비(比)는 일을 함께 하는 것이다. 상(爽)은 잃음『[잘못]』이다.
너희 백성들이 생업(生業)을 즐거워하고 일을 일으켜서 나와 더불어 마음을 함께 하여 천도(遷都)하지 않으면 우리 선후(先后)께서는
너희들에게 죄질(罪疾)을 크게 내리시며 말씀하기를 “너희들은 어찌 짐(朕)의 유소(幼小)한 손자와 더불어 함께 천도(遷都)하지 않는가?”라고
하실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에게 실덕(失德)이 있어 위로부터 너희들에게 벌을 내리실 것이니, 너희들은 스스로 면할 방법이 없을 것이다.』

 


▣ 제13장(第十三章)


『 옛날 우리 선후(先后)께서 이미 너희들의 조(祖)•부(父)를 수고롭게 하셨다.
그리하여 너희가 함께 나의 기르는 백성이 되었으니, 너희가 해롭게 함이 너희 마음속에 있으면,
우리 선후(先后)께서 너희들의 조(祖)•부(父)를 회유하여 오게 하실 것이니,
그러면 너희들의 조(祖)•부(父)는 마침내 너희들을 끊고 버려서 너희들의 죽음을 구제하지 않을 것이다.』

『 이미 너희들의 조(祖)•부(父)를 수고롭게 했다는 것은 너희들의 선조(先祖)를 수고롭게 함을 거듭 말한 것이다.
너희들이 함께 나의 기르는 백성이 되었다는 것은 너희들이 모두 나의 기르는 바의 백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장(캓)은 해침이다. 수(綏)는 회유하여 오게 하는 뜻이다. 너희들은 장해(캓害)하려는 생각이 너희 마음속에 있으면,
우리 선후(先后)께서는 진실로 이것을 이미 아시고는 너희들의 조(祖)•부(父)를 회유하여 오게 하실 것이니,
그러면 너희들의 조(祖)•부(父)도 또한 너희들을 끊고 버려서 너희들의 죽음을 구제하지 않을 것이다.』

 

 

▣ 제14장(第十四章)


『 나의 정사(政事)를 다스려 지위를 함께한 자들이 화패(貨貝)와 옥(玉)을 모으면 너희들의 조(祖)•부(父)가 크게 우리 고후(高后)에게 아뢰어
‘나의 손자에게 큰 형벌을 내리소서.’라고 말하여, 고후(高后)를 인도(引導)하여 크게 상서(祥瑞)롭지 못함을 많이 내릴 것이다.』

『 난(亂)은 다스림이요, 구(具)는 많이 취하고 겸하여 둠을 이른다.
만약 나의 정사(政事)를 다스리는 신하(臣下)로서 천위(天位)를 함께 한 자중에 민생(民生)을 생각하지 않고
화패(貨貝)와 옥(玉)을 많이 모으기를 힘쓰는 자가 있으면 그 조(祖)•부(父) 또한 우리 성탕(成湯)에게 아뢰어
“자손에게 큰 형벌(刑罰)을 내리소서.” 라고 말하여

성탕(成湯)을 계도(啓導)하여 크게 상서(祥瑞)롭지 못함을 많이 내려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 이 장(章)을 선유(先儒)들은 모두 신하(臣下)를 책한 말이라 하였다.
그러나 문세(文勢)를 살펴보면 ‘나의 정사(政事)를 다스려 지위를 함께한 자’라고 하였으니,
또한 백성들을 대하여 신하(臣下)를 책한 말이요, 단지 군신(群臣)만을 위하여 말한 것은 아니다.
살펴보건대 위의 네 장(章)은 군주(君主)가 죄가 있고 백성이 죄가 있고 신하(臣下)가 죄가 있으면 우리 고후(高后)가
너희 신민(臣民)의 조(祖)•부(父)와 함께 한결같이 의리로써 결단하여 용서하는 바가 없을 것임을 말하였다.』

