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 상서 - 미자(微子)


 
▣ 미자(微子)


 
『微는 國名이요 子는 爵也라 微子는 名啓니 帝乙長子요 紂之庶母兄也라
微子痛殷之將亡하여 謀於箕子比干이어늘 史錄其問答之語하니 亦誥體也라
以篇首에 有微子二字일새 因以名篇하니라 今文古文皆有하니라』


『 미(微)는 국명(國名)이고 자(子)는 작위(爵位)이다.
미자(微子)는 이름이 계(啓)이니, 제을(帝乙)의 장자(長子)이며 주(紂)의 서모형(庶母兄)이다.
미자(微子)가 은(殷)나라가 장차 망하려 함을 애통하게 여겨 기자(箕子)와 비간(比干)에게 상의하였는데,
사관(史官)이 그 문답(問答)한 말을 기록하였으니, 또한 고체(誥體)이다.
편(篇) 머리에 미자(微子)라는 두 글자가 있기에 인하여 편명(篇名)으로 삼은 것이다. 금문(今文)과 고문(古文)에 모두 있다.』


 

▣ 제1장(第一章)

 

『 미자(微子)가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부사(父師)여! 소사(少師)여! 은(殷)나라가 혹여 사방(四方)을 다스려 바로잡지 못할 듯하니,
우리 선조(先祖)께서 공(功)을 이룩하여 위에 진열해 계신데, 우리는 술에 빠져 주정하여 그 덕(德)을 아래에서 어지럽히고 무너뜨립니다.』

『 부사(父師)는 태사(太師)로 삼공(三公)이니 기자(箕子)이며, 소사(少師)는 고경(孤卿)이니 비간(比干)이다.
불혹(弗或)은 혹여 이와 같지 못할 듯한 것이다. 난(亂)은 다스림이니,
주왕(紂王)이 무도(無道)하여 천하(天下)를 다스리고 바로잡기를 바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지(底)는 이룸이요, 진(陳)은 나열함이다.
우리 선조(先祖)인 성탕(成湯)이 공(功)을 이룩하여 위『[옛날]』에 진열해 계신데 자손들이 술에 빠져 주정하여
그 덕(德)을 아래『[지금]』에서 무너뜨리고 어지럽힌 것이다. 술에 빠져 주정함을 우리라고 말하고 주왕(紂王)이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허물을 자신에게 돌려서 오히려 차마 지척(指斥)하여 말하지 못한 것이다.』

 


▣ 제2장(第二章)


『 은(殷)나라는 작은 사람이나 큰 사람 가릴 것 없이 초절(草竊)『[풀 속에서 도둑질하는 좀도둑]』과 간궤(姦宄)를 좋아하는데
경사(卿士)들은 법도가 아닌 것을 서로 본받아 무릇 죄가 있는 자들이 떳떳이 죄를 받지 않으니,
소민(小民)들이 막 일어나 서로 대적하여 원수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 은(殷)나라가 빠져 망함이 큰물을 건넘에 나루터와 물가가 없는 것과 같으니, 은(殷)나라가 마침내 망함이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은(殷)나라의 인민(人民)들은 작은 사람이나 큰 사람 가릴 것 없이 모두 초절(草竊)과 간궤(姦宄)를 좋아하는데,
위에서 경사(卿士)들 또한 모두 서로 법(法) 아닌 것을 본받아서 상하(上下)가 용인(容忍)하고 숨겨주어 무릇 법(法)을 범한 사람들이
그 죄(罪)를 받는 자가 없었다.
이에 소민(小民)들이 두려워하는 바가 없어 강한 자는 약한 자를 능멸하고 많은 자는 적은 자를 포학히 하여,
일어나 원수(怨讐)로 여기고 원망(怨望)해서 쟁투(爭鬪)하고 침탈(侵奪)하여 기강(紀綱)이 탕연(蕩然)하니,
윤상(淪喪)할 형상이 아득하여 언덕『[끝]』이 없었다. 이는 마치 큰물을 건너감에 나루터와 물가가 없는 것과 같으니
은(殷)나라의 상망(喪亡)이 마침내 금일(今日)에 이르렀단 말인가.
미자(微子)가 위로 선조(先祖)의 공렬(功烈)을 진술하고 아래로 상란(喪亂)을 기술하여,
애원(哀怨)하고 통절(痛切)하여 말은 다함이 있으나 뜻은 무궁(無窮)하다.
수천 년 뒤에도 오히려 사람들로 하여금 감상(感傷)하고 비분(悲憤)하게 하니,
후세(後世)의 인주(人主)가 이것을 본다면 또한 깊이 거울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제3장(第三章)


『 다시 말하였다. “부사(父師)여! 소사(少師)여! 우리가 미친 짓을 발출(發出)하기에 우리 국가의 노성한 사람들이 황야(荒野)로 도망하는데,
이제 당신들은 이것을 지시하여 나에게 넘어지고 떨어짐을 말해줌이 없으니, 어찌하여야 합니까?”』

