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주서-군아(君牙)


 

▣ 군아(君牙)

 

『君牙는 臣名이라 穆王이 命君牙하여 爲大司徒하니 此其誥命也라 今文無, 古文有하니라』

 

『 군아(君牙)는 신하의 이름이다. 목왕(穆王)이 군아(君牙)를 명하여 대사도(大司徒)를 삼으니, 이것이 그 고명(誥命)이다.

금문(今文)에는 없고 고문(古文)에는 있다.』


 
 

▣ 제1장(第一章)

 

『 왕(王)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군아(君牙)야. 네 할아버지와 네 아버지가 대대로 충정(忠貞)을 돈독히 하여

왕가(王家)에 복로(服勞)『[수고로운 일을 함]』하여 그 이룩한 업적이 태상(太常)에 기록되어 있다.』

『 왕(王)은 목왕(穆王)이니, 강왕(康王)의 손자이고 소왕(昭王)의 아들이다.

《주례(周禮)》의 〈사훈(司勳)〉에 “무릇 공(功)이 있는 자는 왕(王)의 태상(太常)에 이름을 쓴다.” 하였고,

〈사상(司常)〉에 “해와 달을 상(常)이라 하니, 해와 달을 정기(旌旗)에 그리는 것이다.” 하였다.』

 

 

▣ 제2장(第二章)

 

『 나 소자(小子)가 문왕(文王)무왕(武王)성왕(成王)강왕(康王)이 남기신 전통을 이어 지킴은

또한 선왕(先王)의 신하들이 능히 자우(左右)『[보좌]』하여 사방(四方)을 다스리기 때문이니,

마음에 근심하고 위태롭게 여김이 범의 꼬리를 밟는 듯하며 봄에 살얼음을 건너는 듯하다.』
『 서(緖)는 통서(統緖)이다. 범의 꼬리를 밟는 듯하다는 것은 물릴까 두려워하는 것이요,

봄에 살얼음을 건너는 듯하다는 것은 빠질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근심하고 위태롭게 여김이 지극함을 말하여 도움을 구함이 간절함을 나타낸 것이다.』

 

 

▣ 제3장(第三章)

 

『 지금에 너를 명하노니, 너는 나를 도와서 고굉(股肱)과 심려(心쪺)가 되어

네 조(祖)고(考)가 옛날 일하던 것을 이어서 조(祖)고(考)에게 욕됨이 없도록 하라.』

『 여(쪺)는 등뼈이다. 구복(舊服)은 충정(忠貞)으로 복로(服勞)한 일이다. 첨(쿈)은 욕됨이다.

군아(君牙)가 그 조(祖)고(考)가 선왕(先王)을 섬기던 것으로 자신을 섬겨주기를 바란 것이다.』


 

▣ 제4장(第四章)

 

『 오전(五典)을 키워 넓혀서 백성의 법을 공경하여 화(和)하라.

네 몸이 능히 바르면 감히 바르지 않음이 없을 것이니, 백성들의 마음이 중(中)하지 못하니, 너의 중(中)으로 하여야 한다.

『 홍부(弘敷)는 크게 하여 폄이요, 식화(式和)는 공경하여 화하게 하는 것이다.

칙(則)은 ‘사물이 있으면 법칙이 있다.

『〔有物有則〕』’는 칙(則)이니,

군신(君臣)의 의(義)와 부자(父子)의 인(仁)과 부부(夫婦)의 별(別)과 장유(長幼)의 서(序)와 붕우(朋友)의 신(信)이 이것이다.

전(典)은 가르침을 베푸는 것으로 말하였기 때문에 크게 하여 편다고 말하였고, 칙(則)은 백성의 떳떳함으로 말하였기 때문에 공경하여 화한다고 말한 것이다.

이는 사도(司徒)의 가르침이나 가르침의 근본은 군아(君牙) 자신에게 있는 것이다.

정(正)과 중(中)은 백성의 법(法)의 체(體)이니, 사람들이 똑같이 옳게 여기는 것이다.

정(正)은 몸으로 말하였으니 처하는 바에 사악한 행실이 없고자 함이요, 중(中)은 마음으로 말하였으니 마음에 둔 것이 사악한 생각이 없고자 한 것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그대가 바름으로 이끌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하였고,

주공(周公)이 말씀하기를 “거느리기를 중(中)으로부터 하라.” 하였으니, 이는 군아(君牙)에게 사도(司徒)의 직책을 말한 것이다.』

 

 

▣ 제5장(第五章)

 

『 여름에 무덥고 비가 내리면 소민(小民)들이 원망하며 겨울에 크게 추우면 소민(小民)들이 또한 원망하니, 어려운 것이다.

