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주서-군진(君陳)
▣ 군진(君陳)
『君陳은 臣名이라
唐孔氏曰 周公이 遷殷頑民於下都하고 周公親自監之러니
周公旣歿에 成王이 命君陳하여 代周公하니 此其策命之詞라
史錄其書하고 以君陳名篇이라하니 今文無, 古文有하니라』
『 군진(君陳)은 신하의 이름이다.
당(唐)나라 공씨(孔氏)는 말하기를
“주공(周公)이 은(殷)나라의 완악한 백성들을 하도(下都)『[낙양(洛陽)]』에 옮기고 주공(周公)이 친히 감시하였는데,
주공(周公)이 별세하자 성왕(成王)이 군진(君陳)을 명하여 주공(周公)을 대신하게 하니, 이것이 그 책명(策命)한 말이다.
사관(史官)이 그 글을 기록하고 군진(君陳)이라고 편명을 하였다.” 하였으니,
금문(今文)에는 없고 고문(古文)에는 있다.』
▣ 제1장(第一章)
『 왕(王)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군진(君陳)아! 너의 훌륭한 덕은 효도와 공손함이니,
효도하고 형제에게 우애하여 능히 정사에 시행하기에 너에게 명하여 이 동교(東郊)를 다스리게 하노니, 공경하라.』
『 군진(君陳)이 훌륭한 덕(德)이 있어 어버이를 섬김이 효성스럽고 윗사람을 섬김에 공손하였으니,
집에서 효도하고 우애하였기 때문에 나라에 정사를 베풀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집에 거(居)함에 다스려지기 때문에 다스려짐을 관청에 옮길 수 있다.” 하였다.』
『 진씨(陳氏)가 말하기를 ‘천자의 나라는 50리가 근교(近郊)가 되니,
왕성(王城)으로부터 말하면 하도(下都)는 바로 동교(東郊)의 땅이다.
그러므로 〈군진(君陳)〉과 〈필명(畢命)〉에 모두 하도(下都)를 가리켜 동교(東郊)라 하였다.”』
▣ 제2장(第二章)
『 옛날에 주공(周公)이 만민(萬民)을 가르치고 보호하였으므로 백성들이 그 덕을 그리워하니,
가서 네가 맡은 직책을 삼가 그 떳떳함을 따라서 주공(周公)의 가르침을 힘써 밝히면 백성들이 다스려질 것이다.』
『 주공(周公)이 동교(東郊)에 있을 적에 스승의 존귀함이 있고 보(保)의 친함이 있었다.
스승이 되어 가르치고 보(保)가 되어 편안히 하여 백성들이 그 덕을 그리워하고 있으니,
군진(君陳)이 감에 다만 맡은 바를 삼가 그 떳떳함을 따라서 주공(周公)의 옛 가르침을 힘써 밝히면 백성들이 다스려질 것이다.
주공(周公)이 별세함에 백성들이 막 주공(周公)의 가르침을 사모하고 있으니,
군진(君陳)이 발명하여 밝히고 크게 하면 진실로 흡연(翕然)히 따라 순종할 것이다.』
▣ 제3장(第三章)
『 내 들으니 이르기를 ‘지극한 정치는 향기로워 신명(神明)에 감동되니
서직(黍稷)이 향기로운 것이 아니라 밝은 덕이 향기롭다.’ 하였다.
너는 부디 이 주공(周公)의 유훈(猷訓)을 본받아서 날로 부지런히 하고 부지런히 하여 감히 일예(逸豫)하지 말라.』
『 여씨(呂氏)가 말하였다. “성왕(成王)이 이미 군진(君陳)에게 주공(周公)의 가르침을 밝힐 것을 권면하고
다시 주공(周公)의 정미한 가르침을 들어 고(告)하였으니,
‘지치형향(至治馨香)’ 이하의 네 말씀은 이른바 주공(周公)의 가르침이란 것이다.
이미 이것을 말하고 “너는 부디 주공(周公)의 유훈(猷訓)을 본받으라.”고 게시하였다면
이 네 말씀은 주공(周公)의 가르침이 됨이 분명하다.”』
『 물건의 정화(精華)는 진실로 두 체(體)가 없으나 형질(形質)은 그치고 기취(氣臭)는 올라간다.
그치는 것은 방소(方所)가 있고 올라가는 것은 간격이 없으니,
형향(馨香)은 정화(精華)가 위로 도달하는 것이다.