『 왈(曰)은 미자(微子)가 단서를 바꾼 말이다. 하기(何其)는 어조사이다.
“주왕(紂王)이 전광(顚狂)을 발출(發出)하여 포학(暴虐)하고 무도(無道)하기에 우리 국가의 노성(老成)한 사람들이 모두 황야(荒野)로 도망하니,
위망(危亡)의 형세가 이와 같다. 그런데 이제 당신들은 이것을 지시하여 나에게 넘어지고 떨어지는 일을 알려줌이 없으니,
장차 어찌하여야 합니까?”라고 말한 것이다.
미자(微子)가 근심하고 위태롭게 여김이 심하기 때문에 특별히 단서를 바꾸어 난(亂)을 구제할 계책을 물은 것이다.
우리라고 말하고 주왕(紂王)이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또한 상장(上章)의 ‘우리는 술에 빠져 주정한다’는 뜻이다.』

 


▣ 제4장(第四章)


『 부사(父師)가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왕자(王子)여! 하늘이 독하게 재앙을 내려 은(殷)나라를 황폐하게 하시는데, 막 일어나서 술에 빠져 주정하는구나.』

『 이 이하는 기자(箕子)의 답이다. 왕자(王子)는 미자(微子)이다.
주왕(紂王)의 입장에서 말하면 주왕(紂王)이 무도(無道)하기 때문에 하늘이 재앙(災殃)을 내린 것이며,
천하(天下)의 입장에서 말하면 주왕(紂王)의 무도(無道)함은 또한 하늘의 운수(運數)이다.
기자(箕子)가 이것을 하늘에 돌린 것은 충후(忠厚)하고 군주(君主)를 공경하는 뜻을 나타낸 것이니,
〈소민(小旻)〉의 시(詩)에 ‘민천(旻天)『[군주(君主)]』의 포악함이 하토(下土)에 펴진다.’는 것과 뜻이 같다.
방흥(方興)은 막 일어나고 다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이는 미자(微子)의 ‘술에 빠져 주정한다’는 말에 답한 것인데 그보다 더 심한 뜻이 있으니, 아래도 이와 같다.』

 

 

▣ 제5장(第五章)


『 두려워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아 구장(耉長)으로서 옛부터 지위에 있던 사람들을 어기는구나.』

『 두려워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은 마땅히 두려워하여야 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군자(君子)가 세 가지 두려워함이 있으니,
천명(天命)을 두려워하고 대인(大人)을 두려워하고 성인(聖人)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하였다. 불(퓆)은 어김이다.
구장(耉長)은 노성(老成)한 사람이다. 주왕(紂王)은 마땅히 두려워하여야 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노성(老成)한 사람으로서 옛부터 지위에 있던 자들을 주왕(紂王)이 모두 어겨 축출하였으니,
이는 곧 무왕(武王)의 이른바 ‘머리가 검으면서 노란 노인을 버렸다.’는 것이다.
이는 미자(微子)의 ‘미친 짓을 발출(發出)하기에 노성한 사람들이 도망한다.’는 말에 답한 것이니,
상문(上文)에 특별히 묻는 단서를 발하였으므로 이것을 먼저 답한 것이다.』

 


▣ 제6장(第六章)

 

『 지금 은(殷)나라 백성들이 신기(神祗)에게 올린 희전(犧?)의 짐승을 빼앗고 훔쳐가는데도 용인(容忍)해주어 가져다 먹어도 재앙이 없구나.』

『 색깔이 순수함을 희(犧)라 하고, 몸이 완전함을 전(?)이라 하고, 소와 양과 돼지를 생(牲)이라 한다.
희(犧)•전(?)•생(牲)은 천지(天地)에 제사(祭祀)하는 물건이니, 예(禮)에 가장 중한 것인데도 오히려 상(商)나라 백성들이 빼앗고 훔쳐갔으나
유사(有司)가 서로 용인하고 숨겨주어서 가져다 먹어도 재앙과 화가 없었으니, 어찌 다만 초절(草竊)과 간궤(姦宄)일 뿐이겠는가.
이는 미자(微子)의 ‘초절간궤(草竊姦宄)’의 말에 답한 것이다.』

 


▣ 제7장(第七章)


『 은(殷)나라 백성을 내려다보니, 다스리는 것이 원수처럼 거두고 있다.
적수(敵讐)를 부르기를 게을리 하지 않아 죄(罪)가 모여 하나가 되었으니, 굶주려 죽는 이가 많은데도 하소연할 곳이 없도다.』

『 수렴(讐斂)은 구적(仇敵)처럼 거두는 것이다. 게을리 하지 않는다는 것은 힘써 행하고 쉬지 않는 것이다.
조(詔)는 하소연함이다. 은(殷)나라 백성을 내려다보니 무릇 위에서 다스리는 것이 원수처럼 거두는 일 아님이 없다.
윗사람이 원수처럼 아랫사람에게 거두면 아랫사람은 반드시 대적하여 윗사람을 원수로 여기니,
아랫사람이 대적하여 원수로 여김은 실로 윗사람이 원수처럼 거두어 자초한 것이다.
그런데도 주왕(紂王)은 바야흐로 적수(敵讐)를 부르기를 게을리 하지 않아 군신(君臣)과 상하(上下)가 악(惡)을 함께 하여
서로 이루어서 합하여 하나가 되었다.
그러므로 백성들이 굶주려 죽는 이가 많은데도 하소연할 곳이 없는 것이다.
이는 미자(微子)의 ‘소민(小民)들이 서로 대적하여 원수가 된다.’는 말에 답한 것이다.』

