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주서-미자지명(微子之命)
▣ 미자지명(微子之命)
『微는 國名이요 子는 爵也라 成王이 旣殺武庚하고 封微子於宋하여 以奉湯祀하신대 史錄其誥命하여 以爲此篇하니 今文無, 古文有하니라』
『 미(微)는 국명(國名)이요, 자(子)는 작위(爵位)이다.
성왕(成王)이 이미 무경(武庚)을 죽이고 미자(微子)를 송(宋)나라에 봉(封)하여 탕왕(湯王)의 제사(祭祀)를 받들게 하였는데,
사관(史官)이 그 고명(誥命)을 기록하여 이 편(篇)을 만들었으니, 금문(今文)에는 없고 고문(古文)에는 있다.』
▣ 제1장(第一章)
『 왕(王)이 대략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은왕(殷王)의 원자(元子)야.
옛날을 상고하여 덕(德)이 있는 이를 높이고 어짊을 닮은 자에게 제사를 받들게 하여 선왕(先王)을 계승해서
예물(禮物)을 닦아 왕가(王家)에 손님이 되게 하노니, 나라와 함께 아름다워 영세(永世)토록 무궁(無窮)하게 하라.』
『 원자(元子)는 장자(長子)이니, 미자(微子)는 제을(帝乙)의 장자(長子)이고 주(紂)의 서형(庶兄)이다.
숭덕(崇德)은 선성왕(先聖王) 중에 덕(德)이 있는 자를 높이고 숭상하여 제사(祭祀)를 받듦을 이르고,
상현(象賢)은 후사(後嗣)의 자손 중에 선성왕(先聖王)을 닮은 어진 자가 있으면 명(命)하여 제사(祭祀)를 주관하게 함을 이른다.
이는 옛날 제도를 상고하여 성탕(成湯)의 덕(德)을 존숭하고 미자(微子)가 어짊을 닮았다고 하여 그 제사를 받들게 함을 말한 것이다.
예(禮)는 전례(典禮)이고 물(物)은 문물(文物)이니, 전례(典禮)와 문물(文物)을 닦아서 폐지되고 파괴되지 않게 하여
한 왕(王)『[왕조(王朝)]』의 법(法)을 갖추게 한 것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하(夏)나라 예(禮)를 내 말할 수 있으나 기(杞)나라가 충분히 증명해주지 못하고,
은(殷)나라 예(禮)를 내 말할 수 있으나 송(宋)나라가 충분히 증명해주지 못함은 문헌(文獻)『[기록과 현자(賢者)]』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셨으니,
은(殷)나라의 전례(典禮)를 미자(微子)가 닦았으나 공자(孔子) 때에 이르러 이미 충분히 증명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부자(夫子)가 이를 애석히 여긴 것이다. 빈(賓)은 손님의 예(禮)로 대우하는 것이다.
《시경(詩經)》〈진로(振鷺)〉에 “우리 손님이 이르렀다.” 하였고,
《좌씨전(左氏傳)》에 “송(宋)나라는 선대(先代)의 후예(後裔)라서 천자(天子)가 제사(祭祀)가 있으면 제사고기를 돌리고, 상사(喪事)가 있으면 절한다.” 하였다.』
『 여씨(呂氏)가 말하였다. “선왕(先王)의 마음은 공평(公平)하고 광대(廣大)하여 후세에 남의 나라를 멸망함에
행여 묘예(苗裔)『[후손(後孫)]』가 남아 있어 자손에게 해가 될까 두려워하는 것과는 같지 않다.
성왕(成王)이 미자(微子)를 명(命)하여 장차 어루만지고 도우며 애양(愛養)하여 나라와 함께 아름다워서 영세(永世)토록 무궁(無窮)하고자 하였으니,
공평(公平)하고 광대(廣大)한 기상(氣象)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 제2장(第二章)
『 아! 너의 선조(先祖)이신 성탕(成湯)이 능히 공경하고 성(聖)스러우며 넓고 깊으시니,
황천(皇天)이 돌아보고 도우셨으므로 크게 천명(天命)을 받으시어 백성을 어루만지되 너그러움으로 하시며 사학(邪虐)함을 제거하시니,
공(功)이 당시에 가해졌으며 덕(德)이 후예(後裔)에게 드리워졌다.』
『 제(齊)는 엄숙함이니, 엄숙하면 공경하지 않음이 없고, 성(聖)스러우면 통하지 않음이 없다.
광(廣)은 그 큼을 말하고 연(淵)은 그 깊음을 말한다. 탄(誕)은 큼이다.
황천(皇天)이 돌아보고 도우시므로 크게 천명(天命)을 받았다는 것은 곧 이윤(伊尹)이 말한 “하늘이 그 덕(德)을 살펴보아 대명(大命)을 모으게 했다.”는 것이며,
백성을 어루만지되 너그러움으로 하시며 사학(邪虐)함을 제거했다는 것은 곧 이윤(伊尹)이 말한 “포악함을 대신하되 너그러움으로 하시니,
억조의 백성들이 크게 그리워했다.”는 것이다. 공(功)이 당시에 가해졌다는 것은 그 미친 바가 많음을 말한 것이요,
덕(德)이 후예(後裔)에 드리워졌다는 것은 그 전한 바가 멂을 말한 것이다.