지치(至治)가 지극함에 형향(馨香)이 발문(發聞)『[풍김]』하여 신명(神明)을 감동시켜서 빠르지 않으면서도 속하니,
무릇 향기로운 서직(黍稷)을 밝게 올리는 것이 어찌 서직(黍稷)의 향기로움 때문이겠는가.
향기로운 까닭은 실로 명덕(明德)이 향기롭기 때문이다.
지치(至治)는 그 이룸을 든 것이요, 명덕(明德)은 그 근본을 따른 것이니,
두 가지 향기로움이 있는 것이 아니다.
주공(周公)의 가르침이 진실로 정미한데 들어서 군진(君陳)에게 고하였으니, 더욱 그 가(可)함에 마땅하다.
은(殷)나라의 완악한 백성을 가지고 말하면 이들을 감동시키고자 할진댄 형벌로 몰고 세력으로 핍박할 것이 아니니,
이른바 ‘통달(通達)하여 간격이 없다’는 것을 마땅히 깊이 살펴야 할 것이며,
주공(周公)의 법도를 가지고 말하면 전장(典章)이 모두 갖춰졌으나
만약 전인(前人)의 덕이 없으면 색연(索然)히 위날(萎틦)『[피폐]』하여 한갓 묵은 자취가 될 뿐이다.
그러므로 이 유훈(猷訓)을 따라 날로 부지런히 부지런히 해서 감히 일예(逸豫)하지 말라고 권면한 것이다.
이 교훈은 지극히 정하고 지극히 은미하니, 날로 새로워지고 그치지 아니하여 공경하고
돈독히 하는 공부를 깊이 이루는 자가 아니면 누가 능히 여기에 참여하겠는가.』
▣ 제4장(第四章)
『 무릇 사람들이 성인(聖人)을 보기 전에는 능히 보지 못할 듯이 여기다가
성인(聖人)을 보고 나서는 또한 성인(聖人)을 따르지 않으니, 너는 이것을 경계할지어다.
비유하면 너는 바람이고 하민(下民)은 풀이다.』
『 성인(聖人)을 보기 전에는 능히 보지 못할 듯이 여기다가
이미 성인(聖人)을 보고 나서는 또한 성인(聖人)을 따르지 못함은 인정(人情)이 다 그러하나
군진(君陳)은 친히 주공(周公)을 보았으므로 특별히 이로써 거듭 훈계한 것이다.
군자(君子)의 덕(德)은 바람이고 소인(小人)의 덕(德)은 풀이니, 풀에 바람이 가해지면 반드시 쏠리니,
군진(君陳)이 주공(周公)의 가르침을 잘 따르면 상(商)나라 백성들 또한 군진(君陳)의 가르침을 따를 것이다.』
▣ 제5장(第五章)
『 정사를 도모하되 혹시라도 어렵게 여기지 않음이 없어서 폐할 것이 있고 일으킬 것이 있을 적에
출입『[반복]』하기를 너의 무리들로부터 헤아려 여러 말이 같거든 다시 생각하라.』
『 사(師)는 무리이고 우(虞)는 헤아림이다.
정사를 도모하되 작은 것이나 큰 것 할 것 없이 혹시라도 어렵게 여기지 않음이 없어서
마땅히 폐할 것이 있고 마땅히 일으킬 것이 있을 적에 반드시 출입하고 반복하기를
무리들과 함께 헤아려서 여러 의논이 이미 같거든 또 주역(紬繹)하여 깊이 생각한 뒤에 행하라고 말한 것이다.
출입하기를 너의 무리들로부터 헤아리라는 것은 남들과 똑같이 함에 합하는 것이며,
여러 말이 같거든 다시 생각하라는 것은 자기 혼자함에 결단하는 것이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국인(國人)이 모두 어질다고 말한 뒤에 살펴보고,
국인이 모두 죽일 만하다고 말한 뒤에 살펴본다.” 하였으니, 여러 말이 같으면 다시 생각함을 말한 것이다.』
▣ 제6장(第六章)
『 너는 아름다운 꾀와 아름다운 계책이 있거든 들어와 안에서 네 임금에게 고(告)하고,
너는 마침내 밖에 가르쳐 말하기를 ‘이 꾀와 이 계책은 우리 임금님의 덕이다.’라고 하라.
아! 신하가 모두 이와 같이 하여야 어질고 드러날 것이다.”』
『 말이 일에 간절함을 모(謀)라 하고, 말이 도(道)에 합함을 유(猷)라 하니,
도(道)와 일은 두 가지가 아니요 각기 그 심한 것을 들어 말한 것이다.