 

 

▣ 제8장(第八章)


『 상(商)나라가 이제 재난이 있을 것이니, 나는 일어나 그 화패(禍敗)를 받겠다.
상(商)나라가 망하더라도 나는 남의 신하(臣下)와 종이 되지 않을 것이다.
왕자(王子)에게 떠나가는 것이 도리임을 고하노니, 내가 옛날에 말한 것이 그대를 해쳤구나.
왕자(王子)가 떠나가지 않으면 우리 〈종사(宗祀)〉는 전복(顚覆)되고 실추(失墜)될 것이다.』

『 상(商)나라가 이제 재난이 있을 것이니, 나는 떠나가서 그 화패(禍敗)를 당하겠다.
상(商)나라가 만약 망하더라도 나는 결단코 타인에게 신하(臣下)와 종이 될 이치가 없다.
조(詔)는 고함이니, 미자(微子)에게 떠나는 것이 도리(道理)임을 고(告)한 것이다.
상(商)나라의 제사(祭祀)는 받들 사람이 없어서는 안되니, 미자(微子)가 떠나면 상(商)나라의 종사(宗祀)를 보존할 수 있다.
각(刻)은 해침이다. 기자(箕子)가 옛날에 “미자(微子)가 나이가 많고 또 어질다.” 하여 제을(帝乙)에게 미자(微子)를 세울 것을 권하였는데,
제을(帝乙)이 이를 따르지 않고 끝내 주왕(紂王)을 세웠으니, 주왕(紂王)은 반드시 미자(微子)를 시기할 것이다.
이는 내가 지난날에 말한 것이 다만 그대를 해쳤을 뿐이니, 그대가 만약 떠나가지 않으면 화(禍)를 반드시 면치 못하여
우리 상(商)나라의 종사(宗祀)가 비로소 실추되어 의탁할 곳이 없게 될 것이다.
기자(箕子)가 스스로 말씀하기를 “자신은 의리가 결코 떠날 수 없고, 미자(微子)는 의리가 결코 떠나지 않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이는 미자(微子)의 ‘윤상전제(淪喪顚Ç*)’의 말에 답한 것이다.』

 


▣ 제9장(第九章)


『 스스로 〈의리(義理)에〉 편안하여 사람마다 스스로 선왕(先王)에게 뜻을 바칠 것이니, 나는 떠나가 은둔함을 돌아보지 않겠다.”』

『 상문(上文)에는 이미 미자(微子)가 말한 바에 답하였고, 이에 이르러서는 피차간(彼此間)에 거취(去就)의 뜻을 고하였다.
정(靖)은 편안함이다. 각기 의리에 마땅히 다해야 할 바에 편안하여 스스로 그 뜻을 선왕(先王)에게 진달(陳達)하여 신명(神明)에게
부끄러움이 없게 할 뿐이니, 나로 말하면 다시는 떠나가 은둔함을 돌아보지 않겠다.
이 편(篇)을 살펴보면 미자(微子)가 기자(箕子)와 비간(比干)에게 상의하였는데 기자(箕子)는 답하기를 상문(上文)과 같이 하였으나
비간(比干)이 홀로 말한 바가 없는 것은 비간(比干)은 의리에 마땅히 죽어야 함을 편안히 여겨 다시 말함이 없었나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은(殷)나라에 세 인자(仁者)가 있었다.” 하였다.
세 사람의 행실이 비록 똑같지 않으나 다 천리(天理)의 바름에서 나와 각각 그 마음에 편안한 바를 얻었으므로
공자(孔子)께서 모두 인(仁)을 허여(許與)하신 것이니, 이른바 ‘스스로 편안히 한다’는 것이 곧 이것이다.』

『 ○ 또 《좌전(左傳)》을 살펴보면 초(楚)나라가 허(許)나라를 이기니,
허남(許男)이 얼굴을 포박하고 입에 구슬을 물고는 최질(衰²')『[상복]』을 입고 관(棺)을 수레에 싣고서 초자(楚子)를 업고서
초자(楚子)가 〈이것을 보고〉 봉백(逢伯)에게 물으니,
봉백(逢伯)이 말하기를 “옛날에 무왕(武王)이 상(商)나라를 이겼을 적에 미자(微子) 계(啓)가 이와 같이 하였는데,
무왕(武王)이 친히 포박을 풀어주고 그 구슬을 받고는 흉한 것을 제거하였으며, 관(棺)을 불태우고 예우(禮遇)하여 명(命)했습니다.” 하였으니,
그렇다면 미자(微子)가 주(周)나라로 간 것은 상(商)나라를 이긴 뒤에 있었던 것이니, 여기에서 ‘떠나간다’고 말한 것은
다만 그 지위를 버리고 밖으로 도피한 것일 뿐이다. 미자(微子)의 떠남을 논하는 자들은 마땅히 이것을 자세히 살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