그 어려움을 생각하여 쉽게 해줄 것을 도모하면 백성들이 이에 편안해질 것이다.』

『 기(祁)는 큼이다. 무덥고 비가 내리거나 크게 추움에 소민(小民)들이 원망함은 스스로 삶의 어려움을 서글퍼하는 것이다.

그 어렵다는 것은 소민(小民)들이 진실로 어려움이 됨을 한탄한 것이니, 그 어려움을 생각하여 쉽게 해줄 것을 도모하면 백성들이 이에 편안할 것이다.

간(艱)은 기한(飢寒)의 어려움이요, 이(易)는 의식(衣食)의 쉬움이다.

사도(司徒)는 오전(五典)을 펴고 조민(兆民)을 길들여서 가르치고 기르는 직책을 겸하였으니, 이는 또 군아(君牙)에게 백성을 기르는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 제6장(第六章)

 

『 아! 크게 드러났다. 문왕(文王)의 가르침이여! 크게 계승하였다.

무왕(武王)의 공렬(功烈)이여! 우리 후인(後人)들을 계도(啓導)하고 도와주시되 모두 바름으로써 하고 결함이 없게 하셨으니,

너는 네 가르침을 공경히 밝혀서 선왕(先王)을 받들어 순히 하여 문왕(文王)무왕(武王)의 빛나는 명을 대양(對揚)하며 전인(前人)에게 추배(追配)[똑같게]하라.”』

『 비(丕)는 큼이요, 모(謨)는 꾀요, 열(烈)은 공이다.

문왕(文王)은 앞에서 드러났고 무왕(武王)은 뒤에서 이었으니, 모(謨)와 열(烈)은 각기 그 실제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모두 바름으로써 했다는 것은 한 가지 일도 바름에서 나오지 않음이 없는 것이요,

모두 결함이 없게 했다는 것은 한 가지 일도 주밀(周密)함을 지극히 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약(若)은 순함이요, 대(對)는 답함이요, 배(配)는 짝함이다. 전인(前人)은 군아(君牙)의 조(祖)?부(父)이다.』

 

 

▣ 제7장(第七章)

 

『 왕(王)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군아(君牙)야! 너는 선정(先正)의 옛 법을 따라서 이에 법받으라.

백성의 다스려지고 어지러움이 이에 달려 있으니, 네 조(祖)?고(考)가 행하신 바를 따라 네 군주의 다스림을 밝혀라.”』

『 선정(先正)은 군아(君牙)의 조(祖)?부(父)이다. 군아(君牙)가 조(祖)?부(父)의 옛 직책을 따라 법받아야 하니,

백성의 다스려지고 어지러움이 이에 달려 있을 뿐이니, 법받으면 다스려지고 그렇지 않으면 어지러운 것이다.

네 조(祖)?부(父)가 행하신 바를 따라 군주의 다스림을 드러내라 하였으니, 다시 가법(家法)을 지킬 것을 거듭 경계하여 끝맺은 것이다.』

『 살펴보건대, 이 편은 오로지 군아(君牙)의 조(祖)?부(父)를 가지고 말하여

‘옛 일을 이으라’ 하고, ‘옛 법을 따르라’ 하고, ‘욕되게 하지 말라’ 하고, ‘추배(追配)하라’ 하고,

‘선정(先正)의 옛 법을 따르라’ 하고, ‘조(祖)?고(考)가 행하신 바를 따르라’ 하였으니,

그렇다면 군아(君牙)의 조(祖)?부(父)가 일찍이 사도(司徒)의 직책을 맡았고, 그 어질었음을 알 수 있다.

재적(載籍)에 전하지 않음이 애석하다.

진씨(陳氏)가 말하기를 “강왕(康王) 때에 예백(芮伯)이 사도(司徒)가 되었으니, 군아(君牙)가 그 후손인가 보다.” 하였다.』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주서-여형(呂刑)  (0) 2015.05.05
서경-주서-경명(冏命)  (0) 2015.05.05
서경-주서-필명(畢命)  (0) 2015.05.05
서경-주서-강왕지고(康王之誥)  (0) 2015.05.05
서경-주서-고명(顧命)  (0) 2015.05.05

+ Recent posts