양(良)은 덕으로 말하였고, 현(顯)은 명성으로 말한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성왕(成王)이 군진(君陳)이 전일(前日)에 이미 말했던 선언(善言)을 거론하여 탄식하고 찬미(贊美)한 것이다.” 한다.』
『 ○ 갈씨(葛氏)가 말하였다.
“성왕(成王)이 자못 이 말씀을 실수하였다.
신하가 선(善)한 것에는 군주를 칭하고자 함은 신하의 작은 행실이다.
그러나 군주가 이러한 마음이 있다면 잘못이 있음에 이를 경우 장차 누구로 하여금 잡게 하겠는가.
우왕(禹王)은 선언(善言)을 들으면 절하였고, 탕왕(湯王)은 과실을 고침에 인색하지 않았으니,
결단코 이러한 말씀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아! 이것이 그 성왕(成王)이 된 이유일 것이다.”』
▣ 제7장(第七章)
『 왕(王)이 말씀하였다.
“군진(君陳)아! 너는 주공(周公)의 큰 가르침을 넓혀서 세력에 의지하여 위엄을 부리지 말며,
법에 의지하여 〈백성들을〉 침삭(侵削)『[침해(侵害)]』하지 말고,
너그러우면서도 제재가 있으며, 종용(從容)히 하여 화(和)하도록 하라.』
『 이 편에 주공(周公)의 가르침을 말한 것이 세 번이니, “힘써 밝히라.” 하고,
“이것을 본받으라.” 하였고, 이에 이르러서는 “주공(周公)의 큰 가르침을 넓히라.” 하였으니,
더욱 넓혀서 키우고자 한 것이다.
군진(君陳)이 어찌 세력에 의지하여 위엄을 부리며, 법에 의지하여 백성들을 침삭(侵削)함에 이르는 자이겠는가.
그러나 세력은 자신이 소유하였고 법은 자신이 쓰고 있으니,
기뻐하고 노여워하고 주고 빼앗음에 털끝만큼이라도 상대방에게 〈객관적으로〉 하지 않고
자신에게 한다면 이것은 사의(私意)이고 공리(公理)가 아니니, 어찌 위엄을 부리고 침해하지 않겠는가.
군진(君陳)의 세대는 마땅히 너그럽고 화해야 할 때이다.
그러나 너그러움은 너그러움에 한결같지 말고 반드시 너그러우면서도 제재가 있어야 하며,
화함은 화함에 한결같지 말고 반드시 종용히 화해야 하니, 그런 뒤에야 중도(中道)에 화할 것이다.』
▣ 제8장(第八章)
『 은(殷)나라 백성이 형벌『[죄]』에 있거든 내가 죄를 주라 하여도 너는 죄를 주지 말며,
내가 용서하라 하여도 너는 용서하지 말고 오직 알맞게 하라.』
『 상장(上章)은 성왕(成王)이 군진(君陳)이 자신의 사욕을 따름을 염려하였고,
여기서는 군진(君陳)이 임금을 따름을 염려한 것이다.
은(殷)나라 백성 중에 형벽에 있는 자를 군주를 따라 살리거나 죽이지 말고,
오직 그 경중의 알맞음을 살펴야 함을 말한 것이다.』
▣ 제9장(第九章)
『 너의 정사에 순종하지 않고 너의 가르침에 교화되지 않는 자가 있거든 형벌하여 형벌을 그칠 수 있어야 이에 형벌하라.』
『 너의 정사에 순종하지 않고 너의 가르침에 교화되지 않는 자가 있으면 형벌함이 가하다.
그러나 형벌은 형벌이 없음을 기약하여야 하니, 형벌하여 형벌이 그칠 수 있는 경우에야 이에 형벌하라.
이는 상장(上章)의 형벌함을 끝맺은 것이다.』
▣ 제10장(第十章)
『 간궤(姦?)에 익숙하며 떳떳함을 무너뜨리고 풍속을 어지럽힘은 이 세 가지는 작은 죄라도 용서하지 말아야 한다.』
『 유(≫7)는 익힘이다. 상(常)은 떳떳한 법이요, 속(俗)은 풍속이다.