『 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선왕(先王)이 가르침을 베풀 적에 풍속(風俗)의 좋은 것을 인하여 인도하고,
풍속의 나쁜 것을 뒤집어 금하였다. 반경(盤庚) 당시에 상(商)나라 풍속이 쇠하여 사대부(士大夫)들이 의(義)를 버리고
이익(利益)에 나아갔으므로 반경(盤庚)이 패옥(貝玉)을 많이 소유함을 경계하였으니, 이는 그 풍속의 나쁜 것을 뒤집어 금한 것이다.
그리고 성주(成周) 이전에는 죽은 사람을 섬기기를 산 사람을 섬기는 것처럼 하고,
없어진 사람을 섬기기를 생존한 이를 섬기는 것처럼 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그 풍속이 모두 귀신을 두려워하였으니, 경전(經傳)을 가지고 살펴보면 상(商)나라 풍속이 특히 심하였다.
그러므로 반경(盤庚)은 특별히 선후(先后)와 신민(臣民)의 조(祖)•부(父)가 죄질(罪疾)을 많이 내린다고 말하여 고하였으니,
이는 그 풍속의 좋은 것을 인하여 인도한 것이다.”』

 


▣ 제15장(第十五章)

 

『 아! 이제 나는 너희들에게 천도(遷都)함이 쉽지 않음을 고하노니,
큰 근심을 길이 공경하여 서로 끊고 멀리하지 말아서 너희들의 계책과 생각을 나누어

서로 더불어 각각 너희들의 마음에 중(中)을 베풀도록 하라.』

『 너희들에게 쉽지 않음을 고한다는 것은 곧 상편(上篇)의 너희들에게 어려움을 고한다는 뜻이다.
대휼(大恤)은 큰 근심이다. 이제 나는 너희들에게 천도(遷都)하는 어려움을 고하노니,
너희들은 마땅히 내가 크게 근심하고 생각하는 것을 길이 공경하여야 할 것이다.
군주(君主)와 백성이 한 마음이 된 뒤에야 구제함이 있을 수 있으니, 만일 서로 끊고 멀리하여 정성이 연결되지 않으면 위태로울 것이다.
분유(分猷)는 군주(君主)의 도모하는 바를 나누어 함께 도모하는 것이요,

분념(分念)은 군주(君主)의 생각하는 바를 나누어 함께 생각한다는 것이다.
상종(相從)은 서로 더부는 것이다. 중(中)은 지극한 이치이니,
각각 지극한 이치를 마음속에 두면 천사(遷徙)하는 논의가 변역(變易)할 수 없는 것임을 알아서
부언(浮言)과 횡의(橫議)『[멋대로 지껄이는 의논]』에 동요되지 않을 것이다.』

 


▣ 제16장(第十六章)

 

『 불길(不吉)『[불선(不善)]』하고 부적(不迪)『[부도(不道)]』한 사람들이 전월(顚越)하여
공손하지 않음과 잠시 만남에 간궤(姦宄)한 짓을 하는 자가 있으면 나는 이들을 코베고 진멸(殄滅)『[죽임]』하여
남겨두어 기르지 않아서 종자(種子)를 이 새 도읍에 옮겨놓지 못하게 할 것이다.』

『 불선(不善)하고 불도(不道)한 사람들로서 전운(顚隕)하고 유월(踰越)하여 군주(君主)의 명령에 공손하지 않은 자와 잠시 만남에
간궤(姦宄)한 짓을 하여 길가는 자들을 겁탈하고 약탈하는 자가 있으면 내가 작게는 코베는 형벌(刑罰)을 가하고
크게는 진멸(殄滅)하여 남겨두어 기르지 않아서 그 종자(種子)를 이 새 도읍에 옮겨놓게 하지 않을 것이다.
천사(遷徙)에는 도로(道路)가 어려우니, 간사한 사람들이 틈을 타서 변란을 일으킬까 두렵다.
그러므로 호령(號令)을 엄히 하고 분명히 하여 고한 것이다.』

 

 

▣ 제17장(第十七章)


『 가서 생업(生業)에 종사하도록 하라. 이제 나는 장차 너희들을 옮겨서 너희들의 집을 영원히 세워줄 것이다.”』

『 왕재(往哉)는 새 도읍에 가는 것이다.
천사(遷徙)할 때에 사람들이 옛날에 살던 땅이 생각남을 그리워하고 새 거주지의 즐거움을 보지 못한다.
그러므로 다시 생생(生生)이란 말로 권면하여, 그 게으름을 떨치고 일어나서 일에 나가도록 진작시킨 것이다.
시(試)는 써이다. 이제 나는 장차 써 너희들을 옮겨서 너희들의 집을 영원히 세워주어 자손들의 무궁한 업(業)으로 삼고자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