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 상서 - 고종융일(高宗융日)
▣ 고종융일(高宗융日)
『高宗융祭에 有º/雉之異어늘 祖己訓王한대 史氏以爲篇하니 亦訓體也라
不言訓者는 以旣有高宗之訓이라 故로 只以篇首四字爲題하니라 今文古文皆有하니라』
『 고종(高宗)이 융제( 祭)하던 날에 꿩이 우는 이변(異變)이 있었으므로 조기(祖己)가 왕(王)을 훈계(訓戒)하였는데,
사관(史官)이 이것을 편(篇)으로 만들었으니, 또한 훈체(訓體)이다.
훈(訓)이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이미 고종(高宗)의 훈(訓)이 있기 때문에 다만 편(篇) 머리의 네 글자로 제목(題目)을 삼은 것이다.
금문(今文)과 고문(古文)에 모두 있다.』
▣ 제1장(第一章)
『 고종(高宗)이 융제(훏祭)하던 날에 꿩이 우는 이변(異變)이 있었다.』
『 융(훏)은 제사(祭祀)지낸 다음날에 다시 지내는 제사(祭祀)의 이름이니, 은(殷)나라는 융(훏)이라 하였고 주(周)나라는 역(繹)이라 하였다.
구(º/)는 울음이니, 융제(훏祭)하던 날에 꿩이 우는 이변이 있었다.
이는 아버지 사당(祠堂)에 제사한 것이니, 서(序)에 탕묘(湯廟)의 사당(祠堂)이라고 말한 것은 잘못이다.』
▣ 제2장(第二章)
『 조기(祖己)가 말하기를 “먼저 왕(王)을 바로잡고서 이 일을 바로잡겠다.” 하였다.』
『 격(格)은 바로잡음이니, 나쁜 마음을 바로잡는다는 격(格)과 같다.
하문(下文)을 자세히 살펴보면 ‘고종(高宗)이 제사(祭祀)를 가까운 사당(祠堂)에만 풍성하게 한다.’ 하였으니,
가까운 사당(祠堂)이란 아버지의 사당(祠堂)이니 가까운 사당(祠堂)에만 풍성하게 하는 것은 올바른 예(禮)를 잃은 것이다.
그러므로 꿩이 우는 이변(異變)이 있었으니, 조기(祖己)가 스스로 말하기를 “마땅히 먼저 왕(王)의 나쁜 마음을 바로잡은 뒤에
이 잘못된 일을 바로잡겠다.”고 한 것이다.
‘유천감민(惟天監民)’ 이하는 왕(王)을 바로잡는 말이고, ‘왕사경민(王司敬民)’ 이하는 일을 바로잡는 말이다.』
▣ 제3장(第三章)
『 조기(祖己)가 왕(王)에게 다음과 같이 훈계(訓戒)하였다.
“하늘이 하민(下民)들을 굽어보되 그 의(義)를 주장하니,
연수(年數)를 내려줌이 길기도 하고 길지 않기도 함은 하늘이 백성을 요절하게 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이 천명(天命)을 중간에 끊기 때문입니다.』
『 전(典)은 주장함이다. 의(義)는 도리의 당연함이니, 행함에 마땅하게 함을 이른다.
하늘이 하민(下民)들을 굽어보시어 화(禍)와 복(福)과 주고 빼앗음을 오직 의(義)의 여하(如何)를 주장할 뿐임을 말한 것이다.
연수(年數)를 내려줌이 길기도 하고 길지 않기도 하다는 것은 의로우면 길고 의롭지 않으면 길지 않은 것이니,
하늘이 백성을 요절(夭折)하게 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이 스스로 의(義)롭지 않아서 그 명(命)을 중간에 끊는 것이다.
짐작하건대 고종(高宗)이 제사(祭祀)함에 반드시 긴 연수(年數)를 기원하고 명(命)을 청(請)하는 일이 있었을 것이니,
한(漢)나라 무제(武帝)가 오치(五퀨)에 제사(祭祀)한 것과 같은 종류일 것이다.
조기(祖己)가 말하기를 “연수(年數)를 길게 하는 방도(方道)는 기도(祈禱)하고 제사(祭祀)함에 있지 않고,
행하는 바가 의로우냐 의롭지 않으냐에 달려 있을 뿐이니,
기도(祈禱)하고 제사(祭祀)함은 연수(年數)를 길게 하는 방도가 아니다.”라고 한 것이다.
백성을 말하고 군주(君主)를 말하지 않은 것은 감히 지척(指斥)할 수 없어서이다.』
▣ 제4장(第四章)
『 백성들이 덕(德)에 순종하지 않고 죄(罪)에 굴복하지 않기에 하늘이 이미 부명(孚命)으로 덕(德)을 바로잡으시는데
마침내 ‘〈요얼(妖孽)이〉 나에게 어쩌겠는가’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 불약덕(不若德)은 덕(德)에 순종하지 않음이요, 불청죄(不聽罪)는 죄(罪)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니,
허물을 고치지 않음을 이른다. 부명(孚命)은 요얼(妖孽)로 부신(符信)을 삼아 견책하여 고하는 것이다.
백성들이 덕(德)에 순종하지 않고 죄에 굴복하지 않기에 하늘이 이미 요얼(妖孽)로 부신을 삼아 견책하여 고하시니,
이는 두려워하고 수성(修省)하여 덕(德)을 바로잡게 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백성들이 마침내 말하기를 “재앙(災殃)과 상서(祥瑞)가 나에게 어쩌겠는가.”라고 한다면 하늘이 반드시 베어서 끊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
조기(祖己)는 고종(高宗)이 마땅히 꿩이 우는 이변으로 인하여 스스로 반성할 것이요,
때마침 그러하다 하여 스스로 용서해서는 안 된다고 여겼다.
자주 제사하고 가까운 사당에만 풍성하게 하여 신(神)에게 복(福)을 구함은 덕(德)에 순종하지 않는 것이요,
제사(祭祀)에 설만함을 부열(傅說)이 일찍이 진계(進戒)하였는데, 뜻에 혹 고치기를 인색하게 함은 죄(罪)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다.
꿩이 우는 이변(異變)은 이는 하늘이 이미 부명(孚命)으로 덕(德)을 바로잡은 것이니, “요얼(妖孽)이 나를 어쩌겠느냐.” 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 제5장(第五章)
『 아! 왕(王)은 백성을 공경함을 맡으셨으니,
하늘의 아들 아님이 없으니 제사(祭祀)를 주관함에 가까운 사당(祠堂)에만 풍성하게 하지 마소서.”』
『 사(司)는 주장함이요, 윤(胤)은 아들이다.
왕(王)의 직책은 백성을 공경함을 주장할 뿐이니, 신(神)에게 복(福)을 구함은 왕(王)이 할 일이 아니다.
더구나 조종(祖宗)은 하늘의 아들 아님이 없으니, 제사(祭祀)를 주관함에 어찌 유독 가까운 사당(祠堂)에만 풍성하게 할 수 있겠는가.』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 상서 - 미자(微子) (0) | 2015.04.29 |
---|---|
서경 - 상서 - 서백감려(西伯戡黎) (0) | 2015.04.29 |
서경 - 상서 - 열명 하(說命下) (0) | 2015.04.29 |
서경 - 상서 - 열명 중(說命中) (0) | 2015.04.29 |
서경 - 상서 - 열명 상(說命上) (0) | 201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