간궤(姦?)에 익숙한 자와 전상(典常)을 훼패(毁敗)하고 풍속을 괴란(壞亂)시킴은
사람이 이 세 가지를 범하면 비록 작은 죄라도 또한 용서하지 말아야 하니, 관계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이는 상장(上章)의 용서함을 끝맺은 것이다.』
▣ 제11장(第十一章)
『 너는 완악함에 분해하거나 미워하지 말며, 한 지아비에게 완비하기를 구하지 말라.』
『 사람이 교화되지 않는 것에 분해하거나 미워하지 말며, 사람이 능하지 못한 것에 완비하기를 구하지 말라.』
▣ 제12장(第十二章)
『 반드시 참음이 있어야 이에 이룸이 있으며, 포용함이 있어야 덕이 이에 커질 것이다.』
『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작은 일을 참지 않으면 큰 일을 어지럽힌다.” 하였으니,
반드시 참는 바가 있은 뒤에 이루는 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오히려 억지로 제재하고 힘써 저지하는 뜻이 있으며,
홍유(洪裕)하고 관작(寬綽)하여 회회(恢恢)하게 여지(餘地)가 있는 것으로 말하면 이는 바로 덕의 큼이다.
인(忍)은 일을 말하고 용(容)은 덕을 말하였으니, 각기 깊고 얕음으로써 말한 것이다.』
▣ 제13장(第十三章)
『 직무를 잘 닦는 자를 간발(簡拔)『[선발]』하되 또한 혹 닦지 못하는 자를 간발하며,
어진 사람을 진용(進用)하여 혹 어질지 못한 자를 이끌도록 하라.』
『 왕씨(王氏)가 말하였다.
“수(修)는 직업『[직무]』을 이르고 양(良)은 행의(行義)『[품행]』를 이른다.
직업은 닦여지고 닦여지지 않음이 있으니, 마땅히 간발하여 구별하면 사람들이 공(功)을 권면하고,
행의(行義)가 어진 자를 등용하여 어질지 못한 자를 이끌게 하면 사람들이 행실을 힘쓴다.”』
▣ 제14장(第十四章)
『 백성들이 태어날 때는 후(厚)하나 물건에 따라 옮겨간다.
윗사람의 명령하는 바를 어기고 그『[윗사람]』의 좋아하는 바를 따르니,
네가 능히 떳떳한 도(道)를 공경하되 덕에 있게 하면 이에 변하지 않는 자가 없어
진실로 대유(大猷)『[대도]』에 오를 것이니, 나 한 사람이 많은 복을 응하여 받을 것이며,
너의 아름다움도 끝내 영원한 세상에 훌륭한 명성이 있을 것이다.”』
『 이 백성이 태어날 때에는 그 성(性)이 본래 후(厚)하나 흐리고 탁하게 되는 까닭은
습속(習俗)에 유인되어 물건에게 옮겨지는 바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한 것이 옮겨져서 박해졌으면 박한 것이 어찌 돌아가 후해지지 않겠는가.
박한 것을 돌이켜 후함으로 돌아가게 함은 다만 음성이나 웃음과 모양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백성들은 윗사람에 대하여 진실로 그 명령을 따르지 않고 그 좋아함을 따르니,
《대학(大學)》에 “그 명령하는 바가 좋아하는 바와 반대이면 백성이 따르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또한 이러한 뜻이다.
경전(敬典)은 군신(君臣)?부자(父子)?형제(兄弟)?부부(夫婦)?붕우(朋友)의 떳떳한 도를 공경하는 것이며,
재덕(在德)은 떳떳한 도를 얻어 몸에 드러나는 것이다.
떳떳한 도를 공경할 줄만 알고 덕에 있을 줄을 모르면 떳떳한 도와 내가 오히려 둘이 되고,
오직 떳떳한 도를 공경하면서 덕에 있게 하면 떳떳한 도가 실제로 자기 몸에 있지 않음이 없을 것이니,
실제가 사람을 감동시킴이 북채로 북을 치는 것보다도 빠르다.
이 때문에 이에 변화하지 않는 자가 없어 진실로 대유(大猷)에 오르는 것이다.
이와 같다면 군주가 복을 받고 신하가 아름다움을 이루어서 영원한 세상에 훌륭한 명성이 있을 것이다.』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주서-강왕지고(康王之誥) (0) | 2015.05.05 |
---|---|
서경-주서-고명(顧命) (0) | 2015.05.05 |
서경-주서-주관(周官) (0) | 2015.05.02 |
서경-주서-입정(立政) (0) | 2015.05.02 |
서경-주서-다방(多方) (0) | 201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