후예(後裔)는 곧 미자(微子)이다. 이는 숭덕(崇德)의 뜻이다.』
▣ 제3장(第三章)
『 네가 그 도(道)를 실천하고 닦아서 옛부터 훌륭한 명성(名聲)이 있었으니
공경하고 삼가 능히 효도하며 신(神)과 사람에게 숙공(肅恭)하기에 내 너의 덕(德)을 가상히 여겨 후하게 여겨 잊지 않노라.
상제(上帝)가 이에 흠향하며 하민(下民)들이 화합하기에 너를 상공(上公)으로 세워 이 동하(東夏)를 다스리게 하노라.』
『 유(猷)는 도(道)이고, 영(令)은 훌륭함이고, 문(聞)은 명예이다.
미자(微子)가 성탕(成湯)의 도(道)를 천리(踐履)하고 수거(修擧)하여 옛부터 훌륭한 명성이 있었으니, 하루이틀이 아니었다.
각(恪)은 공경함이다. 공경하고 삼가 능히 효도하고 신(神)과 사람에게 숙공(肅恭)하였다는 것은 미자(微子)의 실제 덕(德)을 가리켜 말한 것이니,
제기(祭器)을 안고 주(周)나라로 돌아온 것이 또한 그 한 가지이다.
독(篤)은 후함이다. 나는 너의 덕(德)을 훌륭하게 여겨 후하게 여겨 잊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다.
흠(歆)은 흠향이요, 용(庸)은 써이다. 왕자(王者)의 후손(後孫)을 공(公)이라고 칭하므로 상공(上公)이라 한 것이다.
윤(尹)은 다스림이다. 송(宋)나라의 박읍( 邑)이 동쪽에 있으므로 동하(東夏)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상현(象賢)의 뜻이다.』
▣ 제4장(第四章)
『 공경하여 가서 너의 가르침을 펴 너의 복명(服命)『[장복(章服)과 명수(命數)]』을 삼가서 떳떳한 법을 따라 왕실(王室)에 울타리가 되며,
네 열조(烈祖)의 공덕을 넓히고 네 백성(百姓)들을 다스려 길이 그 지위를 편안히 하여
나 한 사람을 도와서 대대로 덕(德)을 누려 만방(萬邦)이 법(法)으로 삼아 우리 주(周)나라로 하여금 싫어함이 없게 하라.』
『 이는 인하여 경계하고 권면한 것이다.
복명(服命)은 상공(上公)의 장복(章服)과 명수(命數)이다.
송(宋)나라는 왕자(王者)의 후예(後裔)라서 성탕(成湯)의 사당(祠堂)에 마땅히 천자(天子)의 예악(禮樂)이 있었을 것이니,
참의(僭擬)『[참람하고 왕자(王者)에 비견함]』하게 하는 잘못이 있을까 우려되었다.
그러므로 복명(服命)을 삼가 떳떳한 법(法)을 따르라고 경계한 것이다.
홍(弘)은 큼이요, 율(律)은 법(法)이요, 비(毗)는 도움이요, 식(式)은 법(法)이다.
역(쪝)은 싫어함이니, 《시경(詩經)》에 “여기에 있음에 싫어함이 없다.”는 뜻이다.』
『 ○ 임씨(林氏)『[임지기(林之奇)]』가 말하였다.
“핍박함은 참람함에서 생기고, 참람함은 의사(擬似)함에서 생기니, 의사함이 없으면 참람함이 없고,
참람함이 없으면 핍박함이 없으니, 복명(服命)을 삼가 떳떳한 법(法)을 준수(遵守)하면 어찌 핍박하고 참람하는 잘못이 있겠는가.
노(魯)나라는 실로 후작(侯爵)이었는데 천자(天子)의 예악(禮樂)으로 주공(周公)을 제사(祭祀)하였으니, 또한 이미 삼가지 못한 것이다.
그 뒤에 마침내 군공(群公)의 사당(祠堂)에 〈천자(天子)의 예악(禮樂)을〉 사용하며
심지어는 계씨(季氏)가 참람하게 팔일무(八佾舞)를 추게 하고 삼가(三家)가 참람하게 옹장(雍章)을 노래하면서 철상(徹床)하였으니
그 근원이 한 번 열림에 말류(末流)가 이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성왕(成王)이 송(宋)나라에 대하여 근신(謹愼)함이 이와 같았으니, 반드시 주공(周公)에게 천자(天子)의 예악(禮樂)을 하사(下賜)하는 일이 없었을 것이니,
아마도 주(周)나라 왕실(王室)이 이미 쇠약해짐에 노(魯)나라가 몰래 참람하게 쓰고는 성왕(成王)이 주고 백금(伯禽)이 받은 것이라고 칭탁하였는가 보다.』
▣ 제5장(第五章)
『 아! 가서 아름답게 하여 짐(朕)의 명(命)을 폐하지 말라.”』
『 탄식하고 말씀하기를 너는 네 나라로 가서 마땅히 정사를 아름답게 하여 내가 너에게 명한 말을 폐기하지 말라고 한 것이다.』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주서-주고(酒誥) (0) | 2015.04.29 |
---|---|
서경-주서-강고(康誥) (0) | 2015.04.29 |
서경-주서-대고(大誥) (0) | 2015.04.29 |
서경-주서-금등(金등) (0) | 2015.04.29 |
서경-주서-여오(旅獒) (0) | 201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